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들의 노래

서지 않는 열차를 멈춰 세우며
$22.68
SKU
979116873055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12
Pages/Weight/Size 148*210*25mm
ISBN 979116873055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차별받은 존재가 저항하는 존재가 될 때
세계는 다시 시작된다
버스, 지하철, 수용시설 그리고……
마침내 이 사회 전체를 멈춰 세운 이들의 생生을 건 싸움


그런 사람들이 있다. ‘어느 날 갑자기’ 분주한 출근길 지하철 승강장에 출몰해 한순간 도시의 리듬을 마비시킨 이들. 세상은 이들을 ‘전장연’(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라고 불렀다. 한때 거대 양당의 당 대표였던 이는 이들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를 ‘선량한 시민을 볼모로 잡는 비문명적 시위’로 몰아세우며 공격했고, 그사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수차례 ‘무정차’ 대응을 개시하며 장애인의 탑승을 거부했다. 휠체어에서 바닥으로 몸을 던져 기어서 열차 탑승을 시도하려는 이들을 서울교통공사 보안관과 경찰들은 시종일관 폭력적으로 저지했다.

이 책은 2021년 12월 시작된 출근길 지하철 시위의 기원을 더듬어보는 기록이다. 몇십 년간 지속해온 매일의 투쟁을 통해 거대하고 견고한 비장애인 중심 사회에 균열을 낸 싸움꾼 6인(박길연, 박김영희, 박명애, 이규식, 박경석, 노금호)의 생애가 인권기록활동가 홍은전의 글 속에서 뜨겁게 빛을 발한다. 이 여섯 개의 생애사들은 장애인이 승강장에 서기까지, 시설에서 혹은 집구석에서 지역사회로 나오기까지 걸린 22년이라는 시간을 감각하도록 한다.

전장연 혹은 장애인들의 시위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급작스러웠지만, 전장연은 늘 해오던 투쟁을 여전하게 하고 있을 뿐이다. 이 투쟁은 하루아침에 벌어진 해프닝이 아니며, 수십 년에 걸친 장대한 역사를 뚫고 오늘날의 이곳에 ‘사건’으로 당도했다. 이들이 버스, 지하철, 수용시설, 그리고 마침내 ‘이 사회 전체’를 멈춰 세워 만들고자 했던 가장 낮고 가장 약한 자들을 위한 세계를 지금 우리는 보고 있다.

한편으로 이 책은 《비마이너》가 기획한 ‘진보적 장애인운동 기록 시리즈’의 첫 권인 《유언을 만난 세계》(2021)의 후속작이기도 하다. 장애해방운동에 온몸을 바친 열사들의 ‘죽음’에 ‘삶’으로서 응답하며 고군분투해온 여섯 명의 생애사인 셈이다.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휘청이며 저항했던 무수한 이들의 이야기에 이제 이 사회가 응답할 차례다.
Contents
기획의 말 4
‘시작’을 만들고 ‘다음’을 조직한 전사들의 노래 | 강혜민(《비마이너》 편집장)
기록의 말 9
우리의 말이 역사가 되도록 | 홍은전

살아 있다는 것의 의미 | 박길연 이야기 17
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이 되기까지 | 박김영희 이야기 69
내 삶을 내 손에 움켜쥐고 | 박명애 이야기 139
나의 쓸모 | 이규식 이야기 193
싸우는 인간의 탄생 | 박경석 이야기 245
운동은 삶을 구할 수 있을까 | 노금호 이야기 315
장애해방운동이 걸어온 길 400
Author
홍은전,비마이너,훗한나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활동했고, 차별에 저항해 온 장애인들의 이야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업합시다』와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 『노란 들판의 꿈』을 썼다. 인권기록활동네트워크 ‘소리’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부산 형제복지원 피해 생존자와 4·16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기도 했다. 문제 그 자체보다는 문제를 겪는 사람에게 관심이 있고 차별받는 사람이 저항하는 사람이 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인권의 현장에서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한다. 이외에 『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 『아무도 내게 꿈을 묻지 않았다』 등을 펴냈다.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활동했고, 차별에 저항해 온 장애인들의 이야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업합시다』와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 『노란 들판의 꿈』을 썼다. 인권기록활동네트워크 ‘소리’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부산 형제복지원 피해 생존자와 4·16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기도 했다. 문제 그 자체보다는 문제를 겪는 사람에게 관심이 있고 차별받는 사람이 저항하는 사람이 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인권의 현장에서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한다. 이외에 『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 『아무도 내게 꿈을 묻지 않았다』 등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