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란 상품 교환의 매개물로 가치의 척도, 지불의 방편, 가치의 저장 수단 등으로 유통되는 재물이다. 자급자족을 하던 인류는 경제생활이 변화하여 잉여생산물이 발생하면서 물물교환을 하게 되었고, 그 후 조개껍데기나 가축, 곡물류 등의 물품화폐를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원시 자연 경제 시기를 거쳐 품질·체재 및 무게 등을 규격화한 화폐가 주조·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성종 15년(996년)에 등장한 ‘철전’이 처음이다. 그러나 화폐의 사용이 활발해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1678년 ‘상평통보’가 등장하면서 화폐의 사용이 다소 확대되어 점차 자리를 잡아가기도 했지만 대한제국 말기까지도 화폐는 지금처럼 거래의 수단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지는 못했다. 삼국시대 이전에는 조개껍질과 같은 쉽게 구할 수 있는 물품이, 벼농사 이후에는 가치 산정이 비교적 쉬운 곡물, 직물 등이 화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물품의 직접적인 거래에 불편함을 느낀 이후에는 지금의 화폐, 즉 칭량 화폐가 나타나게 되었다.
1909년 11월 우리나라 최초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설립되었다, 한국은행은 1910년 12월 1원권을 시작으로 5원, 10원권 화폐를 제조하였다. 1911년 2월「조선은행법」이 공포되어, 8월에는 한국은행은 조선은행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광복 때까지 화폐를 발행하였다. 1910년 1,180여만 원에 불과하던 발행고는 1945년 8월에는 49억 원에 이르렀다.1945년 8월 광복 이후에도 중앙은행 업무를 계속하던 조선은행은 당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식민지 금융체제 청산에도 한계가 있었다. 결국 1950년 5월「한국은행법」이 제정·공포되고, 6월 ‘한국은행’이 설립되었다. 1951년 10월「한국조폐공사법」에 의하여 한국조폐공사가 설립되어 1952년 10월 국내 최초로 새 한국은행권 1천원권과 5백원권을 발행하였고, 그 뒤부터 한국은행권의 제조는 한국조폐공사가 맡게 되었다. 한국은행은 설립 직후 발발한 6.25전쟁으로 전쟁비용을 조달하고 인플레이션 수습에 역점을 두었으며, 정전 이후에는 경제재건을 위한 금융자금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화폐의 발생과 발전 과정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쓰였던 외국 화폐와 유사 화폐, 북한의 화폐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많은 공부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화폐의 경제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화폐에 담겨 있는 학문적, 자료적인 가치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