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이 넘은 나이에 모든 것이 끝난 것처럼 느껴졌던 순간, 저자는 산티아고 순례길로 떠났다. 그 여정에서 깨달은 감사, 인내, 결단력, 그리고 희망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구부러진 길 위에서 마주한 자연, 사람, 그리고 스스로와의 대화를 통해 진정한 치유와 성장을 경험한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삶의 새로운 방향과 용기를 제시하고 있다.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저자가 깨달은 삶의 본질과 희망을 담아낸 감동적인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게 될 것이다.
삶이 끝났다고 느껴질 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용서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인내와 결단력이 어떻게 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
산티아고 순례길은 프랑스와 스페인의 국경인 생장드피드포르(이하 ‘생장’)에서 출발하여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에 도착하는 도보 순례길이다. 예수의 12사도의 한 사람인 야고보가 예루살렘에서 순교한 후 제자들이 매장을 해주었고, 이후 야고보의 유해가 발견되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9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후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도보 길이다.
저자는 가장 대표적인 길로 알려진 프랑스 생장에서부터 피레네산맥을 넘어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까지 프랑스길 약 800km 구간을 걸었다. 40일의 여정 중 35일 동안 하루 평균 20km를 걸었다.
누군가 질문을 던졌다.
“왜, 고생을 사서 하냐?”
또 다른 사람이 질문을 던졌다.
“어떻게 그런 용기를 낼 수 있냐?”
또 다른 누군가는 응원을 보내왔다.
“정말 잘 생각했다. 잘될 거야. 잘할 수 있을 거야.”
그리고 또 한 사람,
“엄마, 정말 갈 거야? 엄마 꼭 가야 해? 엄마 괜찮겠어? 그래도 난 엄마 응원해.”
누군가는 쉼으로, 누군가는 치유로, 또 누군가는 종교적인 가치 등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며 그 길을 걷는다고 한다. 저자 나이 쉰하고 다섯, 인생 반평생을 살아왔다. 아니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다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그래서 살기 위해 떠난다. 그런데 죽을 각오로 떠난다. 지지리도 가난했던 어린 시절, 꿈 많은 학창 시절은 가난이라는 이유로 꿈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슬금슬금 다시 올라온 꿈을 이루기 위해 어느 것 하나는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프롤로그 - 구부러진 길 위에 서다 004
0일차 | 낯선 땅, 낯선 공간, 낯선 사람 014
1일차 | 가슴과 하늘이 맞닿은 피레네산 020
까막눈에 서툰 언어 대혼란 025
생장피드포르St. Jean Pied de Port - 론세스바예스Roncesvalles 27km
2일차 | 수리비의 숲과 마을 그리고 사람 029
론세스바예스Roncesvalles - 수비리Zubiri 22.1km
27일차 | 길 위 친구들의 성지 사리아 204
트리아카스텔라Tricastela - 사리아Sarria 25km
28일차 | 나를 품은 포르토마린 210
사리아Sarria - 포르토마린Portomarin 22.9km
29일차 | 곳간에서 인심 나는 팔라스 데 레이 가는 길 216
포르토마린Portomarin - 팔라스 데? 레이Palas de Rei 26.1km
30일차 | 라면 스프 한 개의 기적 221
팔라스 데? 레이Palas de Rei - 아르수아Arzua 28.8km
31일차 | 환희와 아쉬움이 교차하는 도착 전날 228
아르수아Arzua - 오 페드로우소O Pedrouzo 19.2km
32일차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 도착하다 232
오 페드로우소O Pedrouzo -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 19.6km
33일차 | 0.0km 지구의 끝에 서다 239
에필로그 - 보이지 않는 길까지 걷게 한 산티아고 순례길 244
Author
김인순
오랫동안 여성인권 현장에서 모든 폭력으로부터 여성의 인권을 보호하고, 여성의 복지증진을 위해 상담 활동가, 사회복지사로 활동해 왔다. 고된 여성폭력 피해 지원 현장에서도 피해자들과 눈높이를 맞추며 공감하고 소통하면서 그들이 다시 세상에 나올 수 있는 위로와 지원을 아끼지 않는 활동가였다.
쭉 뻗은 아스팔트 길만 같았던 삶에도 힘겹고 외로운 시간이 찾아왔다. 지극한 위로가 필요했고, 곪은 상처가 아물 시간이 절실할 때 산티아고 순례길을 떠났다. 막막한 심정으로 발을 내디딘 그 길은 힘들었지만 따듯했다. 오래 걸어 물집 잡히고 곪은 발뒤꿈치의 상처를 닦아내며 마음의 상처도 닦아내는 시간이 되었다.
오랫동안 여성인권 현장에서 모든 폭력으로부터 여성의 인권을 보호하고, 여성의 복지증진을 위해 상담 활동가, 사회복지사로 활동해 왔다. 고된 여성폭력 피해 지원 현장에서도 피해자들과 눈높이를 맞추며 공감하고 소통하면서 그들이 다시 세상에 나올 수 있는 위로와 지원을 아끼지 않는 활동가였다.
쭉 뻗은 아스팔트 길만 같았던 삶에도 힘겹고 외로운 시간이 찾아왔다. 지극한 위로가 필요했고, 곪은 상처가 아물 시간이 절실할 때 산티아고 순례길을 떠났다. 막막한 심정으로 발을 내디딘 그 길은 힘들었지만 따듯했다. 오래 걸어 물집 잡히고 곪은 발뒤꿈치의 상처를 닦아내며 마음의 상처도 닦아내는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