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그루시선 43번째 시집은 제주4?3 77주년을 맞아 묶은 김영란 시인의 4?3시조집이다. 제주 토박이가 펴낸 첫 4?3 시조집으로, 총 5부에 걸쳐 59편의 시를 담았다.
시집 전체가 제주4?3을 다루고 있는바, 시인은 시집의 첫머리에 “4?3 때 억울하게 숨져간 모든 4?3 영령들께 이 시집을 바친다”는 헌사를 전하고 있다. 4?3의 생생한 증언에서부터 수형인, 행방불명인, 유족과 도민들의 신산한 삶, 그리고 제주와 한국을 넘어 세계 속에서 4?3의 의미를 되새기는 등 4?3을 바라보는 시인의 집요하고도 깊은 시심(詩心)이 담겼다.
김동현 문학평론가는 해설에서 “시조 고유의 맛깔을 잘 살리면서도 일상어를 한껏 담아내고 있음이 돋보인다.”며 “정형률에 갇혀 있다는 느낌이 거의 들지 않을 정도의 자연스러움”에 주목했다. 또한 “4?3운동의 당당한 주체로서 그 역할을 줄기차게 수행하는 가운데 나이 들수록 김영란의 혁명적 색채는 더욱 붉어져” 가고 있음을 밝히며 “이번 시조집을 통독하면서 나는 김영란이야말로 지지 않는, 결코 질 수 없는 열정의 꽃 그 자체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Contents
제1부
손톱달 안부|어떤 추도사|게메마심|긴 무덤|남바람꽃|봉근둥이|조천|돌매화|사촌형님|꽃도 아픈 사월에|눈물이 된 섬|별의 기원
제2부
진눈깨비|엽서 한 장|벚꽃이 피면|돌아오지 못한 사람들|메기독딱|딱 한마디|돌들이 말할 때까지|별도봉|어떤 이별|술 한잔|주남마을 버스 정류장|노란 꽃
제3부
사월의 레시피|유도화|멀미|기다리며|고구마|송령이골|그리운 것들은|밀라이|베트남 피에타|슬픈 자장가|고엽제|그대 아직 살아있다면
제4부
귓속말로 우는 뻐꾸기|곤을동 멀구슬나무|불칸낭|이비외솔|꽃 피지 않는 봄|산전 가는 길|산푸른부전나비|표선 백사장|무등이왓|여섯 개의 점으로 쓰인 비문에 대하여|성산포 일몰
제5부
동백 졌다 하지 마라|꽃들의 예비검속|동백 붉은 이유|고사리 장마|제주사람|섯알오름|바다는 안 보여요|삽시|성산포의 달|을씨년스러운 날|목숨|하직
해설: 지지 않는 열정의 꽃_김동윤(문학평론가)
Author
김영란
201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에 4·3진상규명과 4·3희생자명예회복을 위한 진상조사연구원으로 제주4·3도민연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시집으로 『꽃들의 수사修辭』, 『몸 파는 여자』, 『누군가 나를 열고 들여다볼 것 같은』이 있고, 작가가 만난 4·3 사람들 『봄은 가도 봄은 오네』, 『돌아보면 그가 있었네』 등 공동집필서 다수가 있다.?
201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비슷한 시기에 4·3진상규명과 4·3희생자명예회복을 위한 진상조사연구원으로 제주4·3도민연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시집으로 『꽃들의 수사修辭』, 『몸 파는 여자』, 『누군가 나를 열고 들여다볼 것 같은』이 있고, 작가가 만난 4·3 사람들 『봄은 가도 봄은 오네』, 『돌아보면 그가 있었네』 등 공동집필서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