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이 민주적 공동체의 성공에서 시민적 덕(civic virtue)의 중요성에 큰 비중을 둔다. 이러한 희망은 충분한 근거가 있을까? 근본적인 문제는 ‘애초에 윤리적·시민적 덕을 함양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사실이다.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연히 생각하면, 적어도 세 가지 질문이 더 생긴다. 시민적 덕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이러한 유덕한 성향을 어떻게 함양해야 하는가? 마지막으로 시민교육을 가능하게 하려면 학교를 어떻게 조직해야 하는가? 이러한 상호 관련된 질문이 이 책의 초점이다. 도덕 심리학, 교육 철학, 정치 철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철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질문을 고려함으로써 이 책에 실린 9편의 논문은 우리가 아동을 유덕한 시민으로 만들고자 시도할 때 마주할 도전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이 책의 1∼3장은 도덕 심리학과 인식론 영역에 있는 시민의 덕을 함양하는 것에 관한 몇 가지 난제를 탐구한다. 여기서는 시민적 덕과 관련하여 상황주의, 호기심, 인식론적 위협을 다룬다. 4∼6장은 미국 정치를 지배하고 있는 분열적이고 전투적인 정치 문화라는 공통된 출발점을 공유한다. 4장은 교양 있는 행동의 중요성을 그리고 5장은 정치적 양극화 상황에서 시민교육의 과제를 다룬다. 6장은 시민적 덕의 발달에서 학교 위원회(평의회)의 중요성을 다룬다. 이 책은 정치적 정당성 또는 정의에 대한 광범위한 이론과 관련하여 시민적 덕이 어떻게 위치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적절한 최근의 정치 철학에서의 몇 가지 일반적인 발전을 다루는 세 개의 장으로 마무리된다. 7장과 8장은 현대 공화주의의 중심에 있는 비지배로서 자유비지배로서 자유의 이상과 관련된 시민교육을 고려한다. 끝으로, 9장은 교육 자원과 기회 분배에서 정의의 문제를 다룬다.
Contents
감사의 말
서문. 시민의 형성과 학교
1장. 시민과 상황: 상황주의상황주의, 학교교육, 시민적 덕 함양
서론
1. 상황주의상황주의와 덕 상황주의상황주의에 대한 수정된 인식
2. 상황주의상황주의, 학교로 가다
결론
참고 문헌
2장. 교사는 호기심을 격려해야 하는가?
서문
1. 호기심의 본질
2. 정서로서의 지적인 호기심지적인 호기심
3. 호기심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우려
결론
참고 문헌
3장. 포스트 트루스 시대에서 시민적 덕
서론
1. 소셜 미디어의 세 가지 인식론적 위협
2. 포스트 트루스 시대를 위한 지적인 덕의 목록
3. 지적인 덕: 윤리적ㆍ정치적 정당화
결론
참고 문헌
4장. 교양 있는 시민 만들기?
-학교에서 교양 있는 행동교양 있는 행동을 가르치는 것의 가치와 한계-
서론
1. 교양 있는 행동이란 무엇인가?
2. 교양 있는 행동의 가치
3. 교양 있는 행동의 필요성
4. 교양 있는 행동을 가르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5. 학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6. 교양 있는 행동을 가르칠 때의 장벽
참고 문헌
5장. 양극화, 당파성, 시민교육
1. 법률적 배경
2. 정치적으로 진정한 기준과 정치적 교실의 목표
3. 온라인 정치적 분리 및 당파적인 동기화된 추론
4. 오프라인 정치적 분리
5. 끝에서 보는 정치교육의 목표와 기본적인 민주적 규범
결론
참고 문헌
6장. 학교 위원회는 시민적 덕의 모판인가?
-교육 연구와의 대화에서 자유주의 시민성자유주의 시민성 이론-
서론
1. 학교, 학생회, 시민교육에 관한 자유주의 이론
2. 민주 시민성의 시민적 덕: 중첩적 합의
3. 학교 위원회의 작동 방식
4. 시민적 덕 함양을 위한 도구로서의 학교 위원회
5.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7장. 비지배와 정치적 자유주의 시민성 교육
서론
1. 정치적 자유주의, 시민 존중, 그리고 정치적 인간 개념
2. 공화주의자의 자유
3. 정치적 자유주의 시민성 교육과 공화주의의 자유
4. 비지배에 대한 정치적 자유주의의 한계
결론
참고 문헌
8장. 비지배로서 자유와 시민교육: 법률 중심 대 덕 중심
서론
1. 비지배로서 자유 이론
2. 시민교육에 대한 법률적 접근법
3. 만연한 편견이 자유의 장애물인가?
4. 시민적 덕 접근법
결론
참고 문헌
9장. 교육을 위한 분배적 이상으로서 평등과 적정성
서론
1. 무대 설정
2. 적정성과 교육의 시민적 목적
3. 평등과 교육의 사적인 목적
4. 행위 주체로서 국가
결론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 (인명)
Author
콜린 머클라우드,크리스틴 태폴레,추병완
빅토리아 대학교의 철학 및 법학 교수이다. 그의 연구는 분배적 정의와 평등, 아동가족정의, 민주주의 이론과 같은 주제에 특히 초점을 맞춘 현대 도덕, 정치, 법률 이론의 문제에 중점을 둔다. 그는 2016년에 저스티스(Justice)와 함께 『Have A Little Faith: Religion, Democracy and the American Public School』를 저술했고, 1998년에 『Liberalism, Justice, and Markets: A Critique of Liberal Equality』를 집필했다. 그는 아처드(Archard)와 함께 『The Moral and Political Status of Children』을 편저했다.
빅토리아 대학교의 철학 및 법학 교수이다. 그의 연구는 분배적 정의와 평등, 아동가족정의, 민주주의 이론과 같은 주제에 특히 초점을 맞춘 현대 도덕, 정치, 법률 이론의 문제에 중점을 둔다. 그는 2016년에 저스티스(Justice)와 함께 『Have A Little Faith: Religion, Democracy and the American Public School』를 저술했고, 1998년에 『Liberalism, Justice, and Markets: A Critique of Liberal Equality』를 집필했다. 그는 아처드(Archard)와 함께 『The Moral and Political Status of Children』을 편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