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에 맞선 초일류 기업들의 파격적 HR 혁신 사례가 총망라된 ‘인사 교과서’!
“6대 메가트렌드로 대한민국 HR의 미래를 제시하다.”
팬데믹과 지경학적 환경변화로 인한 저성장 기조 강화, 베이비부머세대와 MZ세대의 교체기, AI 로봇과 사람이 함께 공존하는 하이브우리드(Hybrid) 시대에는 ‘온-오프라인 워크플레이스’에서 일하는 방식이 본격화된다. 이러한 대전환기에 대한민국 기업들은 더 큰 변화를 요구받는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전쟁 등 지역 간 갈등 고조로 보호무역주의 무역 장벽은 더욱 두꺼워지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 감축은 수출을 위한 전제조건이 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글로벌 디지털 산업화로 국가 간 스타트업 육성 경쟁이 일어나 인공지능과 클린테크, 빅데이터 기술로 무장한 인재 쟁탈전은 그야말로 전쟁을 방불케 한다.
이처럼 사회경제 대변혁기의 변화는 우리 기업의 경영과 워크플레이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앞으로 수년간 인사담당자들은 ① 온·오프 하이브리드 근무와 유연한 업무 방식, 직원 경험(Employee Experience)을 강화하고, ② 지속가능경영 문화를 확산하며, 인권경영과 글로벌 노사관계 규제 대응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③ 시니어와 MZ세대가 함께하는 직장 생활에 대응하고, 수평조직과 디지털 전환에 기반한 일자리 변화에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⑤ 저성장과 지역주의 추세로 구조조정의 일상화, 직원의 Re-Skill & Re-Invent 프로그램, 무역/통상/정책 전문가의 활용이 필요하며, ⑥ 인사업무도 Human & System 기반의 HR 경험(HR Experience)을 중시하는 디지털 인사관리 기법이 필수이다.
삼성, GE, MS, 포스코, 네슬레,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변화에 맞선 초일류 기업들의 파격적인 HR 혁신 사례가 총망라된 이 책은 새로운 경영과 인사 패러다임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경영자와 인사담당자들에게 교과서가 될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_ 인사 패러다임의 대전환-하이브리드 워크플레이스
제1장 Hybrid 워크플레이스_온라인-오프라인 워크플레이스
흑사병이 만들어낸 소득 패러독스
팬데믹, 직업에 대한 선호를 뒤바꾸다
재택근무는 계속될 것인가?
재택근무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On-offline 블렌디드 러닝, Hybrid 교육이 대세
긍정 경험이 만들어내는 매직
당신의 직장은 건강합니까?
직장인의 인성, 이대로 좋은가?
직장 변화에 대한 희망과 공포
멘토링, 일상이 되다
우리 문화에 적합한 비대면 일하는 방식 혁신하기
제2장 제2장 지속가능 HR_주주Shareholder와 함께 이해관계자Stakeholder를 향한 지속가능 HR의 부상
지속가능 HR의 부상
지속가능경영과 HR
ESG 경영, 담론을 넘어 실천의 시대로
지속가능기업을 향한 Sustainable HR
우리 직장은 안전할까요
목적 있는 기업은 강하다
제3장 인구절벽과 세대교체_고령세대와 MZ세대가 함께하는 직장생활
고용의 미래, 인력 부족의 시대
인구가 보여주는 직장의 미래
거센 세대교체 바람에 대비한 공존형 인사관리를 준비하라
일하고 싶은 기업, 직장 내 괴롭힘 없는 신경영 브랜드
이중구조의 직급 문화와 동기부여
정년 연장, 중장년 직장인의 마음을 잡아라
초고령 시대, 시니어 친화 기업문화가 필요한 때
신입사원 채용과 조기 전력화
경력사원 핵심인재 채용 및 유지전략
기업은 혁신 리더를 어떻게 육성하는가?
제4장 AI-로봇-스마트워크_사람과 AI, 로봇이 함께 일하는 방식의 혁신
AI가 직원과 관리자를 대체할 수 있을까?
로봇화의 숙제, 돕는 로봇과 대체하는 로봇
일자리의 미래는 밝은가, 어두운가?
산업 4.0 시대, 인간의 자리는 어디인가?
스마트 환경에 따른 일하는 방식의 혁신
소프트 기술 대전환, 인재 육성 재편이 시작됐다
우리 기업의 채용문화,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한 때!
개인화와 협업, 디지털 조직 혁명
인사고과의 종말과 성과관리 진화론
데이터 중심의 일하는 문화 확산
제5장 저성장기 사람관리_Up-Skilling & Re-Invent H
저성장기를 돌파하는 경영철학과 HR 전략
저성장 시대 인력계획과 적정 인력 수립
업무 몰입도를 높여 효율화를 추구하라
컬처 이노베이션 성공의 조건
구조조정의 늪을 헤쳐 나온 기업의 지혜
제6장 HR부서 디지털화_HR 경험(Experience)
긱 이코노미와 디지털 HR
핵심가치와 연계한 HR 시스템 설계
우리 기업 인사부서의 변천사와 과제
‘HR’, 알파고에게 길을 묻다
에필로그_ 인사부서, 소통으로 ‘신뢰 리스크’를 극복하라
참고문헌
Author
천성현
고려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산업 및 조직심리학 전공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기업 인사, 교육 및 조직 분야에서 25년간 일하면서 경영 컨설팅과 기업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해왔다. PWC컨설팅, 딜로이트컨설팅, AT커니에서 인사조직 컨설턴트로서 삼성, LG, KT, 롯데, CJ 등 다수 기업에 인사제도 설계, 기업문화 진단, 조직 재설계 등 자문 활동을 했다. LG경제연구원과 포스코경영연구원에서 인사조직 분야 수석연구원으로 내부 컨설팅과 실무와 연계된 연구보고서 저술 활동을 해왔다. 주요 저술로는 <글로벌 기업의 디지털 인재 확보 전략(2017)>, <솔루션 비즈니스 기업의 조직운영 모습(2014)> 등이 있다.
고려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산업 및 조직심리학 전공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기업 인사, 교육 및 조직 분야에서 25년간 일하면서 경영 컨설팅과 기업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해왔다. PWC컨설팅, 딜로이트컨설팅, AT커니에서 인사조직 컨설턴트로서 삼성, LG, KT, 롯데, CJ 등 다수 기업에 인사제도 설계, 기업문화 진단, 조직 재설계 등 자문 활동을 했다. LG경제연구원과 포스코경영연구원에서 인사조직 분야 수석연구원으로 내부 컨설팅과 실무와 연계된 연구보고서 저술 활동을 해왔다. 주요 저술로는 <글로벌 기업의 디지털 인재 확보 전략(2017)>, <솔루션 비즈니스 기업의 조직운영 모습(201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