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휘론

$86.40
SKU
97911681030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1/7 - Mon 01/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1/2 - Mon 0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0/01
Pages/Weight/Size 153*225*40mm
ISBN 9791168103054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국어 어휘론』은 전체 6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총설’에서는 어휘론의 개념, 성립, 필요성부터 연구 대상, 연구 영역, 접근태도까지 다룬다. ‘2부 어휘체계론’에서는 어휘 분류의 기준과 기존 우리나라 문류어휘집의 어휘 분류 체계를 짚어 보고, ‘3부 어휘의 분류’에서는 시대, 범위, 시간, 기원, 계층, 위상, 의미상의 대립, 모방 유형, 표현 대상에 따른 어휘의 분류에 대해 살펴본다. ‘4부 어휘사’에서는 종래의 어휘사 기술 방법과 연구 방법에서부터 어휘 변화의 내용, 어휘 조사, 어휘 변화의 원인까지 밝히고, ‘5부 국어 어원 연구’에서는 어원에 대한 인식, 어원 연구의 역사, 목적, 방법 등에 대해 다룬다. ‘6부 어휘 자료론’에서는 어휘 자료의 발굴과 정리 작업의 역사를 살펴본 후 어휘 문헌 자료의 성격을 설명하고, 이어서 훈민정음 창제 이전과 이후의 어휘 문헌 자료들을 하나하나 소개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총설

1. 어휘론의 개념
2. 어휘론의 성립
2.1. 어휘체계의 불확실성
2.2. 어휘체계의 정립
3. 어휘 연구의 필요성
3.1. 언어의 기본 단위와 어휘
3.2. 언중들의 언어의식과 어휘
3.3. 어휘론 연구의 현실
3.4. 문자체계와 어휘
3.5. 문화와 어휘
3.6. 어휘와 어원에 대한 관심
4. 언어학에서 어휘론의 연구 영역
5. 어휘론과 언어학의 다른 분야와의 관계
6. 어휘론의 연구 대상
6.1. 단어와 어휘소
6.2. 어휘소
6.3. 어휘통제와 기본어휘
7. 어휘론 연구의 구체적인 대상
7.1. 언어체계에 따른 연구 대상
7.2. 문화와 어휘의 관련성 대상
7.3. 어휘소의 분포 대상
8. 어휘론의 연구 영역
9. 어휘에 대한 접근태도

제2부 어휘체계론

1. 어휘 분류의 기준
2. 우리나라 분류어휘집의 어휘 분류 체계
2.1. 음운론적 기준에 의한 분류
2.2. 의미론적 기준에 의한 분류

제3부 어휘의 분류

1. 시대에 따라
2. 범위에 따라
2.1. 국어 어휘
2.2. 방언 어휘
2.3. 개인 어휘
3. 시간에 따라
3.1. 현대어
3.2. 신어(新語)
3.3. 고어(古語)
3.4. 유행어
3.5. 폐어(廢語)
3.6. 시대어
4. 기원에 따라
4.1. 고유어
4.2. 외래어
4.2.1. 외래어의 영향
4.2.2. 외래어의 뿌리와 문화적 배경
4.2.3. 한자어의 차용
4.3. 차용어
4.3.1. 차용어 연구의 의의
4.3.2. 차용의 조건
4.3.3. 차용의 양상
4.3.4. 차용의 종류
4.3.5. 차용의 내용
4.3.6. 차용어의 예
5. 계층에 따라
5.1. 속어(俗語)
5.2. 비어(卑語)
5.3. 아어(雅語)
5.4. 경어(敬語)
5.5. 은어(隱語)
5.6. 통신언어(通信言語)
6. 위상에 따라
6.1. 전문어(專門語)
6.1.1. 학술 전문어
6.1.2. 실생활 전문어
6.2. 유아어(幼兒語)
6.3. 궁중어(宮中語)
7. 의미상의 대립에 따라
7.1.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7.1.1.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7.1.2. 국어의 동음이의어
7.1.3. 동음이의어의 발생 원인
7.1.4. 동음이의어의 회피 현상
7.1.5. 동음이의어의 사용
7.2. 다의어(polysemy)
7.2.1. 다의어의 발생 원인
7.2.2. 다의어의 배열 순서
7.3. 유의어(synonymy)
7.3.1. 유의어의 발생 원인
7.3.2. 유의어 간의 투쟁
7.3.3. 동의중복현상
7.3.4. 동의어와 유의어의 사용
7.4. 상위어와 하위어
7.5. 반의어
7.5.1. 반의어의 개념
7.5.2. 반의어의 사용
7.6.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 정리의 예
7.7.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 연구 방법
8. 모방 유형에 따라
8.1. 의성어 의태어
8.1.1. 음성적 유연성
8.1.2. 형태적 유연성
8.1.3. 파생어의 형태적 유연성
8.1.4. 음성상징
8.1.5. 의성어와 의태어
8.1.6. 의성어 의태어의 특징
9. 표현 대상에 따라
9.1. 속담 표현 어휘
9.1.1. 속담의 특징
9.1.2. 속담에 쓰인 어휘의 특징
9.2. 수수께끼의 어휘
9.2.1. 수수께끼의 개념
9.2.2. 수수께끼의 역사
9.2.3. 수수께끼 문장 및 어휘의 특징
9.2.4. 수수께끼의 주제
9.2.5. 수수께끼 자료집
9.3. 언어 유희의 어휘
9.3.1. 이름 시리즈
9.3.2. 참새 시리즈
9.3.3. 아재 개그
9.3.4. 청년어
9.3.5. 야민정음(野民正音)
9.4. 신체 표시의 어휘
9.4.1. 신체 어휘의 유의 관계 어휘
9.5. 미각 표현 어휘
9.5.1. 미각 표현어의 특성
9.5.2. 미각 표현 어휘의 기본 어휘
9.5.3. 미각 표현 어휘의 목록
9.5.4. 강도의 구별 및 서열
9.5.5. 미각 표현 어휘의 조어법
9.5.6. 복합적인 맛의 표현
9.5.7. 사물 대용 미각 표현 어휘
9.5.8. 미각 표현 어휘의 전의(轉義)
9.5.9. 미각 표현 어휘의 외국어와의 비교
9.6. 색채 표현 어휘
9.6.1. 색의 개념
9.6.2. 기본 색채어
9.6.3. 사물 대용 색채어
9.6.4. 혼합색
9.6.5. 색채어의 수식 대상(색채어의 연합 대상)
9.6.6. 한자 색채어
9.6.7. 색채어의 전의(轉義)
9.7. 광산에서 사용하는 어휘
9.7.1. 서(序)
9.7.2. 과학어의 일반적 성격
9.7.3. 자료의 제시 및 분류
9.7.4. 광산 용어의 일반성과 특이성
9.7.5. 광산 용어 중 외래어의 번역 가능성

제4부 어휘사

1. 종래의 어휘사 기술 방법
2. 어휘사 연구 방법
3. 어휘 변화의 내용
3.1. 어휘의 생성
3.2. 어휘의 변화
3.3. 어휘의 소멸
4. 어휘 조사
5. 개별 어휘의 어휘사로부터 어휘체계사로
6. 개별 어휘사 기술에 필요한 항목
7. 개별 어휘의 의미를 기술하기 위한 방법
8. 어휘 변화의 원인
8.1. 언어 내적 요인에 의한 변화
8.1.1. 어형의 변화
8.1.2. 어휘 의미의 변화
8.2. 언어 외적 요인에 의한 변화

제5부 국어 어원 연구

1. 서언
2. 어원에 대한 인식
2.1. 어원과 차용 관계
2.2. 동일 계통 언어의 어휘와 국어 어휘와의 관계
2.3. 어원과 어휘사
2.4. 어원과 어휘의 형태적 분석
2.5. 민간어원설
3. 국어 어원 연구의 역사
4. 사전에서 어원 및 역사적 변화 표시
5. 어원 연구와 어휘 역사 연구의 성과
6. 어원 연구의 궁극적 목적
7. 어원 연구의 과학적 방법
8. 어원 연구를 위한 연구자의 국어학적 지식
9. 어원 연구의 국어학 발전에 대한 기여
10. 어원사전 편찬을 위한 준비 작업
10.1. 자료 조사
10.2. 말뭉치의 구축 및 정리
10.3. 프로그램의 구축
10.4. 어원사전의 기술 내용
10.5. 맺는말

제6부 어휘 자료론

1. 어휘 자료의 발굴과 정리
2. 어휘 문헌 자료
2.1. 어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자료
2.2. 주로 어휘 정보만을 제공하여 주는 자료
3.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어휘 문헌 자료
4.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어휘 문헌 자료
4.1. 한자 석음(釋音) 자료
4.2. 사전(辭典) 자료
4.2.1. 대역사전(對譯辭典)
4.2.2. 국어사전(國語辭典)
4.2.3. 고어사전(古語辭典)
4.3. 주석(註釋) 자료
4.3.1. 문헌의 주석 자료
4.3.2. 척독(尺牘) 주석 자료
4.4. 문자(文字) 관련 자료
4.5. 역학서(譯學書) 자료
4.6. 재물보류(才物譜類)
4.7. 『박고(博攷)』
4.8. 『물보(物譜)』
4.9. 유희의 『물명고(物名攷)』
4.10. 다산의 『물명고(物名攷)』
4.11. 기타 물명고(物名攷)
4.12. 『시경언해(詩經諺解)』의 물명(物名)
4.13. 백화문(白話文) 관련 대역 어휘 자료
4.14. 『군두목(群頭目)』
4.15 의학 관련 어휘 자료
4.16 농사 관련 어휘 자료
4.17 『속명유취(俗名類聚)』의 어휘 자료
4.18. 방언 어휘 자료
4.19. 기타 물명 관련 자료
4.20. 마무리

참고문헌
Author
홍윤표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국어학회 회장, 한국어전산학회 회장, 국어사학회 회장, 한국어학회 회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장, 국어심의회 정보화 분과위원장, 국어심의회 언어정책 분과위원장, 국어심의회 전체 부위원장, 겨레말큰사전 남측편찬위원장,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위원장 등을 지냈다. 동숭학술연구상, 세종학술상, 일석국어학상, 외솔상, 수당상, 용재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대한민국옥조근정훈장,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국어사문헌자료연구 1』, 『근대국어연구 1』,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국어정보학』, 『한글 이야기 1?2』, 『17세기 국어사전』(공편), 『조선 후기 한자 어휘 검색사전』(공편), 『한글』, 『한자 학습 문헌자료 연구』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15세기 국어의 격연구 등 16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 국어학회 회장, 한국어전산학회 회장, 국어사학회 회장, 한국어학회 회장, 한국사전학회 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장, 국어심의회 정보화 분과위원장, 국어심의회 언어정책 분과위원장, 국어심의회 전체 부위원장, 겨레말큰사전 남측편찬위원장, 국립한글박물관 개관 위원장 등을 지냈다. 동숭학술연구상, 세종학술상, 일석국어학상, 외솔상, 수당상, 용재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대한민국옥조근정훈장,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국어사문헌자료연구 1』, 『근대국어연구 1』, 『살아 있는 우리말의 역사』, 『국어정보학』, 『한글 이야기 1?2』, 『17세기 국어사전』(공편), 『조선 후기 한자 어휘 검색사전』(공편), 『한글』, 『한자 학습 문헌자료 연구』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15세기 국어의 격연구 등 160여 편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