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어휘

$21.85
SKU
979116810260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9/20 - Thu 09/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9/17 - Thu 09/1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7/05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91168102606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단어의 실상을 살피는 과정에서
어휘론의 개념이 저절로 드러난다!

주요 개념과 용어를 갈고 다듬고
단어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엮은 최신 어휘론


어휘론의 주요 개념과 용어를 갈고 다듬어 짜임새 있게 얽고, 한국어 단어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한, 최신 한국어 어휘론 개론서. 저자는 이 책에 21세기 한국어 어휘의 모습을 담았고, 어휘론의 체계와 개념들을 기반으로 삼아 서술했으며, 원어민과 학습자의 시각을 모두 고려했고, 핵심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서 전형적인 예를 풍부하게 제시했다. 또한 이론에 치우쳐 현실에서 멀어지고 독해가 어려워지는 것은 최대한 피했으며, 한국어 단어들의 실상을 살피는 과정에서 어휘론의 개념들이 저절로 드러나도록 했다. 그러므로 이 책은 한편으로 한국어의 어휘 전반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보고서나 자료집의 성격도 띤다.

언어학에서 어휘론은 다른 분야에 비하면 체계가 잘 잡혀 있지 않다. 단어와 어휘의 문제는 다른 모든 언어부문들과 직접 관련되어 있어서 어휘론은 종합적인 성격이 강한 분야이다. 누구나 상식과 직관에 기대어 한두 마디는 거들 수 있을 만큼 단어는 여느 언어요소들보다 다가가기 쉬운 것이 분명하지만, 단어와 어휘의 학문적 체계화는 생각보다 만만치 않다. 이에 가톨릭대학교 배주채 교수가 4년간의 집필 기간을 거쳐 최신 어휘론 개론서를 선보인다.

21세기 인류문명을 특징짓는 단어를 ‘정보화’라고 할 수 있는데, 저자는 “정보화의 중심에 언어에 의한 소통이 있다. 또 언어의 중심에는 어휘가 있다. 그러므로 정보화의 뿌리는 어휘에 박혀 있다. 어휘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문명을 꽃피우기 위한 필수 조건인 것이다.”라고 말한다.
Contents
머리말
일러두기

1. 단어, 어휘, 사전

1.1. 언어에서 단어가 차지하는 지위
1.2. 언어단위로서의 단어
1.3. 단어의 존재 의의
1.4. 단어와 어휘의 차이
1.5. 단어의 확인
1.6. 단어가 가진 속성들
1.7. 단어의 형태와 의미
1.8. 한국어의 사전
1.9. 사전 표제어와 단어
1.10. 단어의 실재 여부와 사전 등재 여부
1.11. 사전에 따른 표제어 등재의 차이

2. 조어법

2.1. 단어의 형태소분석
2.2. 조어구조의 표시
2.3. 단어를 만드는 방법
2.4. 생산성
2.5. 단순어와 복합어
2.6. 합성어, 어기, 어근
2.7. 명명 합성명사, 동동 합성동사, 동미동 합성동사
2.8. ‘하다’ 합성용언
2.9. 반복합성어
2.10. 합성어와 구의 구조적 차이
2.11. 합성어와 구의 의미적 차이
2.12. 합성어의 사전 등재 여부
2.13. 파생어와 접사
2.14. 접사의 통계와 등급별 접두사
2.15. 등급별 접미사
2.16. 접미사 ‘-이’
2.17. 한자접사
2.18. 약어
2.19. 두음어
2.20. 혼성어
2.21. 공유결합어
2.22. 축약형
2.23. 변태어
2.24. 자음대치와 초중성복사
2.25. 단어의 성분구조

3. 어종

3.1. 어종의 분류
3.2. 한자어계 귀화어
3.3. 외래어계 귀화어, 혼종어계 귀화어, 귀화접사
3.4. 고유어와 기초어휘
3.5. 중국과 일본 기원의 한자어
3.6. 한국 기원의 한자어
3.7. 1음절 한자어
3.8. 한문어
3.9. 2음절 국조어
3.10. 3음절 국조어
3.11. 4음절 국조어
3.12. 한자어의 빈도와 한자의 빈도
3.13. 한자성어
3.14. 주요 사자성어
3.15. 어휘차용, 직접차용, 간접차용, 방언차용
3.16. 어휘차용에서 일어나는 변화
3.17. 일본어를 거쳐 들어온 외래어
3.18. 원어별 외래어
3.19. 의역과 음역
3.20. 번역차용
3.21. 콩글리시
3.22. 혼종어

4. 어휘사

4.1. 단어사
4.2. 어휘사
4.3. 어원
4.4. 어원, 원어, 조어구조
4.5. 어휘변화
4.6. 단어의 생성과 신어
4.7. 신어의 최초 출현의 기록
4.8. 21세기의 신어
4.9. 신형태
4.10. 신의미
4.11. 유행어와 시사어
4.12. 단어의 소멸과 사어
4.13. 형태변화
4.14. 유추와 어형의 통일성
4.15. 의미변화
4.16. 화석화
4.17. 어휘화, 문법화, 단순어화
4.18. 어절과 구의 어휘화
4.19. 어휘분기
4.20. 단어의 빈도의 변화
4.21. 오해에 의한 어휘변화

5. 어휘와 문법

5.1. 어휘와 문법의 관계
5.2. 문법구조와 어휘
5.3. 용언의 활용과 조어법
5.4. 품사별 어휘
5.5. 단어와 문법소
5.6. 자립명사와 의존명사
5.7. 고유명과 고유명사
5.8. 고유명의 형태의 고정성
5.9. 인명
5.10. 수사
5.11. 단칭수사
5.12. 복칭수사
5.13. 용언
5.14. 자동사와 타동사
5.15. 부사
5.16. 의성의태어
5.17. 관형사와 감탄사

6. 어휘와 의미

6.1. 단어의 기호사각형
6.2. 어의의 모호성
6.3. 단의어와 다의어
6.4. 기본의미와 파생의미
6.5. 의미소 간의 차이
6.6. 사전에서의 뜻풀이
6.7. 합성명사의 의미투명도
6.8. 어기 사이의 의미관계와 합성명사의 의미
6.9. 합성명사의 비유적 의미
6.10. 한자어의 축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
6.11. 합성명사의 가능한 의미와 실제 의미
6.12. 동의중복어
6.13. 구에서의 동의중복
6.14. 단어 간의 의미관계
6.15. 유의관계와 유의어
6.16. 유의어쌍과 유의어군
6.17. 유의어 간의 의미 차이
6.18. 유의어 간의 의미 외의 차이
6.19. 유의표현
6.20. 이종어 간의 유의관계
6.21. 반의관계
6.22. 의미소별 반의관계
6.23.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7. 어휘체계

7.1. 단어 간의 관계
7.2. 동형관계
7.3. 동음동철어 간의 차이
7.4. 동형충돌
7.5. 동형어와 다의어
7.6. 단어족
7.7. 사전에서의 단어족
7.8. 어원적 단어족
7.9. 한자를 기준으로 한 단어족
7.10. 의미장과 어휘장
7.11. ‘사람’ 어휘장
7.12. 친족어
7.13. 일반어, 전문어, 직업어
7.14. 전문어의 영역과 예
7.15. 전문어의 의미
7.16. 논리어
7.17. 어휘체계의 모습
7.18. 어휘체계의 불규칙성과 어휘빈칸
7.19. 합성과 파생에서의 불규칙성
7.20. 연어와 숙어에서의 불규칙성
7.21. 담화자료의 어휘통계
7.22. 말뭉치와 어휘통계
7.23. 단어의 빈도
7.24. 문어와 구어에서의 빈도

8. 관용표현

8.1. 관용표현의 개념
8.2. 관용표현으로서의 연어
8.3. 단어들의 공기 확률과 연어
8.4. 주술연어와 목술연어
8.5. 숙어
8.6. 널리 쓰이는 숙어
8.7. 숙어에만 쓰이는 한자어
8.8. 숙어의 축자적 의미와 유래
8.9. 현대에 생긴 숙어
8.10. 속담
8.11. 널리 쓰이는 속담
8.12. 속담의 전통성

9. 어휘와 사회

9.1. 언어변종의 어휘
9.2. 지역방언의 어휘
9.3. 지역방언의 특징적인 단어
9.4. 지역방언의 한자어와 외래어
9.5. 남한어와 북한어
9.6. 북한 숙어와 북한 속담
9.7. 북한 한자어와 북한 전문어
9.8. 특징적인 북한어의 예
9.9. 표준어, 현실어, 비표준어
9.10. 속어
9.11. 중고급 속어
9.12. 경어
9.13. 놀림말, 경멸어, 비하어, 욕설
9.14. 순화어와 대체어
9.15. 직설어와 완곡어
9.16. 차별어와 공정어
9.17. 시대별 문화를 반영한 단어와 숙어

10. 어휘와 심리

10.1. 단어화
10.2. 어휘력
10.3. 양적 어휘력
10.4. 질적 어휘력
10.5. 어의에 대한 지식의 깊이
10.6. 어의에 대한 오해
10.7. 어형에 대한 오해
10.8. 단어연상
10.9. 중요도와 고난도어
10.10. 기초어휘
10.11. 특초급어
10.12. 중요도별 단어 분류의 예
10.13. 어휘학습과 어휘교육
10.14. 어휘태도
10.15. 외래어 남용
10.16. 일방어와 중립어
10.17. 단어유희

11. 어휘대조

11.1. 어휘대응과 어휘대조
11.2. 일대일대응과 일대다대응
11.3. 다대다대응
11.4. 다품사어와 다의어의 대응
11.5. 착용동사의 대응
11.6. 어휘대응에서의 어휘빈칸
11.7. 표현대응
11.8. 대응어 간의 중요도 차이
11.9. 한중일의 어종 대조

찾아보기
Author
배주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맟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국어음운론 개설』외 다수가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맟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국어음운론 개설』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