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 석학들의 웨비나 Markus Academy를 이끈
프린스턴대 마커스 브루너마이어의 혁신적 포스트 코로나 패러다임
프린스턴대 경제 석학 마커스 브루너마이어의 《회복탄력 사회》가 출간됐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의 온라인 세미나 ‘마커스아카데미(Markus Academy)’의 논의를 재구성한 책으로, 이번 팬데믹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과 다음번 위기에 더 잘 대응할 방법을 최신의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제시한다.
저자는 국제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충격에 대한 회복탄력성’ 문제에 오랫동안 천착해왔다. 그가 이 책에서 제안하는 ‘회복탄력 사회’는 ‘만일의 경우(Just in case)’에 늘 준비된 사회, ‘바람에 흔들리되 꺾이지 않는 갈대’처럼 어떤 충격이든 잘 흡수해서 장기적으로 더 건실한 성장을 누리는 사회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까지 사회가 ‘적시 대응(Just in time)’의 원칙에 따라 모든 것을 타이트하게 계획해온 반면, 회복탄력 사회는 예전엔 불필요하다고 여겨진 여분과 초과분, 완충장치, 중첩 구조를 시스템적으로 구비하려 한다. 일견 적시 대응보다 비효율적인 듯하지만, 대대적 위기 상황에서 시스템을 더 쉽게 안정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더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더 많은 사람들이 회복탄력성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쓰였다. 사회의 회복탄력성을 떠받치는 기본 요소부터 팬데믹의 충격을 억제하는 방법, 인플레이션과 같은 거시경제 문제와 기후 위기 같은 글로벌 이슈 대응법까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춤한 혁신적 패러다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감수의 글
서문
들어가는 글
1부 회복탄력 사회의 조건
1장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의 정의 | 견고성과 가외성 | 지속가능성 | 회복탄력적 성장
2장 회복탄력성과 사회계약
외부효과와 사회계약 | 보험과 사회계약 | 사회계약 이행의 세 가지 방법 | 사회적 규범과 관습 | 정부의 역할 | 시장의 역할 | 사회계약의 회복탄력성
2부 충격의 억제: 팬데믹 사례를 중심으로
3장 사람들은 대유행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행동 반응과 SIR 모델 | 행동 패턴 1: 공포감 | 행동 패턴 2: 피로감과 회복탄력성 환상 | 행동 패턴 3: 라스트 마일 | 지역적 편차
4장 정보, 검사, 추적
전체 봉쇄와 부분 봉쇄 | 부분 봉쇄에 필요한 정보 | 접촉자 추적, 효율적인 검사, 표적검사 시행 | 사생활 보호와 낙인 효과
5장 소통은 어떻게 과도한 불안을 억제하는가
공동체 의식 함양 | 신뢰의 역할 | 반사실적 접근법을 통한 신뢰 획득 | 비전과 내러티브
7장 장기 성장을 촉진하는 혁신
기존 추세의 가속화 | 혁신의 원칙: 자기잠식과 쿼티 | 규제의 족쇄가 풀리다 | 혁신 사례
8장 상흔 효과
낙관론, 선호도, 위험에 대한 태도 변화 | 노동시장의 상흔 효과 | 기업의 상흔 효과
9장 금융 회복탄력성의 강화와 중앙은행의 역할
주식시장과 대기업: K자 침체 | 채권시장
10장 정부 부채와 저금리
재정 부양책과 회복탄력성 강화 | 높은 공공부채 부담 | 저금리의 원인 | 안전자산으로서 국채와 저금리 | 높은 부채 부담과 금리 급등에 대한 취약성 | 암묵적 정부 부채들
11장 톱니형 인플레이션
동적 관점으로 본 톱니형 인플레이션 | 단기 효과 | 중앙은행과 비전통적인 통화 정책 | 장기 효과 | 통화 정책, 재정 정책, 금융 정책의 우위 | 통화 정책의 재분배 효과
12장 불평등
회복탄력성의 개인 간 불평등 | 여러 형태의 불평등 | 불평등과 사회계약의 회복탄력성 | 역사의 교훈과 미래 전망
4부 글로벌 회복탄력성
13장 신흥 경제국의 회복탄력성을 저해하는 난제들
빈곤과 중진국의 함정 | 보건의 회복탄력성 | 재정 정책의 여력 | 정책 재량과 IMF의 특별인출권 | 채무 재조정
14장 새로운 세계 질서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지정학적 요인과 세계 질서 | 국제 금융 | 세계 무역
15장 기후 변화
배출량의 감축과 혁신의 증진 | 임계점과 회복탄력성 | 사전·사후적 회복탄력성: 계획의 안정성 혹은 유연성
결론과 전망
감사의 글
미주
Author
마커스 브루너마이어,임경은,최몽범
프린스턴대 경제학과 교수. 국제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버블, 유동성, 통화 가격 안정성 등으로, 특히 금융 위기로 인한 시스템 리스크의 형성 및 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최고 권위자로 평가받는다. 미국 의회예산국, 뉴욕 연방준비은행, IMF, 유럽 시스템 리스크 이사회, 독일 중앙은행 등의 자문위원을 지내며 금융 위기의 극복과 방지에 관해 정책적 조언을 해왔다.
2020년 3월 전 세계적 팬데믹 상황에서 ‘마커스아카데미(Markus Academy)’라는 온라인 세미나를 출범, 노벨상 수상자와 중앙은행 총재 등 전 세계 오피니언리더들과 함께 코로나 충격의 파장과 해법을 논의했다. 이 책 《회복탄력 사회》는 그 논의의 결과를 본인의 오랜 연구 주제인 ‘충격에 대한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초점을 맞춰 재구성한 결과물이다.
프린스턴대 경제학과 교수. 국제 금융시장과 거시경제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버블, 유동성, 통화 가격 안정성 등으로, 특히 금융 위기로 인한 시스템 리스크의 형성 및 시장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최고 권위자로 평가받는다. 미국 의회예산국, 뉴욕 연방준비은행, IMF, 유럽 시스템 리스크 이사회, 독일 중앙은행 등의 자문위원을 지내며 금융 위기의 극복과 방지에 관해 정책적 조언을 해왔다.
2020년 3월 전 세계적 팬데믹 상황에서 ‘마커스아카데미(Markus Academy)’라는 온라인 세미나를 출범, 노벨상 수상자와 중앙은행 총재 등 전 세계 오피니언리더들과 함께 코로나 충격의 파장과 해법을 논의했다. 이 책 《회복탄력 사회》는 그 논의의 결과를 본인의 오랜 연구 주제인 ‘충격에 대한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초점을 맞춰 재구성한 결과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