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피동문의 역사적 연구

$32.20
SKU
979116810132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8 - Tue 12/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13 - Tue 12/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30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68101326
Categories 대학교재 > 어문학 계열
Description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과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통해
중세와 근대 한국어 피동문의 전체 모습을 구명하다

이 책은 중세한국어와 근대한국어의 피동문을 대상으로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과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연구?집필되었다.

피동(passive)은 능동문의 주어가 부사어로 강등되고 능동문의 목적어는 주어로 승격하며, 동사구에는 표지가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어 왔다. 피동은 이처럼 새로운 동사가 파생되고 행위자의 탈초점화가 일어나는 과정이자, 사태를 바라보는 관점을 바꾸는 기제라는 점에서 한국어 문법 체계 안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역사적 관점에서 피동을 다룬 연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에 관심을 두어 왔으며 피동이라는 현상 자체에 큰 관심이 주어지지는 않았다. 이는 중세어와 근대어는 생략된 논항을 확실하게 복원할 수 없어 피동문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피동이라는 현상을 심도 있게 논하기 위해서는 피동사는 물론, 피동사가 사용된 문장 전체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역사적 관점에서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을 정밀히 밝힘은 물론,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관찰하여 중세?근대한국어 피동문의 전체적인 모습을 구명하고자 한다. 특히 피동에 대한 유형론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피동의 원형적 특성을 정립하고, 피동의 원형적 특성을 근거로 중세?근대한국어 시기 피동문의 유형을 나누고 그 특징을 고찰하며, 피동문의 구성 원리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피는 것에 관심을 기울여 피동문을 고찰한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 목적, 선행 연구 검토,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의 구성, 인용 자료 등을 밝힌다.
2장은 본격적으로 피동을 다루는 데에 필요한 이론에 대한 것으로, 특히 피동을 원형적 접근 방법으로 파악해야 하는 필요성을 논한다. 또한 피동의 원형적 특성으로 여겨지는 것들 간의 위계를 설정하여 연구의 틀로 삼고, 원형성을 근거로 하여 피동문을 원형적 피동문, 준원형적 피동문, 비원형적 피동문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선행 연구 재검토를 통해 준원형적 피동문, 비원형적 피동문을 이룰 수 있었던 동사 목록을 선정한다. 그리고 피동문이 나타낼 수 있는 의미를 기본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행위자와 피행위자의 존재 여부 및 행위자가 지시하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중세?근대한국어 피동문의 의미 유형을 피동, 반사동, 재귀, 가능으로 나눈다.
3장은 2장에서 정립한 피동의 원형성을 적용하여 중세?근대한국어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을 논한다. 피동사의 어기가 될 수 있었던 타동사, 자?타 양용동사, 자동사의 목록을 중세와 근대로 나누어 제시하고 각각의 특성을 고찰한다. 그리고 접사의 이형태 목록을 제시하고 시기별로 각 이형태가 파생시킬 수 있었던 동사 목록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핀다. 피동문의 통사적 특성을 논하는 데에 있어, 행위자와 피행위자의 격 표지를 고려하여 특징적인 현상들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살핀다. 그리고 2장에서 정립한 피동문의 의미 유형을 근거로, 중세?근대한국어 시기 피동문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각각의 의미에 해당하는 예를 검토한다.
5장은 지금까지 밝힌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앞으로 연구를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더 깊이 연구해야 할 점을 언급한다.
Contents
머리말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선행 연구 검토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4. 연구의 구성
1.5. 인용 자료

2. 기본적 논의
2.1. 피동의 특성
2.2. 원형성에 따른 중세?근대한국어 피동문의 유형
2.2.1. 원형적 피동문
2.2.1.1. 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 타동사 어기
2.2.1.2. 피동 접사 중첩문
2.2.1.3. ‘을/를’ 피동문
2.2.2. 준원형적 피동문
2.2.2.1. 준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 자?타 양용동사의 자동 구문
2.2.2.2. 준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의 재검토
2.2.3. 비원형적 피동문
2.2.3.1. 비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 자동사 어기
2.2.3.2. 비원형적 피동문을 이루는 동사의 재검토
2.3. 피동문의 의미

3. 피동사의 형태적 특성
3.1. 어기의 특성
3.1.1. 타동사
3.1.1.1. 타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 목록
3.1.1.2. 피동화 제약의 재검토
3.1.2. 자?타 양용동사
3.1.2.1. 자?타 양용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 목록
3.1.2.2. 자?타 양용동사의 소멸과 피동사의 발달 간의 영향 관계
3.1.3. 자동사
3.1.3.1. 자동사로부터 파생된 피동사 목록
3.1.3.2. 동사의 검토
3.2. 접사의 특성
3.2.1. 접사의 이형태
3.2.2. 접사 중첩 현상
3.2.2.1. 중첩형 출현의 통사?의미적 조건
3.2.2.2. 중첩형의 표현적 효과
3.2.2.3. 중첩형 출현의 배경

4. 피동문의 통사?의미적 특성
4.1. 피동문의 통사적 특성
4.1.1. 행위자의 격 표지
4.1.1.1. 일반적 격 표지
4.1.1.2. 특이한 격 표지
4.1.2. 피행위자의 격 표지
4.1.2.1. 현대한국어의 ‘을/를’ 피동문과 중세?근대한국어의 ‘을/를’ 피동문
4.1.2.2. ‘을/를’의 의미 기능
4.2. 피동문의 의미적 특성
4.2.1. 기본적 의미
4.2.1.1. 피동
4.2.1.2. 반사동
4.2.2. 부수적 의미
4.2.2.1. 재귀
4.2.2.2. 가능
4.2.3. 의미의 상관관계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부록 3]
Author
백채원
부산 출생으로, 서강대학교 문학부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여 졸업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성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현재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20세기 초기 자료에 나타난 ‘言文一致’의 사용 양상과 그 의미」(2014), 「통사?의미적 특성이 유사한 어기와 피동사의 공존」(2018), 「한글박물관 소장 『내훈촬요』의 국어사적 연구」(2019), 「접미사 ‘-껏’의 형성과 확장에 대한 연구」(2021), 「지석영의 <신정국문> 이본 텍스트의 비교 연구」(2021), 「한국어사 자료에 나타나는 주격조사 ‘이라셔’에 대한 소고(小考)」(2022) 등이 있다.
부산 출생으로, 서강대학교 문학부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여 졸업했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덕성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현재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20세기 초기 자료에 나타난 ‘言文一致’의 사용 양상과 그 의미」(2014), 「통사?의미적 특성이 유사한 어기와 피동사의 공존」(2018), 「한글박물관 소장 『내훈촬요』의 국어사적 연구」(2019), 「접미사 ‘-껏’의 형성과 확장에 대한 연구」(2021), 「지석영의 <신정국문> 이본 텍스트의 비교 연구」(2021), 「한국어사 자료에 나타나는 주격조사 ‘이라셔’에 대한 소고(小考)」(202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