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는 실리콘밸리가 아니다

MZ 경제를 주도하는 테크시티 3.0 판교
$21.60
SKU
97911680197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1/18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68019720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판교 신도시가 조성되고 십 년이 넘었다.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와 둥지를 틀었다. 판교테크노밸리는 우리나라 최고의 첨단 일터가 되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되고 있다. 신도시와 테크노밸리를 건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판교 조성을 위한 준비 기간까지 포함해 이십여 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은 결과다.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라고 한다. 판교 신도시가 본격적으로 건설될 때 사람들의 관심은 온통 청약과 투자에 있었다. 지금은 판교테크노밸리에 입주한 기업들과 그 기업들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일상으로 시선이 이동했다. ‘판교에서 누가, 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가 궁금해진 듯하다. 이 책은 사람들이 시선을 궁극적인 곳으로 향해 ‘판교를 누가, 왜, 어떻게 건설했는지’로 가져갔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고 집필했다.
Contents
추천사 _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장 김찬호
감사의 글
들어가며: 테크시티 판교와 글로벌 혁신, 그리고 MZ경제

제1부 테헤란 밸리를 떠난 비트의 도시 공동체

1 발아 (發芽)
2 포석 (布石)
3 착수 (着手)
4 탄생 (誕生)

제2부 테크 자이언트와 유니콘이 된 돌연변이들

5 축성 (築城)
6 위기 (危機)
7 도약 (跳躍)
8 진화 (進化)

제3부 빛과 그림자 : 테크노밸리의 지정학과 환상, 적자생존

9 확장 (擴張)
10 복제 (複製)
11 경쟁 (競爭)
12 이식 (移植)

나가며: 바꿀 것인가 아니면 바뀔 것인가?
참고문헌
Author
김근영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도시계획/교통 분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재난관리, 인구학, 도시행정, 세계역사 등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1999년부터 강남대학교부동산건설학부(도시공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청와대,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조달청 등 중앙정부의 다양한 부처에서 평가 및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충남도 등 광역자치단체, 수도권교통본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공공기관, 수도권의 17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전공분야 위원회에 참여하였다.
.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친환경건축물인증심의위원회, BF(무장애)인증심의위원회, 해외사업리스크관리위원회, 토지주택연구원 위원과 비상임이사를 역임했다.
. 서울연구원 초빙연구위원, 경기연구원 비상임연구위원,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심의위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교통학회, 한국방재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도시행정학회, 한국재난정보학회, 한국셉티드학회, 대한건축학회 등 관심분야의 학술단체에 참여하고 있다.
. 공저로 「서울시정의 바른길」, 「국토?지역계획론」, 「새로운 도시: 도시계획의 이해」, 「현대도시학」 등이 있다.
. 학위논문으로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Dyckman Award를 수상했고, Transportation Science지의 학위논문상 경쟁분야 최종후보로 선정되었다. 한국방재학회와 한국재난정보학회에서 우수논문으로 학술상을, 정부정책에 기여한 공로로 소방방재청장 표창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 도시학자로서 세계의 도시들을 이해하기 위해 6개 대륙 77개 국가의 다양한 도시들을 여행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지역 해외사업 평가와 협상에 참여하였다.
. 1961년에 태어나 베이비붐 세대의 일원으로 에코세대와 그 이후대한민국의 발전을 항상 생각한다.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도시계획/교통 분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재난관리, 인구학, 도시행정, 세계역사 등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1999년부터 강남대학교부동산건설학부(도시공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청와대,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조달청 등 중앙정부의 다양한 부처에서 평가 및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다.
.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충남도 등 광역자치단체, 수도권교통본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공공기관, 수도권의 17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전공분야 위원회에 참여하였다.
.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친환경건축물인증심의위원회, BF(무장애)인증심의위원회, 해외사업리스크관리위원회, 토지주택연구원 위원과 비상임이사를 역임했다.
. 서울연구원 초빙연구위원, 경기연구원 비상임연구위원,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심의위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한교통학회, 한국방재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도시행정학회, 한국재난정보학회, 한국셉티드학회, 대한건축학회 등 관심분야의 학술단체에 참여하고 있다.
. 공저로 「서울시정의 바른길」, 「국토?지역계획론」, 「새로운 도시: 도시계획의 이해」, 「현대도시학」 등이 있다.
. 학위논문으로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Dyckman Award를 수상했고, Transportation Science지의 학위논문상 경쟁분야 최종후보로 선정되었다. 한국방재학회와 한국재난정보학회에서 우수논문으로 학술상을, 정부정책에 기여한 공로로 소방방재청장 표창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 도시학자로서 세계의 도시들을 이해하기 위해 6개 대륙 77개 국가의 다양한 도시들을 여행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지역 해외사업 평가와 협상에 참여하였다.
. 1961년에 태어나 베이비붐 세대의 일원으로 에코세대와 그 이후대한민국의 발전을 항상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