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는 문명의 발전과 사회 변화에서 벗어나 있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 발전과 변화를 새로운 가치창조로, 문화유산으로, 인류의 자양분으로 녹아들어 생명력을 유지해 왔다. 그리하여 교과서의 역사가 그대로 인류 문명과 정신(철학)의 역사가 되었고, 어려움과 변화에 의연하게 자리를 지켜왔다고 하겠다. 이처럼 교과서는 ‘시대의 대변자’요, ‘문명의 상징’이요, ‘인간존재에서 필수 불가결의 반려자(伴侶者)’이다. 이러한 생각과 자세로 개발학의 가능성을 찾아보기 위해 체계를 세우고 내용을 구조화하여 설명해 보려고 하였다.
Contents
│머리말 │ 개발학의 탄생 … 5
제1장
교과서 개발학의 배경과 이론화 기초
Ⅰ. 교과서 개념의 탄생과 발전 23
1. 문명 발생과 교과서 탄생 23
가. 점토판 교재 24
나. 파피루스 교재 27
다. 목간(木簡), 죽간(竹簡), 비단, 종이 교재 31 라. 인장(印章)과 교재 33
2. 교과서 개념의 확장과 발전 36
가. 고대 그리스 교육과 교과서 37 나. 고대 로마 교육과 교과서 41
다. 중세 교육과 교과서 44
라. 르네상스 교육과 교과서 46
3. 근대적 교과서 개념의 탄생 49
가. 근대 교과서의 탄생 배경 49
나. 교과서 발달과 근대적 요소 55
4. 교과서 발달 체계 정립 모색 57
가. 발달 체계 정립 방법 모색 57
나. 교과서 발달사의 체계적 수립 60
Ⅱ. 교과서의 개념 규정과 발상의 전환 63
1. 교과서 개념 규정의 전제와 중요성 63
가. 교과서, 완결된 하나의 유기체 63
나. 교과서 개념 규정의 중요성?확산성 66
2. 교과서(교재) 개념 탐색의 양상 68
가. 교과서, 교재 개념 규정 68
나. 교수?학습의 매개물/자료 75
다. 개념 규정 관련 요소의 종합 제시 77
라. 법령?규정에서의 정의 78
3. 교과서 개념 규정의 발상 전환 81
가. 교과서 개념 규정의 보완과 지향 81
나. 교과서 개념 규정의 변화 모색 82
4. 미래 지향적 개념 규정 모색 93
가. 교과서 '개념 요소 체계' 도입 93
나. 교과서 개념 변화와 규정 관점 95
Ⅲ. 교과서 기능 탐구와 인식의 전환 97
1. 교과서 기능 규정 탐구 양상 97
가. 교과서 기능과 인격 형성 97
나. 교과서 기능 개념 설정 양상 98
2. 교과서 기능 탐색의 변화 모색 103
가. 교과서 기능 규정의 보완과 지향 103
나. 교과서 기능 규정의 발상 전환 105
3. 교과서 기능 변화와 미래 지향적 대비 111
가. 미래 지향적 기능 규정 모색 111
나. 교과서 기능 변화와 미래형 교과서 113
Ⅳ. 좋은 교과서 개념과 철학적 교과서관 115
1. 좋은 교과서의 개념 규정 양상 115
가. 좋은 교과서 개발과 정책적 지향 115
나. 좋은 교과서 개념 설정 양상 116
2. 좋은 교과서 개념 규정과 발상의 전환 121
가. 좋은 교과서 개념 규정의 보완과 지향 121 나. 좋은 교과서 개념의 변화 모색 124
3. 좋은 교과서의 개발 변인과 작용 132
가. 좋은 교과서의 개발 변인 132
나. 좋은 교과서 개발 변인의 역동성 135
4. 좋은 교과서의 철학적 관점과 교과서관 136
가. 철학적 관점과 좋은 교과서 136
나. 철학적 교과서관과 좋은 교과서 139
5. 좋은 교과서 바르게 바라보기 141
가. 교과서 바르게 보기 관점 141
나. 긍정적 교과서관의 정립 143
Ⅴ. 교과서 개념?기능?품질의 상호 작용 탐구 147
1. 개념?기능?품질 요소의 성격과 작용 147
가. 요소 성격 비교와 의의(意義) 147 나. 상호 관련 작용 모색과 의미 148
2. 교과서 개념?기능 상호 작용과 품질 150
가. 개념?기능을 품질이 내포하는 경우 150
나. 개념?기능?품질이 동위로 상호작용하는 경우 154
3. 교과서 기초 원리 확장과 개발학의 지향 155
가. 교과서 기초 원리 확장과 이론화 155
나. 교과서 존재 원리 체계와 개발학 지향 157
제2장
교과서 개발학의 이론화 탐색
Ⅰ. 교과서 개발 체계와 원리 탐색 161
1. 교과서 개발 체계와 절차 구조 161
가. 정책적 절차 구조 탐색 162
나. 교재화 생태적 절차 모색 163
2. 교육과정 교재화 절차 원리 모색 166
가. 교육과정 내용 해석과 원리 166
나. 교재 구성의 방향 설정과 원리 181
다. 교재화의 실제와 원리 183
Ⅱ. 교과서 구성과 원리 탐색 191
1. 교과서 구성의 일반 원리 191
가. 교과서 구성 체계와 일반 원리 모형 191
나. 교과서 구성의 일반 원리 모색 193
2. 교과서 구성의 창조 원리 204
가. 독창적 지향의 원리 204
나. 창의적 발상의 원리 205
3. 교과서 구성의 총합 원리 207
가. 원심?구심적 작용 원리 207
나. 역동?순환적 작용 원리 208
4. 구성 원리 인자(因子) 존재 방식과 개발학 208
가. 원리 인자의 존재 방식과 작용 208
나. 원리 인자의 발산적 작용과 개발학 210
Ⅲ.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원리 탐색 213
1.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의 기저 213
가. 교수?학습 설계와 교과서의 위상 213
나. 교수?학습 설계 이론과 지식의 관점 218
다.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와 설계 220
2.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구성 원리 224
가. 교수?학습과 교과서 구성의 패러다임 224
나. 교수?학습 설계와 교과서 구성의 상동성 226
다.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 변인과 구성의 제한점 227
라.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 이론과 구성 전략 232
3.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창조적 구성 236
가. 교과서 교수?학습 거시 구조 설계와 구성 237 나. 교과서 교수?학습 미시 구조 설계와 구성 239 다.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창조적 구성 관점 242
4.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단원 구성의 실제 244
가. 일반 단계모형과 단원 구성 244 나. 특정 모형과 단원 구성 250
5. 디지털 교과서 위상과 교수?학습 설계 255
가. 디지털 교과서의 위상과 전망 255
나. 디지털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 설계 258
Ⅳ. 교과서 활용과 원리 탐색 261
1. 교과서 활용 의미와 체계 모색 261
가. 교과서 활용 개념의 정립과 중요성 261 나. 교과서 활용 체계?종류 개념 도입 265
2. 교과서 활용 체계와 위상 탐구 266
가. 교재화 절차와 활용의 위상 266 나. 상호 작용과 활용의 위상 268
3. 교과서 활용 체계와 종류 탐색 271
가. 교재화 절차상 활용 종류 272
나. 상호 작용상 활용 종류 273
다. 기타 요인과 활용 종류 274
4. 교과서 활용 방법과 원리 모색 275
가. 활용 요소 개념 도입과 교과서관 275
나. 교과서 활용 요소 안내 구조와 방법 280 다. 교과서 활용 요소 존재 방식과 재구성 285
5. 교과서 활용 원리 이론화 모색과 가능성 289
가. 미래 지향 교과서 활용 원리 모색 289 나. 교과서 활용 이론화 가능성과 적용 291
Ⅴ. 교과서 평가와 원리 탐색 297
1. 교과서 평가 개념과 교육적 의의 297
가. 교과서 분석과 평가 개념 297
나. 교과서 평가의 교육적 의의 298
2. 교과서 평가 기준 제시 양상과 지향 300
가. 교과서 평가 구분과 기준 제시 양상 300
나. 교과서 평가 기준 제시 보완과 지향 311
3. 교과서 평가 기준 설정 방법과 변인 313
가. 교과서 평가 기준요소 개념 도입 313
나. 교과서 평가 기준 관점과 변인 작용 315
4. 교과서 평가 체계 설정과 원리 모색 317
가. 교과서 평가 체계와 용어 사용 317
나. 교과서 평가 체계와 방법?종류 모색 320
다. 교과서 평가 체계와 기준 운용 원리 326
5. 교과서 사용자 평가 실제와 원리 328
가. 사용자 평가의 필요성과 의의 328
나. 사용자 평가 체계와 환류 시스템 구축 330
다. 사용자 평가 유의점과 원리 336
제3장
교과서 품질 관리와 개발학의 위상
Ⅰ. 교과서 품질 관리 인식 변화와 체계 수립 343
1. 수정?보완과 품질 관리의 인식 전환 343
가. 수정?보완의 의미역 확장 343
나. 수정?보완과 품질 관리 비교 344
2. 교과서 품질 관리 체계와 관점 설정 345
가. 품질 관리 체계와 관점 설정의 필요성 345
나. 품질 관리 체계 구조와 관점 347
다. 품질 관리 관점 이해와 활용의 지향 348
Ⅱ. 교과서 품질 관리 관점과 원리 353
1. 교과서 정책과 품질 관리 관점 353
가. 교과서 정책과 품질 관리 현황 353
나. 교과서 정책과 품질 관리 관점 제시 360
2. 교과서 구성과 품질 관리 관점 363
가. 구성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모형 363
나. 구성의 일반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365 다. 구성의 창조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377 라. 구성의 총합 원리와 품질 관리 관점 379
3. 교과서 교수?학습 설계와 품질 관리 관점 381
가. 교수?학습 설계와 품질 관리 의미 381 나. 교수?학습과 품질 관리 주요 관점 382
4. 교과서 활용과 품질 관리 관점 385
가. 교과서 활용과 품질 관리 위상 385
나. 교과서 활용과 품질 관리 주요 관점 386
5. 교과서 평가와 품질 관리 관점 389
가. 교과서 평가와 품질 관리 의의와 인식 389 나. 교과서 평가와 품질 관리 주요 관점 391
다. 품질 관리 주체와 피드백 개념 394
Ⅲ. 교과서 품질 관리의 지평 확대 397
1. 교과서 '개발/수정?보완 능력' 개념 도입 397
가. '개발 능력'과 '수정?보완 능력'의 상관 397 나. 수정?보완 능력의 체계적 신장 398
2. 품질 관리 상관 개념도 설정과 운용 401
가. 내재적 품질 관리 상관 개념도 설정 401 나. 외재적 품질 관리 상관 개념도 설정 405
3. 품질 관리의 일반적 원리 탐색 410
가. 교과서 존재와 품질 관리 410
나. 품질 관리의 일반 원리 모색 411
4. 품질 관리 전담 기관 필요성과 역할 413
가.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운영 확대 413
나. 품질 관리 전담 기관의 필요성 418
Ⅳ. 교과서 품질 관리와 개발학의 시너지 421
1. 더 좋은 교과서를 지향한 품질 관리 421
가. 더 좋은 교과서와 품질 관리 울력 421
나. 미래 지향 품질 관리의 방향 422
2. 교과서 품질 관리 속성과 개발학의 영역 424
가. 품질 관리의 속성과 이론화 424
나. 품질 관리와 개발학의 위상 425
제4장
교과서 개발학의 내용 확충과 전망
Ⅰ. 교과서 존재 방식과 개발학의 상동성 429
1. 구심?통합 작용의 존재 방식과 개발학 429
가. 거시적 구심 존재 방식 429
나. 미시적 구심 존재 방식 431
2. 작용?소통 촉매의 존재 방식과 개발학 432
가. 교과 교육학 구조 측면과 위상 432
나. 교과 교육학 연구 측면과 위상 434
다. 교과 교육 현상 측면과 위상 436
라. 학교 활동 관계 측면과 위상 437
마. 교과서 환경 측면과 위상 438
3. 교과서 존재 질서 부여와 개발학의 상동성 439
가. 교과서 존재 질서 부여와 개발학 439
나. 교과서 존재 접맥(接脈)과 개발학의 상동성 441
Ⅱ. 교과서 개발학의 연구 분야와 내용 확충 445
1. 교과서 연구 방법과 현황 탐색 445
가. 단위 교과 연구 방법과 현황 445 나. 교과별 연구 방법과 현황 448
2. 교과서 연구의 보완 방법과 체계 모색 451
가. 교과서 연구의 보완과 지향 사항 451 나. 교과서 연구 범주와 체계 모색 453
다. 교과서 연구의 미래 지향적 방향 457
3. 교과서 개발학 연구의 지평 확대 459
가. 교과서 연구와 개발학의 연구 상동성 459 나. 교과서 개발학 연구 범주와 체계 설정 461 다. 교과서 개발학 연구의 외연 확대 463
Ⅲ. 학문적 울력과 교과서 개발학의 발전 467
1. 개발학의 학문적 성격과 울력 작용 467
가. 개발학의 학문적 성격 탐색 467 나. 학문적 울력과 개발학의 정립 471
2. 개발학 용어의 설정과 체계화 473
가. 용어 설정과 체계화의 필요성 473 나. 용어의 선정 범위와 분류 방법 474 다. 용어의 탄생과 설명 방법 477
Ⅳ. 교과서 패러다임 변화와 개발학의 전망 483
1. 미래 사회 변화와 교과서 위상과 역할 483
가. 교육 패러다임 변화와 교과서 위상 483 나. 교과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역할 488
2. 미래형 교과서 패러다임의 변화와 적용 491
가. 스마트/온라인 교육의 도입과 활성화 491 나. 스마트/온라인 교육과 미래학교 모습 495
다. 스마트/온라인 교과서 개념 정립과 활용 499
3. 미래형 교과서 개념 변화와 개발학의 전망 507
가. 미래형 교과서 개념 변화와 대비 507
나. 미래형 교과서 개념 변화와 개발학의 역할 510
Ⅴ. 미래 지향 교과서 정책과 개발학의 가능성 521
1. 교과서 패러다임 변화와 정책적 대비 521
가. 교과서 제도 개선과 정책적 대비 521
나. 교과서 패러다임 변화와 정책의 유연성 527
2. 자유발행제 활성화와 정책적 준비 530
가. 자유발행제 개념, 의미 범주 탐색 530
나. 안착을 위한 정책적 준비와 과제 534
3. 교과서 정책과 개발학의 가능성 543
가. 교과서 정책의 성격/요소와 연구 543
나. 정책적 지원과 개발학의 가능성 544
│마무리 말 │ 개발학의 발전 … 549
│참고문헌 │ … 561
│찾아보기 │ … 569
Author
박삼서
박삼서 교육권익사단 이사장이다. 전 한국교과서연구재단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센터장, 영등포여자고등학교 교장, 교육부 교육과정 정책과장으로 활동했다.
박삼서 교육권익사단 이사장이다. 전 한국교과서연구재단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센터장, 영등포여자고등학교 교장, 교육부 교육과정 정책과장으로 활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