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부패 윤리론

$18.14
SKU
979116801660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9/01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68016606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경찰은 법을 집행하고 공공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고 시민의 권리를 보호할 임무가 있다. 그러나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청렴도 인식조사 등을 보면, 경찰은 부정과 부패의 기회가 만연하고 도덕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그 청렴도가 타 행정기관에 비해 상당히 떨어진다는 심각한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 책은 시민들의 관점에서 경찰부패를 인식하고, 부패의 특성을 개인별 인식, 법제도적 측면, 환경이나 조직 문화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 각기 국민의 불신을 초래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의 반부패정책이나 청렴정책의 기준을 제시하고 그 대책을 마련하고자 했다.
Contents
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경찰 부패
1. 개념과 유형
2. 원인
3. 기능
제2절 한국의 경찰부패 실태와 통제
1. 실태
2. 원인
3. 통제제도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1. 법·제도적 연구
2. 개인·윤리적 연구
3. 문화·환경적 연구

제3장 연구모형과 연구방법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1. 연구 모형
2. 연구 가설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1.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
1. 설문지와 표본추출
2. 자료분석

제4장 연구결과의 분석 및 논의
제1절 조사대상자 분포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기술통계학적 특성
제2절 신뢰성분석
제3절 연구 가설검증
1. 개인적 요인
2. 조직문화적 요인
3. 법제도적 요인
4.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제4절 조사분석 결과의 논의
1. 개인적 요인
2. 조직문화적 요인
3. 법제도적 요인

제5장 결론

부록
참고문헌
Author
김택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이다.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일반대학원 경찰학박사, 미국 워싱턴 디시 American University Post Doc.과정 수료, 독일 Speyer행정대학원 비지팅스칼러, 미국Royal D.유니버시티 연구원,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아메리칸대학교 국제범죄부패연구소 비지팅스칼러, 서울시립대 SIT 수석연구원,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경찰대, 중앙대, 단국대, 한림대, 숭실대, 강원대, 국민대, 세종대, 강원도공무원교육원, 서울시공무원교육원, 경기도 공무원교육원, 방송통신대 등 강사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경찰학의 이해』, 『관료제도록』, 『관료부패이론』, 『공직윤리와 청백리사상』, 『행정의 윤리』, 『지방행정론』, 『행정학개론』 등이 있다.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이다.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일반대학원 경찰학박사, 미국 워싱턴 디시 American University Post Doc.과정 수료, 독일 Speyer행정대학원 비지팅스칼러, 미국Royal D.유니버시티 연구원,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아메리칸대학교 국제범죄부패연구소 비지팅스칼러, 서울시립대 SIT 수석연구원, 한국외대, 서울시립대, 경찰대, 중앙대, 단국대, 한림대, 숭실대, 강원대, 국민대, 세종대, 강원도공무원교육원, 서울시공무원교육원, 경기도 공무원교육원, 방송통신대 등 강사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경찰학의 이해』, 『관료제도록』, 『관료부패이론』, 『공직윤리와 청백리사상』, 『행정의 윤리』, 『지방행정론』, 『행정학개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