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백 년 길, 오 년의 삭제

부동산 광풍에 신음하는 부산의 길을 찾아간 현장 답사기
$19.32
SKU
979116826113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hu 12/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Thu 12/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24
Pages/Weight/Size 140*210*20mm
ISBN 9791168261136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인간이 외로운 까닭은 길이 아닌 벽을 세우기 때문이다.”
개발과 매립으로 사라진, 부산의 21곳을 기리는 길 위의 사회학


오랜 시간 부산일보 논설위원으로 활동했고, 현재는 일선 선임기자로 활동하는 저자가 필 끝을 부동산 개발에 스러져 가는 부산의 길로 겨누었다. 2018년에 한 번, 2023년에 또 한 번 부산의 곳곳을 걸으며 오 년이란 시간 동안 얼마나 많은 부산의 길이 지워졌는지, 무엇이 사라졌고 무엇이 우리에게 아직 남아 있는지 톺아보았다. 도시화와 산업화라는 말로 포장된 무자비한 개발이 앗아간 것들에 “위령제라도 지내자는 심정으로” 걷고 썼다. 사람과 물자가 흐르는 자연스러운 생김새인 길을 찾는 여정이자 “삶터의 속살을 보고자 하는 행보”였다.

그곳 어른들은 조망권을 즐길 겨를이 없었다. 젊을 땐 어두운 새벽을 헤치고 일을 나가면 별을 보면서 퇴근하기 일쑤였다. 바다를 내려다보며 여유를 즐기는 자체가 사치였다. 그분들이 노년에 이르자 이제 고층 건물들이 그 전망을 독차지해 버렸다. 젊어서도 늙어서도 조망권은 언제나 남 몫이었다. “바다는 우리만 볼게”라는 부자들의 목소리가 환청처럼 들렸다. - ‘들어가며’ 中
Contents
들어가며

Ⅰ. 눈을 의심케 하는 도심 속 황토 벌판

1. 부동산 욕망에 불붙인 동해선 개통 (부산교대~송상현광장)
2. 지우개로 지운 칠판 같은 백 년 고갯길 (우암동 소막마을)
3. ‘정중앙’마저 뽑아 버린 재개발의 위력 (당감시장~동평초등학교)
4. 아파트 건설에 밀려난 ‘피란민의 성지’ (서구 아미동 순례)
5. ‘마천루’, ‘신기루’ 구별을 어렵게 하는 골목 (용호동 전통마을~오륙도 SK뷰아파트)
6. 찢기고 잘려 나간 삶의 흔적들 (지겟골~못골 옛길)
7. 간극과 비틀림을 확인한 영도의 허리 (영도 중리~한국해양대)

Ⅱ. 망각을 바라는 흔적 유실의 현장

1. 뱃길 들머리에 부는 변화의 바람 (덕천역~구포장)
2. 잊힌 조방과 사라지는 매축지마을 (조선방직 옛터~매축지)
3. 키가 크는 이유는 볕이 아니라 자본 (남천동~대연동 옛 해안 길)
4. 개발 욕망에 스러지는 ‘근대의 향기’ (초량길)
5. 갈잎… 모래톱… 추억과 함께 콘크리트 밑으로 (신평역~에덴공원)
6. 문학·음악의 낭만도 그만 재개발 굉음에 (일광면 해안가)
7. 비워지는 100년 기억의 창고 (민락동 옛 해안 길)

Ⅲ. 파도가 덮치고 몽돌이 쓸리는 해조음

1. 단절과 삭제 사이에 놓인 그 어디쯤 (서동~금사동)
2. 손잡고 이어지는 섬과 포구, ‘부산의 다도해’ (낫개역~몰운대)
3. 100년 길 훼손을 걱정한 4㎞ 여정 (남포동역~송도해수욕장)
4. 북항 변화에 빨려 들어가는 배후지 (영도 봉래·남항길)
5. 빠름과 느림, 변화와 정체의 고개 ‘대티’ (대티고개~괴정동)
6. 도시화에 묻힌 시·공간의 흔적들 (전포카페거리)
7. 40일 만에 만난 의문의 ‘삭제’ 현장 (심상소학교 라인)

참고 문헌
Author
이준영
울산 학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부산대학교에서 사회학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인문교육을 전공했다. 부산일보사에서 일선 기자와 논설위원 역할을 주로 맡았다. 한국이라는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여러 모순의 근원을 지나친 수도권 집중으로 여긴다. 그런 차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글을 많이 썼다. ‘부산의 길’에 관심을 둔 것도 그와 무관하지 않다. 국가지명위원회에서 고향 지명을 애전(艾田)으로 바로 잡도록 불을 댕겼다. 모두 자기를 둘러싼 환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지식과 행위는 소용이 적다는 인식에 근거한다. 서양 고전의 계통을 세워 읽고, 토론하는 모임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나를 만난 오뒷세이아』, 『유혹으로 읽은 일리아스』, 『헤로도토스 역사 따라 자박자박』을 더불어 출간했다. 부산교육대학교에서 [인문학과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다.
울산 학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부산대학교에서 사회학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인문교육을 전공했다. 부산일보사에서 일선 기자와 논설위원 역할을 주로 맡았다. 한국이라는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여러 모순의 근원을 지나친 수도권 집중으로 여긴다. 그런 차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글을 많이 썼다. ‘부산의 길’에 관심을 둔 것도 그와 무관하지 않다. 국가지명위원회에서 고향 지명을 애전(艾田)으로 바로 잡도록 불을 댕겼다. 모두 자기를 둘러싼 환경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지식과 행위는 소용이 적다는 인식에 근거한다. 서양 고전의 계통을 세워 읽고, 토론하는 모임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나를 만난 오뒷세이아』, 『유혹으로 읽은 일리아스』, 『헤로도토스 역사 따라 자박자박』을 더불어 출간했다. 부산교육대학교에서 [인문학과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