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 김정기가 유파의 제한 없이 시 작품을 수록한 잡지. 1938년 6월에 창간되어 1939년 4월 통권 5호로 종간되었다. 편집 겸 발행인은 김정기(金正琦)이다. 창간호는 A5판 38면, 3호는 B5판 20면이다. 맥사(?社)를 돈암동에 두고, 총판을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 함경북도총판을 청진 소비아서점(蘇比亞書店)에, 평양총판을 문우당서점(文友堂書店)에 두었고, 간도 용정가문화사(龍井街文化社), 연길 문화서원(文化書院)에 각각 지사를 두었다.
4집은 임시 편집소인 청진에서 편집하였다. 1집에 김진세(金軫世)·함윤수(咸允洙) 등 15명의 17편, 2집에 민태원(閔泰瑗)·장만영(張萬榮) 등 19명의 22편, 3집에 이상(李箱)·임화(林和) 등 32명의 38편, 4집에 허월파(許越波)·강시환(姜時環) 등 29명의 38편, 5집에 장응두(張應斗) 등 15명의 27편, 총 110여명 142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잡지는 동인지의 성격을 지니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또 유파(流派)를 내세워 제한하지도 않았다. “퇴폐적 본능, 무의식적인 단순한 인상(印象), 주정(主情)의 전달, 혹은 영감, 감상적 고백의 형태화시(形態化詩)에 반역해야 한다.”, “시는 늘 시대에 선행해야 한다.”, “우리는 시에 있어서 새로운 감성적 영역을 개척 확장키 위하여 의식적으로 주지적 활동에 의하여 비판정신을 파악하려 한다.”고 주장하였다.
수록된 작품으로는 김진세의 「운명(運命)」·「기심기(飢心記)」(1호), 김남인(金嵐人)의 「종다리」(1호), 이석(李石)의 「이깔나무」(1호), 박남수(朴南秀)의 「행복(幸福)」(1호), 이상의 「무제(無題)」(3호), 임화의 「차중(車中)」(3호), 김상옥(金相沃)의 「모래알」(3호), 장만영의 「들꽃이 핀 두덕」(3호), 서정주(徐廷柱)의 「모(母)」(3호), 윤곤강(尹崑崗)의 「오열(鳴咽)」(3호) 등이 있다.
시학 (詩學)
1939년에, 시학사에서 김정기가 시가를 중심으로 창간한 문예 잡지. A5판. 60면 내외. 1939년 3월에 창간되어 1939년 10월 통권 4호로 종간되었다. 편집인 겸 발행인은 1·2호 김정기(金正琦), 3·4호 한경석(韓慶錫)이다. 시학사(詩學社)에서 발행하였다. 권두언에서 당대 사회상황 속에서 시가 걸어가야 할 길을 모색하고 책임감 있는 시인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시인의 자아확립과 주지(主知)를 존중하고 주관(主觀)과 흥분을 배격하였다. 추천시고(推薦詩稿)를 매호에 공모하여 방수룡(方壽龍)·임백호(林白虎)·김동림(金東林) 같은 신인들을 배출하였으며, 「시단인(詩壇人)의 동인시지관(同人詩誌觀)」·「동인시지(同人詩誌)의 현재와 장래」 등의 설문, 「시인주소록(詩人住所錄)」 등과 같은 특집이 특색 있고 쓸모가 있다.
주요내용으로는 평론에 이원조(李源朝)의 「현대시(現代詩)의 혼돈(混沌)과 근거(根據)」, 최재서(崔載瑞)의 「시의 장래」(이상 1호), 홍효민(洪曉民)의 「시의 탈환(奪還)」, 이병기(李秉岐)의 「시와 시조」(이상 3호), 한흑구(韓黑鷗)의 「시의 생리론」(4호) 등이 있으며, 시에 이육사(李陸史)의 「연보(年譜)」(1호)·「호수(湖水)」(2호), 김광균(金光均)의 「공원(公園)」(1호)·「조화(弔花)」(4호), 유치환(柳致環)의 「가마귀의 노래」(2호)·「추료(秋寥)」(4호), 신석초(申石艸)의 「가야금」(2호)·「배암」(3호), 이용악(李庸岳)의 「절라도가시내」(3호)·「강ㅅ가」(4호) 외에도 신석정(辛夕汀)·서정주(徐廷柱)·김해강(金海剛)·이고려(李高麗) 등 여러 시인들의 시가 있다
시림 (詩林)
1939년, 삼문사에서 신진 시인들의 작품을 수록한 잡지. A5판. 22면. 1939년 3월에 창간되어 1939년 6월 3호로 종간되었다. 편집인 겸 발행인은 고경상(高敬相)이며, 삼문사(三文社)에서 발행하였다. 실무는 조연현(趙演鉉)이 하였고 주의(主義)나 경향에 기울지 않고 신진 시인들의 순수한 시운동에 이바지하였다. 1호에는 김대봉(金大鳳)·정낭파(鄭浪波)·조연현·최재형(崔載亨)·김유섭(金裕燮) 등 3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3호에는 그밖에 김광섭(金光燮)·김경린(金璟麟)·최태성(崔泰成)·전봉제(全鳳濟)·이상인(李相寅)·김추형(金秋灐) 등 20여명이 참여하였다. 1호에는 김대봉의 〈10월〉 등 3편, 정낭파의 〈밤〉, 조연현의 〈밤〉·〈여급 카츄사〉, 최재형의 〈아침〉, 김유섭의 〈만가 挽歌〉 등 35편이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