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이 왜 현대소설 명작이라 불리는가”
1990년대 이후 현대 단편소설 20편을 망라한 황종연의 신작 평론집
문학평론가로서 날카로운 통찰력과 지성으로 문학적 담론을 끊임없이 생산해온 황종연 교수의 평론집 『명작 이후의 명작』이 출간되었다. 문단에서 활동한 “30년간 변함없는 이 압도적인 치열함”으로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며 “전후세대와 4·19세대 이후 한국 평단의 드문 거인”(신형철)으로 평가받는 그의 이번 평론집은 『비루한 것의 카니발』 『탕아를 위한 비평』 이후 10년 만의 신작이다. 2018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현대문학]에 발표한 작품 열여덟 편과 미발표작 두 편을 엮은 것이다.
저자의 전작들이 통해 한국 현대문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가늠해봤다면, 이 책은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문학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접한 한국 단편소설 가운데 그가 문제작으로 꼽은 스무 편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문화적 상황을 분석, ‘왜 이 작품들이 명작으로 불리는가’와 ‘왜 앞으로도 기억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집대성한 것이다. 특히 그가 서문에서 밝혔듯 “비평의 소임 중 하나는 작품의 오래가는 새로움을 알아보는 것, 그리하여 그 작품에 명작의 위신을 부여하는 것”에 충실한 평론집으로 한국 현대문학의 역사적?비판적 의의 또한 확인할 수 있다.
Contents
서문을 대신하여
문학적 동물들의 아나키즘―최윤, 「회색 눈사람」
여성의 슬픈 향유―신경숙, 「배드민턴 치는 여자」
하이퍼리얼한 타자의 환각―윤대녕, 「카메라 옵스큐라」
사랑이 상상의 베일을 벗을 때―전경린, 「꽃들은 모두 어디로 갔나」
민중의 탈신화화와 재신화화―김소진, 「건널목에서」
이야기 전승의 놀이와 정치―성석제, ?조동관약전?
고독한 대중문화 마니아의 타나토스―김영하, 「바람이 분다」
스크린을 보는 눈의 역설―하성란, 「당신의 백미러」
세속 너머를 향한 식물-되기―한강, ?내 여자의 열매?
동물화한 인간의 유물론적 윤리―은희경, 「내가 살았던 집」
순진한 사람들의 카니발적 공동체―윤성희, 「유턴지점에 보물지도를 묻다」
반권력을 위한 인간 우화―이기호, 「발밑으로 사라진 사람들」
정치 이성 레짐의 바깥으로―김연수, 「다시 한달을 가서 설산을 넘으면」
동성사회적 욕망과 팝 모더니즘―박민규, 「고마워, 과연 너구리야」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사후의 생을 위하여―김인숙, 「감옥의 뜰」
인간 사육의 숭고한 테크놀로지―편혜영, 「사육장 쪽으로」
소비주의의 역병과 싸우는 농담―김애란, 「성탄특선」
강남 밖의 청년, 그의 망상과 익살―김경욱, 「런닝 맨」
미니멀리즘, 아이의 마음, 코뮌주의―황정은, 「디디의 우산」
비극적 파토스의 민주화―권여선, 「봄밤」
후기
색인
Author
황종연
1960년 서울 출생. 동국대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미국 컬럼비아대 대학원 동아시아언어문화과에서 수학했다. 1992년 계간 『세계의문학』 및 『작가세계』에 기고하면서 평론 활동을 시작했고 1994년 계간 『문학동네』 창간에 참여했다. 미국 시카고대 동아시아언어문명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비루한 것의 카니발』 『탕아를 위한 비평』 『문학과 과학』(전3권, 편저) 등이 있다.
1960년 서울 출생. 동국대 및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미국 컬럼비아대 대학원 동아시아언어문화과에서 수학했다. 1992년 계간 『세계의문학』 및 『작가세계』에 기고하면서 평론 활동을 시작했고 1994년 계간 『문학동네』 창간에 참여했다. 미국 시카고대 동아시아언어문명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비루한 것의 카니발』 『탕아를 위한 비평』 『문학과 과학』(전3권, 편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