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경험, 나의 시도

$19.44
SKU
979116823069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6/05
Pages/Weight/Size 162*180*11mm
ISBN 9791168230699
Categories 예술
Description
명조체와 고딕체의 원형을 디자인한 1세대 글꼴 디자이너 최정호의 유일한 저서

‘오늘날의 명조체와 고딕체의 원형을 만든 사람’ ‘출판계와 디자인계에서 오랫동안 감춰져 있던 이름’. 1957년 동아출판사체를 시작으로 삼화인쇄체, 동아일보제목체 등을 만들고, 일본 모리사와와 샤켄을 위한 한글 원도 제작에 참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명조체와 고딕체를 만든 최정호. 그의 비전?傳을 생전 유일하게 글로써 남긴 디자인 잡지 《꾸밈》의 연재 글을 한데 엮었다. 최정호가 디자인계에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된 《꾸밈》 인터뷰와 당시 《꾸밈》의 아트디렉터였던 안상수의 부탁으로 연재하게 된 여섯 편의 글은, 척박한 환경에서 노동집약적산업이라 할 수 있는 한글꼴 설계에 매진하며 깨우친 그의 한글 조형 이론을 그의 언어 그대로 보여준다.
Contents
들어가며
일러두기

나의 경험, 나의 시도 1
《꾸밈》 11호, 1978년 8·9월

나의 경험, 나의 시도 2
《꾸밈》 16호, 1979년 3·4월

나의 경험, 나의 시도 3
《꾸밈》 17호, 1979년 5·6월

나의 경험, 나의 시도 4
《꾸밈》 18호, 1979년 7·8월

나의 경험, 나의 시도 5
《꾸밈》 19호, 1979년 8·9월

나의 경험, 나의 시도 6
《꾸밈》 20호, 1979년 10·11월

대화. 한글 자모의 증인 최정호
《꾸밈》 7호, 1978년 1·2월

최정호 연표
Author
최정호
1916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오늘날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이주해 요도바시(淀橋)미술학원에서 수학하며 글꼴 디자인에 눈을 떴다. 한국으로 돌아온 뒤 동아출판사체, 삼화인쇄체, 동아일보제목체 등을 만들고, 일본 모리사와와 샤켄을 위한 한글 원도 제작에 참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명조체와 고딕체의 원형을 만들었다. 글꼴을 만들며 터득한 원리를 「나의 경험, 나의 시도」라는 제목으로 《꾸밈》에 연재했다. 제1회 한국출판학회상, 제24회 3·1문화상 근로상을 받았다. 1994년 옥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1988년 최정호체의 원도를 남기고 일흔셋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916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오늘날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이주해 요도바시(淀橋)미술학원에서 수학하며 글꼴 디자인에 눈을 떴다. 한국으로 돌아온 뒤 동아출판사체, 삼화인쇄체, 동아일보제목체 등을 만들고, 일본 모리사와와 샤켄을 위한 한글 원도 제작에 참여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명조체와 고딕체의 원형을 만들었다. 글꼴을 만들며 터득한 원리를 「나의 경험, 나의 시도」라는 제목으로 《꾸밈》에 연재했다. 제1회 한국출판학회상, 제24회 3·1문화상 근로상을 받았다. 1994년 옥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1988년 최정호체의 원도를 남기고 일흔셋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