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문헌학

$32.40
SKU
97911681031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10 - Thu 01/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7 - Thu 01/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9/06
Pages/Weight/Size 153*225*35mm
ISBN 9791168103108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한국문화 연구 전반에 토대가 되는
한글문헌학에 관한 모든 것


한글문헌학은 문헌학의 한 갈래로서 한글 문헌을 대상으로 그 내용과 가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저자는 서지학과 문헌학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한글 문헌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닦고, 연구 방법을 세우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2015년 초판 발행된 이 책을 근 10년 만에 개정하면서, 저자는 본문 12장 내용을 재편하고 몇 가지 내용을 추가했다.
Contents
머리말

I부 한글 문헌과 문헌학

1장 한글 문헌의 뜻과 가치
1.1. 한글 문헌과 한글문헌학의 뜻
1.2. 한글 문헌의 가치
1) 한글 문헌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담는 그릇
2) 한국학 연구를 위한 기초
3) 한국어와 한국문학 연구의 보고
4) 문자생활 및 한글의 변천 연구를 위한 기초
5) 교육 자원으로서의 한글 문헌
6) 문화 자원으로서의 한글 문헌
1.3. 한글문헌학의 연구 분야와 연구 방법

2장 문헌과 문헌학
2.1. 문헌의 뜻
2.2. 문헌학의 뜻과 연구 방법
2.2.1. 문헌학의 뜻
2.2.2. 문헌 연구 방법
1) 문헌의 외형과 형태 연구
2) 문헌의 내용과 주제 연구
3) 문헌의 원문 연구
2.3. 책(冊)의 기원과 관련 용어
1) 책(冊)의 기원
2) 권(卷)
3) 본(本)
4) 전(典)
5) 서(書)
6) 서적(書籍)
7) 전적(典籍)
8) 질(帙)

3장 옛 책의 형태와 그 명칭
3.1. 책의 형태와 세부 명칭
3.1.1. 책의 외부
1) 표지
2) 책의 외부 명칭
3.1.2. 책의 내부
1) 광곽과 변란
2) 판심(版心)
3) 어미(魚尾)
4) 판심제(版心題)
5) 계선(界線)과 행관(行款)
6) 판면 바깥 : 천두(天頭)와 지각(地脚)
7) 권말의 형식 : 권말서명과 간기(刊記)
3.1.3. 책의 장정법(裝幀法)
1) 두루마리[卷子裝]
2) 절첩장(折帖裝)
3) 선풍장(旋風裝)
4) 호접장(胡蝶裝)
5) 포배장(包背裝)
6) 선장(線裝)
3.1.4. 종이의 지질과 종류
1) 제지법의 발달
2) 재료에 따른 종이의 종류
3) 제조법에 따른 종이의 종류
4) 염색법에 따른 종이의 종류
5) 용도에 따른 종이의 종류

4장 판본의 분류와 감별
4.1. 간행 여부에 따른 문헌 자료의 분류
1) 사본(寫本)
2) 간본(刊本)
4.2. 간행 시기에 따른 판본 분류
1) 원간본(原刊本)
2) 중간본(重刊本)
4.3. 인출 시기(印出時期)에 따른 분류
1) 초쇄본(初刷本)
2) 후쇄본(後刷本)
3) 보각본(補刻本)
4.4. 출판 판원(版元)에 따른 분류
1) 관판(官版)
2) 사찰판(寺刹版)
3) 서원판(書院版)·성균관판(成均館版)·향교판(鄕校版)·재사판(齋舍版)·누정판(樓亭版)
4) 사간판(私刊版 혹은 私版)
5) 방각판(坊刻版)
4.5. 판본과 활자
1) 목판본
2) 한글 금속활자본
3) 한글 목활자본
4.6. 판본 감별법
1) 목판본과 활자본을 감별하는 방법
2) 금속활자와 목활자를 감별하는 방법
3) 원간 금속활자본과 그것의 목판 복각본을 감별하는 방법
4) 기타 판본 감별 참고 사항

II부 한글 문헌의 분류와 내용 변이

5장 한글 문헌의 분류
5.1. 주제에 따른 한글 문헌의 분류
1) 종교서류
2) 전문서류
3) 역사서류
4) 자서 물명류(字書 物名類)
5) 운서류(韻書類)
6) 교화서류
7) 문학류
8) 언간류
9) 한글 고문서류
5.2. 언해의 대상과 방법에 따른 분류
5.3. 기타 기준에 따른 분류
1) 재료별 분류
2) 시대별 분류
3) 지역별 분류

6장 한글 필사본과 한글 고문서
6.1. 한글 필사본
1) 언간
2) 기행문(紀行文)
3) 일기(日記)
4) 역사서
5) 가장전기(家狀傳記)
6) 제문(祭文)
7) 여성교육서
8) 음식조리서
9) 한글 서화
10) 문학류
11) 한글 고문서
6.2. 한글 고문서
6.2.1. 한글 고문서의 분류
1) 관문서(官文書)
2) 매매·계약 문서
3) 의례(儀禮) 문서
4) 신앙·종교 문서
5) 의식주 문서
6) 가족·친족 문서
7) 공동체 생활 문서
8) 개인 생활 문서
6.2.2. 한글 고문서의 기재 양식과 내용
1) 한글 토지 매매 문서
2) 한글 배지[牌旨]
3) 한글 노비 매매 문서
4) 한글 수기(手記)와 수표(手標)
5) 고목(告目)

7장 문헌 내용의 구성과 그 변이
7.1. 책의 내용 구성
1) 내사기(內賜記)
2) 서문
3) 목록과 범례
4) 본문
5) 발문 혹은 후(後)
6) 간행 기록
7.2. 이본(異本)의 내용 변화
1)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2)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3)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III부 연구 방법론의 모색과 그 적용

8장 문헌해석학의 방법론과 서지·해제 작성법
8.1. 문헌해석학의 방법론과 연구 절차
1) 1단계 : 문헌 조사와 수집
2) 2단계 : 수집된 문헌의 형태 서지 기술
3) 3단계 : 문헌의 기록 문자와 내용의 교감
4) 4단계 : 이본의 계통적 위치 비정
5) 5단계 : 문헌의 사회·역사적 배경 분석
6) 6단계 : 언어 분석
8.2. 목록 작성을 위한 서지 기술 방법
8.3. 해제 작성법과 사례
8.3.1. 디지털 한글박물관의 해제 작성법과 사례
8.3.2. 국립중앙도서관의 해제 작성법과 사례
8.3.3. 한글박물관의 해설문 작성 사례
1) 『훈민정음』(해례본)
2) 『석보상절』
3) 『무예도보통지언해』

9장 한글 문헌의 문화중층론적 연구 방법
9.1. 한글 문헌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의 필요성
9.2. 문화중층론의 개념과 층위
1) 문화중층론의 개념
2) 문화중층론의 층위와 구성 요소
9.3. 문화중층론의 분석방법과 적용의 문제
1) 문화 요소의 추출과 해석방법
2) 적용상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9.4. 맺음말

IV부 역사적 고찰과 현대적 활용

10장 한글 문헌의 역사적 추이(推移)와 그 의미
10.1. 불교서
1) 세종의 불교서 간행
2) 간경도감판 불경언해
3) 선불교 언해서
4) 진언집
5)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6) 대중 포교서 『염불보권문』
10.2. 유교서
1) 사서삼경언해
2) 번역소학과 소학언해
10.3. 병서(兵書)
1) 병서를 언해한 까닭
2) 병서의 범주와 현전(現傳) 언해본
10.4. 음식조리서
1) 필사본 음식조리서
2) 신활자본 음식조리서

11장 한글 서체의 역사적 변천
11.1. 말, 문자, 서체
11.2. 현대 한글의 서체와 그 다양성
11.3. 문자 관련 용어의 정의
11.4. 한글 서체의 분류와 그 적용
1) 기존 학설의 검토
2) 서체 분류의 원칙
3) 한글 서체의 분류
4) 한글 필사본에 적용해 본 서체 분류의 실제
11.5. 한글 서체의 시대적 흐름
1) 한글 서체의 탄생 : 훈민정음 해례본의 글꼴
2) 인쇄본에 나타난 한글 자모자의 변화
3) 한글 서체 변화의 시대 구분 문제
11.6. 한글 필사본의 서체
1) 한글 필사본의 서체 분석 방법
2) 가장 오래된 한글 필사본의 서체
3) 한글 필사본 서체의 특성

12장 한글 문헌의 현대적 활용
12.1. 현대적 활용의 뜻과 가능성
12.2. 한글 문헌에 대한 접근 방법과 활용 방향
1) 역사적 배경을 살핌
2) 문헌의 내용을 살핌
3) 문헌에 얽힌 이야기를 살핌
12.3. 문화콘텐츠의 개념과 문화원형 디지털화 사업
12.3.1. 문화콘텐츠의 개념
1) 문화콘텐츠
2) 인문콘텐츠
3) 문화 기술(Culture Technology)
4) 문화콘텐츠 개발의 과정과 방법
12.3.2. 디지털 한글박물관과 한글 문헌 콘텐츠 구축 사업
12.3.3.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과 그 성과
1) 문화원형 사업의 개요
2) 문화원형 사업의 한국어문학 관련 과제
12.4. 한글유산을 이용한 영상 강의 제작
12.4.1. 한글유산의 정의와 범위
12.4.2. 한글유산의 분류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1) 한글유산의 분류
2) 한글유산 데이터베이스 구축
12.4.3. 한글유산 영상 강의를 위한 강의안 작성 사례
1) 강의 주제 잡기
2) 자료 수집하기
3) 강의 내용 구성하기
4) 영상 강의 제작하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백두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1990). 경성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정년 퇴임하였다. 옛 한글 문헌과 그 속에 담긴 한국어의 역사적 변화 그리고 한글생활사의 변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훈민정음 해례본과 문자체계의 원리, 한글 편지와 한글 음식조리서, 한글 학습 자료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현풍곽씨언간 주해』, 『음식디미방주해』,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한글생활사 연구』, 『훈민정음의 문화중층론 - 관점의 전환과 새로운 해석』, 『조선시대의 한글 교육과 확산』 등이 있고, 훈민정음과 한글 문헌에 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훈민정음학회 회장 및 국어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22회 일석국어학상(2024. 6.)을 수상하였다.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1990). 경성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정년 퇴임하였다. 옛 한글 문헌과 그 속에 담긴 한국어의 역사적 변화 그리고 한글생활사의 변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훈민정음 해례본과 문자체계의 원리, 한글 편지와 한글 음식조리서, 한글 학습 자료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현풍곽씨언간 주해』, 『음식디미방주해』,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한글생활사 연구』, 『훈민정음의 문화중층론 - 관점의 전환과 새로운 해석』, 『조선시대의 한글 교육과 확산』 등이 있고, 훈민정음과 한글 문헌에 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훈민정음학회 회장 및 국어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제22회 일석국어학상(2024. 6.)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