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곤강 문학 연구』는 윤곤강의 작품 세계와 문학사적 의의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필 수 있는 연구 주제를 토대로 ‘미완’의 영역을 보충하고자 노력하였다. 본서는 윤곤강과 그의 작품에 대해 논의를 꾸준하게 이어온 연구자들과 새로운 시각으로 윤곤강을 재독해내고자 한 연구자들의 폭넓은 논점을 바탕으로 첫째, 윤곤강 문학 세계의 변모 양상, 둘째, 윤곤강 문학의 특성, 셋째, 윤곤강 문학의 장소성, 넷째, 윤곤강의 문학사적 위치라는 네 가지 대주제로 구성되었다. ‘윤곤강 문학 세계의 변모 양상’에서는 제1시집부터 제6시집까지 윤곤강의 시적 태도와 성격이 다채로운 변화를 겪는 바, 『大地』에서 『살어리』까지의 통시적·개별적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윤곤강 시의 시적 변모 양상」은 윤곤강의 생애에 따른 시적 변모를 전체적으로 논구한다. 식민지 근대 현실에서 카프의 각성을 촉구하고, 변화를 모색하고자 했던 윤곤강의 태도는 『大地』에서 봄과 겨울이 혼재하는 갈등의 시원인 대지 공간으로 반영되었다. 이는 겨울-현재의 혹독한 시련을 견디는 온존의 세계이며 ‘생명-미래를 노래하는 낙원의 모상(模像)’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제2시집 『輓歌』는 윤곤강 내면 주체의 기록이었다. ‘기억과 경험’의 무상한 죽음의식을 노래하는 속에서 시인은 ‘죽음’과 ‘애도’의 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그리하여 ‘애도하는 주체로 인해 회복된 공간으로 상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이렇듯 『輓歌』의 시편이 죽음과 대결하며 고통받는 ‘주체’의 모습을 드러냈다면, 제3시집 『動物詩集』의 시편은 앞선 시편에서의 격정을 동물이라는 대상에 고정시키며 비교적 안정적인 의식을 유지한다. 일종의 알레고리 형식으로서 구성된 『動物詩集』을 통해 윤곤강은 체험과 지각이 ‘주체의 타자화’, 내지는 ‘타자의 주체화’가 되는 공존의 의미를 고찰하게 한다.
Contents
『윤곤강 문학 연구』 총론 7
1부
박주택 ____ 윤곤강 시의 변모 양상 25
송기한 ____ 윤곤강 시의 리얼리즘의 향방 57
송재일 ____ 윤곤강 초기 시에 나타난 대지적 상상력
-시집 『大地』를 중심으로 115
박진희 ____ 윤곤강 시에 드러난 계몽에 대한 인식과 응전 157
전지윤 ____ 윤곤강 시의 주요 이미지 연구
-시집 『氷華』를 중심으로 189
이재복 ____ 전통의 변주와 감정의 구조
-윤곤강의 『피리』, 『살어리』를 중심으로 209
2부
김홍진 ____ 탈주과 귀환
-윤곤강의 시적 여정과 지향점 241
김현정 ____ 윤곤강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275
한상철 ____ 1940년대 초반 윤곤강 시에 나타난 전회(轉回)의 양상
-‘기차’와 ‘길’ 표상을 중심으로 293
이형권 ____ 윤곤강 시와 시론의 상관적 변모 과정 315
김웅기 ____ 1930년대 ‘浪漫同人’으로서 윤곤강 연구
-『子午線』, 『詩學』, 『新撰詩人集』을 중심으로 343
김태형 ____ 식민치하 “경주”의 허구적 이미지 생성 ? 반영 양상 고찰
-윤곤강 후기 시론을 중심으로 375
박성준 ____ 윤곤강 시론에 나타난 ‘시인-되기’의 여정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