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와비사비: 다만 이렇듯』은 한국어판 기준 2019년 출간된 『와비사비: 그저 여기에』를 보완하는 동시에 더욱 심화적으로 탐구하는 책이다. 저자 레너드 코렌은 전작에서 와비사비를 “불완전하고 비영속적이며 미완성된 것들의 아름다움이다. 소박하고 수수하며 관습에 매이지 않는 것들의 아름다움이다.”이라 명시했다. 저자는 전작 이후 와비사비의 인식 체계가 광범위하게 수용된 것에 만족했지만, 동시에 와비와 사비가 결합하게 된 상황을 설명하는 데 소홀했다는 부분에서 아쉬움을 느꼈다. 이 책은 그로 인해 파생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쓴 것이다.
책은 먼저 와비사비의 인식 체계와 어원을 다시금 간략히 설명하고, 와비차가 창안된 전국시대부터 ‘활기 띤 시대’를 지나 최후를 맞기 전까지를 톺아보며 와비사비의 개념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명확히 밝힌다. ‘와비차의 시대’의 생성과 실행에 동참했던 이들은 적합한 물질성, 환경, 심경에 관한 자기 생각을 편지, 일기, 시, 주석 등 수많은 문서로 남겼다. 저자는 연구 결과와 자신의 통견을 거쳐 와비사비의 온전한 의미, 즉 명료하게 개진된 사상의 매개체를 언어로 정리했다. 미적 타자, 일상적인 것의 변용, 무의 가장자리에 있는 아름다움, 고매한 청빈, 그리고 불완전성. 이 모두가 와비사비 본유의 특성에 대한 감을 일깨워주는, 와비사비의 미적 구성 요소의 토대다.
마지막 두 장에서는 현대 세계에서 와비사비의 위치라는 색다른 문제를 다루었다. 전작이 출판된 후 각종 분야의 창작자가 더러 와비사비라고 묘사된, 고의로 낡고 해묵어 보이게 한 걸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또한 디지털화된 현실과 와비사비가 대조를 이룬다는 점에 매력을 느끼면서도, 와비사비가 디지털 형태에서 존재할 수 있는지 묻기도 한다. 와비사비처럼 보이는 것들이 정말 와비사비인가? 와비사비는 단지 스타일이 되었을 뿐인가? 누가, 무엇이 와비사비를 만드는가? 와비사비와 디지털 영역은 왜 양립 불가능한가? 책은 이런 의문을 상세히 고찰하며 독자와 함께 물질성 및 물질성의 본질을 숙고한다.
Contents
더 상세한 고찰
와비사비의 우주
와비사비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1
와비사비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2
와비사비 본유의 물질성
와비사비의 현실과 디지털 현실
사진 설명
주석
옮긴이의 글
Author
레너드 코렌,박정훈
뉴욕에서 태어나 로스앤젤레스에서 성장한 레너드 코렌은 건축을 전공했지만 기이하게 생긴 일본식 다실을 제외하고는 정작 아무것도 지은 적이 없다. 영구적인 대형 건물의 설계는 철학적으로 너무 성가신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신에 그는 집필과 출판에 눈을 돌려 1970년대 최고의 아방가르드 매거진이라 평가받는 《WET: the Magazine of Gourmet Bathing》을 발간했다. 1981년 잡지 발행을 그만두고 일본으로 이주해 여러 권의 미학 관련 책을 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며 디자인과 미학 분야의 저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최근 『예술가란 무엇인가 What Artists Do』를 출간했다. 이외에도 『배치의 미학?수사학으로 본 디자인 조형원리』(박영순 역, 교문사, 2011), 『와비사비?그저 여기에』(박정훈 역, 안그라픽스, 2019), 『이것은 선禪이 아니다? 자갈과 모래의 정원』(박정훈 역, 북노마드, 2021)이 우리말로 나와 있다.
뉴욕에서 태어나 로스앤젤레스에서 성장한 레너드 코렌은 건축을 전공했지만 기이하게 생긴 일본식 다실을 제외하고는 정작 아무것도 지은 적이 없다. 영구적인 대형 건물의 설계는 철학적으로 너무 성가신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대신에 그는 집필과 출판에 눈을 돌려 1970년대 최고의 아방가르드 매거진이라 평가받는 《WET: the Magazine of Gourmet Bathing》을 발간했다. 1981년 잡지 발행을 그만두고 일본으로 이주해 여러 권의 미학 관련 책을 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며 디자인과 미학 분야의 저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최근 『예술가란 무엇인가 What Artists Do』를 출간했다. 이외에도 『배치의 미학?수사학으로 본 디자인 조형원리』(박영순 역, 교문사, 2011), 『와비사비?그저 여기에』(박정훈 역, 안그라픽스, 2019), 『이것은 선禪이 아니다? 자갈과 모래의 정원』(박정훈 역, 북노마드, 2021)이 우리말로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