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론적 개념과 연구 방법론부터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법까지,
한국어 음운 현상 분석을 넘어 발음 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한
음운론 길잡이!
한국어 음운론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를 위해, 음운론의 개념을 음성학적 기초와 함께, 음운 변동, 한국어 음운 체계, 통시적 변화, 그리고 음운론의 이론적 접근 방법까지 폭넓게 다룬다. 특히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습득 과정과 교수법을 함께 제시하여 교재의 실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음성 음운론의 이론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한국어 음운 체계의 규칙성과 변화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보다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한국어 음운 현상의 분석뿐만 아니라, 실제 발음 교육과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Contents
머리말
1장 한국어의 말소리
1. 한국어 말소리의 특징
2. 한국어 말소리 연구, 왜 하는가?
2.1. 한국어 말소리 연구의 목표
2.2. 한국어 음운론의 응용과 활용
3. 한국어 말소리를 가르칠 때 알아야 할 것
3.1. 발음 교육이 필요한 까닭
3.2. 한국어 발음 교육의 내용과 방법
2장 한국어의 말소리와 음운 체계
1. 음성과 음운
1.1. 소리와 음성
1.2. 음성과 음운
1.3. 음성학과 음운론
2. 한국어의 말소리
2.1. 말소리 산출의 과정
2.2. 조음기관과 조음 위치
2.3. 조음 방법과 한국어 자음의 산출
3. 한국어의 음운
3.1. 음운과 음소
3.2. 음소 설정의 방법
3.3. 한국어의 음소
3.4.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4.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운의 특징과 지도법
4.1. 한국어 모음 교육
4.2. 한국어 자음 교육
3장 한국어의 음절
1. 한국어의 음절 구조
1.1. 음절의 정의와 특성
1.2. 음절의 기능과 중요성
1.3. 음절의 성분과 종류
2. 한국어의 제약
2.1. 음소 제약
2.2. 음절 제약
2.3. 형태소 제약
3. 한국어의 음절 실현
3.1. 음절 경계
3.2. 한국어의 음절 유형
4.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절 교육의 내용과 방법
4.1. 음절 구조의 특징과 한국어 발음 교육
4.2. 음절 교육의 실제
4장 한국어의 음운 현상 1
1. 음운 변화의 유형
2. 교체
2.1. 동화
2.2. 자음 관련 교체
2.3. 모음 관련 교체
3. 탈락
3.1. 자음탈락
3.2. 모음탈락
4.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운 현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 1
4.1. 어말자음중화(평파열음화, 평폐쇄음화)의 제시
4.2. 동화의 제시 118
4.3. 탈락의 제시 120
5장 한국어의 음운 현상 2
1. 축약
1.1. 유기음화(격음화)
1.2. 반모음화(활음화)
2. 첨가
2.1. ㄴ첨가
2.2. 사이시옷첨가
3. 합류와 분화
4. 유추와 차용
4.1. 유추
4.2. 차용
5. 전위
6. 외국어로서 한국어 음운 현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 2
6.1. 축약의 제시
6.2. ㄴ첨가의 제시
6장 한국어 말소리의 연구 방법
1. 이론 기반 연구 방법
1.1. 구조주의 기반 접근
1.2. 생성주의 기반 접근
2. 실험 기반 연구 방법
2.1. 음향음성학적 접근
2.2. 음향음성학적 분석의 실제
부록
1. IPA 차트
2. 장별 주요 개념
3. 장별 연습 문제
4. 장별 주요 용어 색인
참고 문헌
Author
안미애,이미향,안주현
대구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의 말소리와 말소리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공저로 『한국어음운론』, 『통통 글쓰기1, 2』 등이 있다.
대구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와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의 말소리와 말소리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공저로 『한국어음운론』, 『통통 글쓰기1, 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