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에 더 빛나는 고전의 힘, 삶을 깨우는 고사성어의 가치”
“아버지가 남긴 최고의 선물, ‘고사성어’로 배우는 인생 수업”
“세대를 넘어 전하는 삶의 지혜, 97개의 고사성어로 만나다”
『손주에게 물려줄 아버지 고사성어』는 저자 조성권이 아버지에게 배운 고사성어를 단순한 교훈이 아닌 실제 삶의 지혜로 재구성한 책이다. 이 책의 특징은 저자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고사성어가 독자와 직접 소통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아버지가 6.25 전쟁 중 겪은 부상과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강인함과 자기 주도적 삶의 중요성을 자신의 성장 과정과 연결하여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예컨대 ‘현애살수(懸崖撒手)’를 통해 위기 상황에서 집착을 버리고 결단력을 갖추는 법을, ‘위기지학(爲己之學)’을 통해 진정한 자기 수양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책은 아버지가 전통적인 지혜를 다음 세대에 전하려 했던 철학을 담고 있어 독자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저자가 아버지와의 갈등을 이해와 성장으로 극복해가는 과정은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개인의 경험을 넘어서 삶의 의미, 인간관계의 중요성, 성공의 기준 등 보편적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으며, 독자들이 실제 삶에서 고사성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통해 진정성 있는 소통, 독립성, 신중한 결정과 창의적 문제 해결 같은 현대 사회에서 절실히 필요한 가치들을 재조명한다. 현대적 맥락에서 고전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는 이 책은 독자들에게 삶의 문제와 선택의 순간마다 실천 가능한 지침을 제공하며, 가족의 사랑과 엄격한 가르침 속에서 진정한 인생의 가치를 찾는 여정으로 초대한다.
Contents
글머리·4
1. 장점으로 단점을 보완하지 마라
나무 잡은 손을 놓아라 현애살수(懸崖撒手)·14
너를 위해 살아라 위기지학(爲己之學)·17
네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살아라 종오소호(從吾所好)·20
똑바로 걸어라 선행무철적(善行無轍迹)·23
마음에 없는 인사치레는 하지 마라 식언(食言)·26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유생어무(有生於無)·29
장점으로 단점을 보완하지 마라 절장보단(絶長補短)·32
지식의 바퀴는 클수록 좋다 다다익선(多多益善)·35
한번 맘먹은 일 함부로 바꾸지 마라 일이관지(一以貫之)·38
2. 너의 선택을 존중해라
그렇게 할 거면 그만둬라 득의양양(得意揚揚)·42
너의 강점을 찾아라 가계야치(家鷄野雉)·46
너의 선택을 존중해라 수처작주(隨處作主)·50
높이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 출발해야 한다 등고자비(登高自卑)·52
막히면 원점으로 돌아가라 불천물연(不泉勿捐)·55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 완벽(完璧)·59
유혹을 이기는 힘은 목표에서 나온다 다기망양(多岐亡羊)·62
익숙함은 오직 연습에서 나온다 여조삭비(如鳥數飛)·66
책상이 없으면 혼수가 아니다 망양지탄(望洋之歎)·69
3. 어제보다 나아지지 않은 날은 삶이 아니다
거짓이 거짓을 부른다 만천과해(瞞天過海)·74
부끄러워해야 사람이다 무괴아심(無愧我心)·77
신뢰는 한결같음에서 싹튼다 소거무월(小車無?)·80
어제보다 더 나아지지 않은 날은 삶이 아니다 극기복레(克己復禮)·83
은혜는 바위에 새기고 원한은 냇물에 새겨라 이덕보원(以德報怨)·86
적응해야 살아남는다 마중지봉(麻中之蓬)·90
진실한 글이 읽힌다 문인상경(文人相輕)·94
하늘은 모두 알고 있다 천망회회(天網恢恢)·98
호기심을 잃지 마라 타초경사(打草驚蛇)·101
훌륭한 선생은 혼자 가르치지 않는다 교학상장(敎學相長)·104
4. 집중력이 차이를 만든다
갈등을 해소하려면 명분을 만들어라 역지사지(易地思之)·108
남을 이롭게 하는 게 나를 이롭게 한다 자리이타(自利利他)·111
네가 힘들면 상대도 힘들다 강노지말(强弩之末)·114
미국이 강대국인 이유를 아느냐 간뇌도지(肝腦塗地)·117
성공을 담보하는 집중력은 간절함에서 나온다 중석몰촉(中石沒鏃)·120
위기 안에 기회 있다 이환위리(以患爲利)·123
의지를 품은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 영설독서(映雪讀書)·127
집중력이 차이를 만든다 삼월부지육미(三月不知肉味)·131
집중하면 이룰 수 있다 수적천석(水滴穿石)·134
초심을 잊지 마라 음수사원(飮水思源)·137
5. 사람은 사귀는 것이 아니라 얻는 것이다
권태는 기회다 낙선불권(樂善不倦)·142
모임을 네 것으로 만들지 말라 주이불비(周而不比)·146
물은 절대로 앞서가지 않는다 수유사덕(水有四德)·149
바래다주려면 집 앞까지 데려다주어라 송인송도가(送人送到家)·152
사람은 사귀는 게 아니라 얻는 것이다 구이경지(久而敬之)·155
새 물이 연못을 살린다 원두활수(源頭活水)·159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은 없다 해불양수(海不讓水)·162
알면서도 고치지 않는 버릇은 병이다 과이불개(過而不改)·165
최고 제품은 시장을 새로 만든다 갈택이어(竭澤而漁)·168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다 불양불택(不讓不擇)·171
6. 정답만 고집 말고 해답을 찾아라
갈등 해결의 열쇠는 공감력이다 추기급인(推己及人)·176
남의 일도 내 일처럼 해라 심부재언 시이불견(心不在焉 視而不見)·179
빈틈이 없어야 이루어진다 영과후진(盈科後進)·182
살아있다면 숨 쉬듯 공부해라 삼복사온(三復四溫)·185
손이 부끄럽지 않게 선물 들고 가라 속수지례(束脩之禮)·188
익숙함에서 탈피해라 파부침주(破釜沈舟)·191
전달되지 못한 말은 소리일 뿐이다 둔필승총(鈍筆勝聰)·195
정답만 고집하지 말고 해답을 찾아라 수주대토(守株待兎?)·198
준비가 덜 됐으면 섣불리 나서지 마라 삼고초려(三顧草廬)·201
지킬 수 있어야 전통이다 가가례(家家禮)·204
7. 일의 성패는 사소함이 가른다
마음은 얻는 것이지 훔치는 게 아니다 연저지인(?疽之仁)·208
마음을 열어야 복이 들어온다 수수방관(袖手傍觀)·212
뽐내는 글은 읽히지 않는다 긍즉불친(矜則不親)·215
아버지를 이기려면 열정을 가져라 불초(不肖)·218
요긴함을 품어야 진정한 풍요다 수작후인정(遂作後人程)·222
일의 성패는 사소함이 가른다 난사필작이(難事必作易)·226
책은 숨 쉬듯 읽고 또 읽어라 위편삼절(韋編三絶)·229
천재로 태어난 아이, 둔재로 키우지 마라 요조숙녀(窈窕淑女)·232
친구는 울타리다 송무백열(松茂柏悅)·235
힘 있는 말은 간명하다 거두절미(去頭截尾)·239
8. 인생은 요령이다
기억하지 못하는 날은 삶이 아니다 부화뇌동(附和雷同)·244
기회는 누구에게나 온다 수도선부(水到船浮)·247
나잇값이 무겁다 비육지탄(?肉之嘆)·250
너 스스로 인재가 돼라 모수자천(毛遂自薦)·253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다 법고창신(法古創新)·257
비뚠 자세가 병을 키운다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261
상사에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사람이 돼라 오청이윤(五請伊尹)·265
인생은 요령이다 요령부득(要領不得)·269
총명은 갈고 닦아야 빛난다 이총목명(耳聰目明)·273
환경 탓하지 마라 동천년노항장곡(桐千年老恒藏曲)·276
9. 천년은 갈 일을 해라
남의 눈에 눈물 나게 하지 마라 거필택린(居必擇隣)·282
말을 삼가라 삼함기구(三緘其口)·285
베풀 수 있어야 강자다 녹명(鹿鳴)·289
사람은 누구나 타고난 재주가 따로 있다 각자무치(角者無齒)·292
설명할 수 없는 행동은 하지 마라 여세추이(與世推移)·295
술을 이기지 못하면 술이 너를 이긴다 불위주곤(不爲酒困)·298
연습이 손맛을 만든다 절차탁마(切磋琢磨)·301
잘못한 일은 반드시 바로잡아라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304
조바심이 졸속을 부른다 교지졸속(巧遲拙速)·307
천년은 갈 일을 해라 생일사불약멸일사(生一事不若滅一事)·311
10. 짠맛 잃은 소금은 소금이 아니다
가족이 먼저다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316
남을 가르쳐 너와 똑같은 사람을 만들려 하지 마라 호위인사(好爲人師)·320
다리 다친 게 아니면 네 다리로 걸어라 종용유상(從容有常)·323
똑바로 보아라 대관소찰(大觀小察)·326
서울로 가라 동산태산(東山泰山)·329
손주는 하늘이다 장중지토일악족(掌中之土一握足)·332
짠맛 잃은 소금은 소금이 아니다 정명(正名)·336
혼자 있을 때를 조심해라 신독(愼獨)·338
효는 실천이다 육적회귤(陸績懷橘)·341
Author
조성권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중학교 졸업 후 서울로 진학해 경동고, 국민대 경제학과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숭실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리은행(입행 당시 상업은행)에서 홍보실장, 서여의도지점장 등을 지낸 뒤 예쓰저축은행(현 삼호저축은행) 은행장을 역임했다. 저자는 치열하게 살았던 어른 세대와 동시대의 우리 세대 이후,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자산 이전에, 더 소중한 게 인성이라고 말한다.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아버지로부터 배웠던 고사성어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지혜로운 이야기를 재미나게 풀어서 들려주고 있다. 현재 이투데이피앤씨 미래설계연구원장,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경제신문 이투데이를 비롯해 여러 언론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특강 강사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중학교 졸업 후 서울로 진학해 경동고, 국민대 경제학과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숭실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리은행(입행 당시 상업은행)에서 홍보실장, 서여의도지점장 등을 지낸 뒤 예쓰저축은행(현 삼호저축은행) 은행장을 역임했다. 저자는 치열하게 살았던 어른 세대와 동시대의 우리 세대 이후,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자산 이전에, 더 소중한 게 인성이라고 말한다.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아버지로부터 배웠던 고사성어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지혜로운 이야기를 재미나게 풀어서 들려주고 있다. 현재 이투데이피앤씨 미래설계연구원장,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경제신문 이투데이를 비롯해 여러 언론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특강 강사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