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사연구』는 고대의 불교 전래 이래 중세와 근세 및 근대의 불교 역사 지형을 중심으로 관련 논문을 선정하여 한국불교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조망할 수 있도록 엮었다.
민족사에서 “한국불교연구 100년을 정리해 본다”는 관점에서 두 권의 학술서를 출간했다. 『한국불교사연구』(세존학술총서 6)와 『한국불교학연구』(세존학술총서 7)가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책은 한국불교 100년을 점검하고 총결산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책은 『조선불교통사』(1918)가 간행된 해로부터 100년이 되는 2018년 봄에 기획되어 4년여 만에 출간됐다. 동국대 고영섭 교수가 한국불교사를 대표하는 논문 21편, 한국불교학을 대표하는 논문 21편씩 선정하고 선정 이유 등을 정리하여 엮었다. 이 두 권에 실린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총 42편의 논문을 통하여 한국불교사와 한국불교학 연구 성과를 가늠하고 조망해 볼 수 있을 것이며, 한국불교의 연구 척도와 심도도 한눈에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앞으로 한국불교가 무엇을 보완해야 하는지, 또 한국불교 연구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간행사 _4
서문 _9
일러두기 _12
1. 고구려 초전불교의 공인과 그 의미………………………… 김두진·23
1. 머리말 / 26
2. 고구려의 초전 격의불교 / 27
3. 불교의 공인과 그 신앙 / 34
4. 공인불교의 전개와 역사적 의미 / 41
1) 공인불교의 전개_ 41
2) 불교 공인의 역사적 의미_ 47
5. 맺는말 / 53
Ⅰ. 머리말 / 670
Ⅱ. 고려 후기 오대산의 고승과 사적 / 672
1. 고려 후기 사적 편찬과 대장경 봉안 _ 672
2. 고려 말 나옹과 문도들의 불사 _ 676
Ⅲ. 조선 초기 나옹 문도들의 중흥불사 / 681
1. 조선 초 나옹 문도들의 불사 _ 682
2. 세조의 삼화상과 왕실의 상원사 중창불사 _ 686
Ⅳ. 맺음말 / 693
17. 조선시대의 승직僧職제도……………………………………… 이봉춘·701
Ⅰ. 머리말 / 704
Ⅱ. 선초鮮初 배불책排佛策과 승직의 변천 / 706
1. 고려 승직제도의 계승 _ 706
2. 양종판사兩宗判事 제도의 시행 _ 709
3. 승과僧科·법계法階·승직의 폐지 _ 715
Ⅲ. 임란壬亂 이후의 새로운 승직 / 719
1. 도총섭都摠攝 제도의 발생 _ 720
2. 총섭總攝의 확대와 유형 _ 724
3. 규정소糾正所 제도와 그 기능 _ 729
Ⅳ. 조선불교 승직의 성격(맺음) / 733
18. 벽송 지엄의 신자료와 법통 문제…………………………… 고익진·737
1. 벽송 지엄碧松智嚴의 사적史的 위치 / 740
1) 사상의 면에서 _ 740
2) 법계法系의 면에서 _ 743
2. 신자료新資料의 내용 / 747
1) 훈몽요초訓蒙要抄 _ 747
2) 염송화족拈頌畵足 _ 749
3) 조원통록촬요발문祖源通錄撮要跋文 _ 751
3. 조선시대 전법의 이중구조 / 752
1) 보조선普照禪의 계승 _ 752
2) 임제적통臨濟嫡統의 표방 _ 755
19. 청허 휴정과 조선 후기 선과 화엄…………………………… 김용태·759
Ⅰ. 머리말 / 764
Ⅱ. 청허 휴정의 선교 인식 / 767
Ⅲ. 임제법통과 간화선풍의 계승 / 773
Ⅳ. 선교겸수와 화엄교학의 전통 / 780
Ⅴ. 맺음말 / 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