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 노동자에 대한 조직적 배제
기업 내에서의 계급 간 동맹 우선시
저항의 감소, 온건화, 연대의 쇠퇴, 파업의 의례화
공장 안과 밖, 자본에 포섭된 노동
울산 대공장 노동계급 형성의 역사와 실체를 밝힌다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울산 대공장 노동자들의 생활과 의식, 노동운동을 분석하다
울산은 한국의 최대 중화학 공업도시이며, 노동운동의 중심지였다. 이 책은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 울산의 대공장 노동자의 생활과 의식, 노동운동을 노동계급 형성의 관점에서 살피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는 민주화 이후 지난 35년의 급격한 사회 변동 속에서 한국의 노동계급이 지나온 행로를 이해하고 오늘날 그들의 집단적 실천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저자는 계급이 구체적인 시공간의 맥락 속에서 계급을 구성하는 여러 층위들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성되는 것이라는 관점에 따라 울산의 대공장 노동자들의 계급상황, 집단 정체성, 집합행동의 세 가지 층위들 각각의 변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작업장의 노사관계와 노동운동뿐만 아니라 노동자와 노동자의 가족의 생활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울산 대공장 노동자의 삶과 그들의 노동운동의 전체적인 모습을 분석한다.
Contents
머리말
1장 서론
1. 문제의식
2. 분석의 시각
3. 노동계급 형성의 이론
4. 분석의 전략과 주요 내용
5. 자료 소개
2장 ‘현대시’ 울산의 탄생과 노동자 생활
1. 공업도시 울산의 탄생
2. ‘현대에 의해 현대화된 현대시’
3. 1987년 이전의 현대그룹 노동자
3장 노동자대투쟁과 지역노동운동
1. 노동자대투쟁 이전의 미시동원의 네트워크
2. 울산 노동자대투쟁의 양상
3. 계급전쟁
4. 지역노동운동의 결정적 국면과 조직적 경계
1. 육체노동자로서의 신분의식과 집단 정체성
2. 노동자 가족생활의 변형: 소비와 성별 분업
3. 지역사회의 공간성 변화와 계급형성
7장 풍요로운 노동자의 생활세계와 공장의 세계
1. 2000년대 이후 기업의 고도성장과 풍요로운 노동자
2. 외환위기 이후 노동조합 임금정책
3. 풍요로운 노동자가 일하는 공장의 세계
4. 풍요로운 노동자의 생활세계
8장 내부의 타자, 사내하청 노동자
1. 연대에서 사회적 폐쇄로
2. 계급 연대의 좌초: 현대자동차 사내하청 노동자 투쟁의 역사
3. 계급 연대는 왜 실패했는가?
9장 노동자 집합행동과 저항 레퍼토리: 30년의 궤적
1. 자료와 방법
2. 민주화 이후 울산 노동자 집합행동의 궤적
3. 노동운동의 분기와 새로운 집합행동 주체의 출현
4. 노동자 저항 레퍼토리의 분기
5. 주요 노동조합들의 집합행동의 레퍼토리 비교
6. 소결
10장 결론
1. 요약
2. 도구적 집단주의에 대하여
3. 비교와 전망: 노동계급의 재형성?
부록: 울산 지역 노동자 저항사건 코딩의 원칙과 도식
Author
유형근
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울산지역 노동운동과 계급형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과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노동운동과 노사관계, 노동인권교육 분야에 관심을 두며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주변부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조직화와 청소년 노동인권교육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산업노동학회 학술위원장,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으로 일했고, 현재 한국산업노동학회 편집위원이다.
부산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울산지역 노동운동과 계급형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과 이화여자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노동운동과 노사관계, 노동인권교육 분야에 관심을 두며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주변부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조직화와 청소년 노동인권교육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산업노동학회 학술위원장,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으로 일했고, 현재 한국산업노동학회 편집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