중국 고대건축의 이해

$30.24
SKU
97911690902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10
Pages/Weight/Size 146*217*30mm
ISBN 979116909026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건축의 이념과 문화의 융합을 해석해
고전 건축의 정묘함을 재현하다

중국 고대건축의 세계를 개괄한 푸시녠의 『중국 고대건축의 이해』는 베이징출판사에서 기획한 ‘대가소서大家小書’ 시리즈 가운데 한 권이다. ‘대가’는 저자가 대가임을 의미하고 ‘소서’는 분량이 적은 책임을 의미한다. 독자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게 ‘대가소서’ 시리즈의 기획 의도다. 물론 일반적인 대중서라고 하기에는 학술성이 짙은 책이다.

총 6장과 부록으로 구성된 책의 각 부분은 독립적으로 읽힐 수 있는 내용이다. 1장 ‘중국 고대 건축 개설’은 그야말로 중국 고대 건축에 대한 개설로, 중국 고대 건축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훑고 중국 고대 건축의 특징과 유형을 요약하고 있다. 2장 ‘고대 중국의 목구조 건축 설계의 특징’에서는 『영조법식營造法式』(송)과 『공부공정주법工部工程做法』(청)에 근거해서 당나라 이후 목구조 건축의 설계 방법을 분석했는데, 학술성이 매우 짙은 내용이다. 3장 ‘중국의 고대 도성 계획에 관한 연구’는 역대 도성에 관한 내용으로, 한나라의 장안성, 수·당 시기의 장안성과 뤄양성, 북송의 변량(카이펑), 원나라의 대도성(베이징)을 다루고 있다. 이들 역대 도성 가운데 베이징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4장 ‘원·명·청 삼대의 도성 베이징성’에서 매우 상세히 다룬다. 5장 ‘명나라 베이징의 궁전·단묘 등 대형 건축군 총체적 계획의 특징’에서는 ‘모듈’을 통한 총체적인 설계의 각도에서 베이징의 궁전인 자금성을 비롯해 태묘와 천단을 분석하고 있다. 6장 ‘전국 시대 중산왕릉 「조역도兆域圖」에 반영된 능원 제도’는 전국 시대 중산왕中山王의 능묘에서 출토된 동판 「조역도」를 통해 왕릉의 왕당 건축과 능원 전체의 건축 설계를 분석한 부분으로, 학술성은 물론 실험성도 강한 내용이다.

일반 독자 입장에서는 중국 고대 건축의 윤곽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1장과 중국의 역대 도성에 관한 3장이 가장 접근하기 쉽고 흥미로울 것이다. 장안(지금의 시안西安)을 비롯해 뤄양, 카이펑, 베이징 등 중국의 역대 도읍지에 관심이 있다면 3장은 더욱 재밌게 읽힐 것이다. 베이징에 대하여 상세히 알고 싶다면 4장과 5장을 깊이 있게 읽으면 좋겠다. 6장은 능원 건축에 관심 있는 전문 연구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책의 부록을 통해서는 중국의 건축사 연구 70여 년 역정을 살펴볼 수 있다.
Contents
1장 중국 고대 건축 개설

1. 중국 고대 건축의 발전 개황
2. 중국 고대 건축의 기본적 특징
3. 중국 고대 건축의 주요 유형

2장 고대 중국의 목구조 건축 설계의 특징

3장 중국의 고대 도성 계획에 관한 연구


1. 전한 시기의 장안성
2. 수·당 시기의 장안성
3. 동도 뤄양성
4. 북송의 도성 변량
5. 원나라의 대도성

4장 원·명·청 삼대의 도성 베이징성

1. 원나라의 대도성
2. 명나라의 베이징성
3. 청나라의 베이징성
4. 명나라 베이징의 천단
5. 황가 원유 및 그것의 설계 방법

5장 명나라 베이징의 궁전·단묘 등 대형 건축군 총체적 계획의 특징

1. 베이징 자금성 궁전
2. 명·청 시기 베이징 태묘
3. 명·청 시기 베이징 천단
4. 결론

6장 전국 시대 중산왕릉 「조역도兆域圖」에 반영된 능원 제도

1. 「조역도」
2. 왕당
3. 계획에 따라 완공된 이후 능원의 전체적인 면모

[부록] 건축사 연구 작업에 대한 인식
1. 학문 분과에 대한 간단한 소개-건축역사학에 대한 인식
2. 발전 역정
3. 연구 내용-건축역사학의 분류
4. 발전 동향-건축사 연구 작업에 대한 회고와 전망

옮긴이의 말 | 이 책은 왜 ‘중국의 좋은 책’으로 선정되었을까?
찾아보기
Author
푸시녠,이유진
건축역사학자, 중국공정원 원사.
1933년 1월 베이징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쓰촨성 장안江安현이다. 1955년 칭화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부터 1970년까지 베이징의 건축공정부 건축과학연구원 ‘건축 이론과 역사 연구실’에서 근무했으며 1970년부터 1975년까지 톈수이天水의 국가건설위원회 제7공정국 제5공정공사에서 근무했다. 1975년부터 1983년까지 국가건설위원회 건축과학연구원 건축정보연구소 건축역사연구실에서 기술자로 근무했으며 1983년부터 2000년까지 중국건축기술연구원 건축역사연구소에서 건축가로 활약했다. 1994년 중국공정원 원사로 선출됐으며 2003년에는 중앙문사연구관 관원으로 임용됐다. 중국 고대 건축사 연구에 오랫동안 종사하면서 중국 고대 도시를 비롯해 궁궐과 단묘 등 대형 건축군의 계획과 배치 기법 및 건축물의 설계 규칙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1989년 이후 푸시녠은 『중국 고대 건축사』(전5권) 중 제2권인 『삼국·양진·남북조·수·당·오대 건축사』를 책임 편집했다. 이 책에서는 유적이 매우 부족한 이 시기 건축의 실례를 여러 문헌 사료 및 고고학 발굴 성과와 상호 인증하고 해외 자료를 활용하여 이 시기 건축의 기본적인 면모, 기술 수준, 발전 맥락 등을 정리했다. 1994년부터는 중국의 독특한 건축 체계가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계획 및 설계 방법을 중점적으로 탐구했다. 60여 년 동안 중국 고대 건축 연구에 전념하면서 60여 편의 논문과 25권에 달하는 저서를 펴냈다.
고대 건축 외에 고서적 판본 목록학과 고대 예술사 연구에도 힘써 이와 관련된 조부 푸쩡샹傅增湘의 유고 및 부친 푸중모傅忠謨의 유고를 정리하여 출판했으며 이 작업으로 국무원 고적정리출판 기획팀의 팀원, 중국국가도서관 고문으로 초빙되기도 했다. 중국 고대 서화사를 지속적으로 연구하면서 중국 국내외에 소장된 중요한 고대 명화의 식별과 관련된 10여 편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이는 『푸시녠 서화 감정집』으로 출판됐다. 『중국 미술전집·회화편』 중 『양송 회화』(상·하)와 『원대 회화』(전3권)를 책임 편집했다.
건축역사학자, 중국공정원 원사.
1933년 1월 베이징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쓰촨성 장안江安현이다. 1955년 칭화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부터 1970년까지 베이징의 건축공정부 건축과학연구원 ‘건축 이론과 역사 연구실’에서 근무했으며 1970년부터 1975년까지 톈수이天水의 국가건설위원회 제7공정국 제5공정공사에서 근무했다. 1975년부터 1983년까지 국가건설위원회 건축과학연구원 건축정보연구소 건축역사연구실에서 기술자로 근무했으며 1983년부터 2000년까지 중국건축기술연구원 건축역사연구소에서 건축가로 활약했다. 1994년 중국공정원 원사로 선출됐으며 2003년에는 중앙문사연구관 관원으로 임용됐다. 중국 고대 건축사 연구에 오랫동안 종사하면서 중국 고대 도시를 비롯해 궁궐과 단묘 등 대형 건축군의 계획과 배치 기법 및 건축물의 설계 규칙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1989년 이후 푸시녠은 『중국 고대 건축사』(전5권) 중 제2권인 『삼국·양진·남북조·수·당·오대 건축사』를 책임 편집했다. 이 책에서는 유적이 매우 부족한 이 시기 건축의 실례를 여러 문헌 사료 및 고고학 발굴 성과와 상호 인증하고 해외 자료를 활용하여 이 시기 건축의 기본적인 면모, 기술 수준, 발전 맥락 등을 정리했다. 1994년부터는 중국의 독특한 건축 체계가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계획 및 설계 방법을 중점적으로 탐구했다. 60여 년 동안 중국 고대 건축 연구에 전념하면서 60여 편의 논문과 25권에 달하는 저서를 펴냈다.
고대 건축 외에 고서적 판본 목록학과 고대 예술사 연구에도 힘써 이와 관련된 조부 푸쩡샹傅增湘의 유고 및 부친 푸중모傅忠謨의 유고를 정리하여 출판했으며 이 작업으로 국무원 고적정리출판 기획팀의 팀원, 중국국가도서관 고문으로 초빙되기도 했다. 중국 고대 서화사를 지속적으로 연구하면서 중국 국내외에 소장된 중요한 고대 명화의 식별과 관련된 10여 편의 논문을 저술했으며 이는 『푸시녠 서화 감정집』으로 출판됐다. 『중국 미술전집·회화편』 중 『양송 회화』(상·하)와 『원대 회화』(전3권)를 책임 편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