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은 스피노자가 처음 주목하고 들뢰즈에 의해 확장된 개념으로, 내재성을 지닌 존재들의 관계 속에서 포착된다. 필자가 이야기하는 정동은 내재성을 지닌 존재인 필자와 필자가 속한 세계에서 내재성을 지닌 또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필자의 행동 능력의 증대나 감소를 불러일으키는 힘 또는 그러한 행동 능력의 변이 자체를 말한다. 정동은 느낌이나 감정, 정서와도 구별된다. 느낌이나 감정, 정서가 상태라면, 정동은 그러한 상태로의 변이를 의미한다. 필자가 정서가 아닌 정동에 주목하는 것은 글쓰기를 필자 존재의 내재적 차이를 생성하는 역동적인 생성(~되기)의 과정으로 변환시킨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때 필자는 이러한 내재적 차이를 생성하는 존재들과 마주치며, 서로 정동하고 정동되는 정동적 존재로 이해할 수 있다.
필자의 쓰기, 즉 필자의 생성 과정은 글을 쓰고자 하는 필자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 ‘쓰기 배치’ 안에서 이루어진다. ‘배치’란 내재성을 지닌 정동적 존재들이 맺는 관계와 그 관계에서 발생하는 정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쓰기 배치 참여자로는 필자뿐만 아니라 필자가 속한 공동체의 구성원과 같은 인간 참여자, 비인간 참여자를 모두 포함한다. 이들 배치 참여자들은 모두 필자의 생성 과정에 행위 주체성을 가지고 영향력을 발휘한다.
Contents
1부 정동과 문식 환경
1장 정동과 배치
1. 왜 정동인가?
2. 정동의 개념과 성격
3. 배치와 생성(~되기)
2장 문식 환경에서의 정동과 배치
1. 쓰기 배치 참여자
2. 교실 쓰기 환경에서의 정동과 배치
3. 교실 밖 쓰기 환경에서의 정동과 배치
2부 정동 중심 쓰기와 교육
3장 정동 중심 쓰기의 개념과 의의
1. 정동 중심 쓰기의 개념
2. 정동 중심 쓰기의 교육적 의의
4장 정동 중심 쓰기의 경험
1. 필자의 정동 중심 쓰기
2. 정동 중심 쓰기의 조건
3부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설계
5장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특성과 목표
1.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특성
2.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목표
6장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
1.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내용
2.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방법
7장 정동 중심 쓰기 교육의 실제
1. 지도 대상 및 수업 설계
2. 지도 결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