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등장한 『토정비결』은 우리나라 근현대 혼란기에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에 대해 그동안 학계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최근 몇몇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으나, 대개는 『토정비결』을 주역점이나 육효점 등 역학과의 연관 속에서만 바라보고 있으며, 『토정비결』의 판본을 문제 삼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은 『토정비결』이 본래 우리의 독자적인 점법이 계승 발전되어온 것으로서, 후대 주역의 64괘와 12월운이 덧붙여지면서 오늘날의 형태가 이뤄졌음을 분석했다. 작자 문제를 비롯해서, 그 점법(占法)과 점사(占辭)를 통해 『토정비결』의 기원과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판본에 따라 큰 차이를 갖는 『토정비결』을 비교 분석하고, 그중에서 가장 원형이 되는 판본이 무엇인지를 확정하고 후대에 첨가된 내용을 구분하였으며, 이들을 통해 우리의 『토종비결』에 내포된 전통적 가치관을 되짚고자 했다.
Contents
서 문
제1장 서 론
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2. 기존연구 성과 분석
3. 연구 방법
제2장 한국 점속과 「토정비결」의 등장
1. 한국 점속의 기원과 역사
2. 「토정비결」의 등장
제3장 「토정비결」의 기원 문제
1. 토정비결의 작자 문제
2. 「토정비결」의 판본 문제
제4장 「토정비결」 작괘법(作卦法)의 특성
1. 「토정비결」 작괘법의 구조
2. 관련 점법과의 비교
3. 「토정비결」에 나타난 점법의 특성
제5장 「토정비결」 점사(占辭)의 성격
1. 「토정비결」 점사의 구조적 성격
2. 「토정비결」 점사 속에 보이는 가치관
제6장 「토정비결」의 현대적 의의
1. 「토정비결」의 가치
2. 「토정비결」의 현대적 의미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1] 필사본 원제
[부록 2] 인쇄본 「土亭秘訣」 원형 1구 8자본 144괘
Author
김정혜
원광대학교 동양철학 석사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동양문화학 박사
현)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외래교수
명리학연구소 정명원 운영
명리상담소 운영
논문 및 저서
●박사논문
「『토정비결』점의 기원과 성격연구」
●석사논문
「命理理論과 精神疾患의 상관성 연구」
-명조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저서
『자평진전』(원전현토완역, 공역, 2011)
『이허중명서』(사고전서 최초완역, 공역, 2012)
『적천수천미 上(통신론)』(공역, 2013)
『적천수천미 下(육친론)』(공역, 2014)
『궁통보감』(현토완역 공역, 2015)
『명리약언』(현토완역, 공역, 2016)
『옥조정진경』(완역, 2016)
원광대학교 동양철학 석사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동양문화학 박사
현)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외래교수
명리학연구소 정명원 운영
명리상담소 운영
논문 및 저서
●박사논문
「『토정비결』점의 기원과 성격연구」
●석사논문
「命理理論과 精神疾患의 상관성 연구」
-명조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저서
『자평진전』(원전현토완역, 공역, 2011)
『이허중명서』(사고전서 최초완역, 공역, 2012)
『적천수천미 上(통신론)』(공역, 2013)
『적천수천미 下(육친론)』(공역, 2014)
『궁통보감』(현토완역 공역, 2015)
『명리약언』(현토완역, 공역, 2016)
『옥조정진경』(완역,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