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듭해 쌓아가는 정성만이 참된 깨우침을 위한 길이며 학인의 수행에 가장 중요한 100칙이 ‘벽암록’이라, 허물과 번뇌 없이 맑고 깨끗한 가르침이 담긴 ‘금강혜심론’에 이어 깨우침을 위한 일백 지침을 수능엄경을 한글완역한 일지 스님과 함께 논한다.
이와 같이 나는 보았고如是我見 이와 같이 나는 들었으며如是我聞 이와 같이 나는 터득했고如是我覺 이와 같이 나는 알았다네如是我知. 더불어 이와 같음을 바탕으로 이와 같이 나는 말하고如是我言 이와 같이 나는 문자를 세웠으며如是我立文字 이와 같이 나는 모양이나 상태를 세우고如是我立相 이와 같이 나는 오가면서如是我往來 이와 같이 나는 전하는 것如是我傳이라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1963년 충북 증평에서 태어났다. 1983년 출가하여 만행萬行을 하던 중 1991년 선사禪師 일휴一休 스님을 만나 3년간 시봉, 정진해 수능엄경을 사사받았다. 정진 수행하는 동안 수능엄경 번역에 힘썼다. 2006년부터 집필활동을 했으며 저서로는 『육십갑자를 펼쳐 보게 팔자가 보인다네』, 『사상론』, 『천운해제天運解題』, 『주역 64괘 해제』, 『수능엄경』, 『병신 하니 등신 하네』가 있다. 지금은 시발산방始發山房에서 구도에 전념하고 있다.
1963년 충북 증평에서 태어났다. 1983년 출가하여 만행萬行을 하던 중 1991년 선사禪師 일휴一休 스님을 만나 3년간 시봉, 정진해 수능엄경을 사사받았다. 정진 수행하는 동안 수능엄경 번역에 힘썼다. 2006년부터 집필활동을 했으며 저서로는 『육십갑자를 펼쳐 보게 팔자가 보인다네』, 『사상론』, 『천운해제天運解題』, 『주역 64괘 해제』, 『수능엄경』, 『병신 하니 등신 하네』가 있다. 지금은 시발산방始發山房에서 구도에 전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