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情動, affect)과 젠더의 연구방법을 결합하여 주체와 몸, 삶과 죽음, 질병, 장애, 소수자, 포스트휴먼 등에 대한 인문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는 젠더·어펙트 총서의 제4권 『연결신체학을 향하여』가 출간되었다. 『연결신체학을 향하여』에는 연결성을 재구축하는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그 위에서 벌어지는 실천 사례들과 ‘연결신체학’을 규정하는 새로운 지식을 제안하는 12편의 결과물이 수록되었다.
어펙트 연구는 이제 낯선 학문의 영역이 아니다. 일본에서는 인류학의 확대재생산을 위한 대안으로, 북미와 영국에서도 소수자 연구와 어펙트 연구를 결합하는 이론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국내에서 어펙트 연구는 한국문학, 사회복지학, 미디어 연구,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과학문 간의 공동 연구를 통해 대안적인 지식 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이번 책 『연결신체학을 향하여』는 기존 분과학문을 갱신하며 새로운 분과학문의 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연구의 방향을 충실하게 담아냈다. 각자의 입지에서 시작한 연구는 그 과정에서 정동을 발견하며 정동을 또 하나의 방법론으로 빚어간다. 각각의 글은 학문적 경계와 위계를 뛰어넘으며 연결되고, 새로운 실천의 대안을 제시한다.
Contents
서문: 연결신체학을 향하여
1부 트랜지셔널 아시아의 정동 지리: 트랜스 퍼시픽에서 트랜스 아시아까지
젠더 · 어펙트 연구 방법론과 역사성 (권명아)
아이누의 히로인과 전쟁의 정동 (나이토 치즈코)
타이완 가자희와 한국 여성국극 속 과도기적 신체와 정동적 주체 (첸페이전)
2부 손수 장인들의 테크놀로지와 대안 정동: 해녀, K-팝, 맘카페
크래프트의 실천지리 또는 ‘해녀’와 ‘아마’의 정동지리 (권두현)
팬덤의 초국적 기억정치와 정동 (이지행)
연결된 엄마들, 확장된 목소리, 새로운 정치 주체의 탄생 (최서영, 최이숙)
3부 연결된 ‘과거’와 역사적 정동: 이야기, 종교, 미학의 정동 정치
어머니의 신체와 연결성 (강성숙)
일제하 일본인 사회사업과 조선인 (소현숙)
일본 내셔널리즘과 미와 멸망의 정동(情動) (이지현)
4부 정동적 정의와 존재론적 전회: 부정의에 맞서는 대안 이론과 실제
비접촉시대에 돌봄노동자의 삶과 노동의 위태로운 기술로서 정동적 부정의 (정종민)
나이 듦과 장애 (이화진)
가정폭력과 반려동물 학대의 문제 및 개입 (박언주, 김효정, 류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