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 교육론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28.35
SKU
97911674287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4/24 - Wed 04/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1 - Wed 04/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2/02
Pages/Weight/Size 176*248*17mm
ISBN 9791167428776
Categories 대학교재 > 사범대 계열
Description
『화법 교육론』은 대학 학부 과정에서 국어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화법 교육 교재이다. 화법 교육을 가르치는 분들뿐만 아니라 대학원 과정이나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 있는 학생들도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수준을 맞추었다. 2010년 초판이 나오고 14년이 흘렀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2015를 거쳐 2022가 고시되었다. 이러한 시대 변화에 맞추어 화법교육론의 새 판을 준비하였다. 이 책에 담긴 내용이 의사소통 환경의 발전 속에서도 사람과 사람의 마음을 이어 삶을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이러한 가치를 중시하여 화법 교육을 준비하고 실천하는 전국의 선생님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이와 더불어 이론을 바탕으로 화법 현상을 검증하는 학자들에게도 이 책에 실린 내용이 연구를 통해 기존의 내용을 보완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제1장 화법의 본질

1_화법의 특성
2_화법의 성격
3_화법의 유형
4_화법의 요소

제2장 수용과 생산 과정으로서의 화법

1_의미 수용 과정으로서의 듣기
2_의미 생산 과정으로서의 말하기
3_비언어적 의사소통

제3장 사회적 상호 작용

1_참여자 인식
2_대인 관계의 형성과 발전

제4장 의사소통 점검과 조정

1_의사소통 점검의 필요성
2_담화 구조와 전개 과정 점검

제5장 화법의 정의적 요인과 의사소통 윤리

1_정의적 요인과 듣기·말하기 태도
2_말하기 효능감
3_말하기 불안
4_대화 성찰 태도
5_다문화 시대의 의사소통 윤리

제6장 화법 교수·학습과 평가

1_교수·학습 방법
2_평가

제7장 대화 교육

1_대화의 특성
2_대화의 원리

제8장 면접 교육

1_면접의 개념과 중요성
2_면접에 대한 관점
3_면접 질문의 유형과 특성
4_효과적인 면접 답변 전략

제9장 토의 교육

1_토의의 성격과 토의 교육의 목표
2_토의의 유형과 절차
3_토의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

제10장 토론 교육

1_토론의 성격
2_토론의 논제와 쟁점
3_토론의 단계별 전략

제11장 협상 교육

1_협상의 개념과 성격
2_협상의 유형과 특징
3_협상 단계와 협상 전략

제12장 발표 교육

1_발표의 내용 구성
2_표현과 전달 방법
3_매체 자료 활용
4_청중과 상호작용

제13장 연설 교육

1_연설의 특성
2_연설 준비 과정과 절차
3_연설의 실행 과정
4_연설의 표현 및 전달 방법

제14장 스토리텔링 교육

1_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힘
2_효과적으로 이야기하는 방법
3_뛰어난 이야기꾼(스토리텔러)의 조건
4_학교에서 이야기하기 교육
5_실제 이야기꾼 되어보기
Author
이창덕,임칠성,심영택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질문행위의 언어적 행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국어교육 영역에서 화법(듣기, 말하기) 교육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삶과 화법』, 『화법교육론』,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등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대화분석과 국어교육’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대화와인간관계 개선의 길,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한글운동단체 ‘외솔회’ 회장을 맡아 바른 우리말 쓰기 운동에도 힘을 쏟고 있다.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질문행위의 언어적 행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국어교육 영역에서 화법(듣기, 말하기) 교육 연구와 교육을 해 왔다. 『삶과 화법』, 『화법교육론』,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등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대화분석과 국어교육’ 등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대화와인간관계 개선의 길,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한글운동단체 ‘외솔회’ 회장을 맡아 바른 우리말 쓰기 운동에도 힘을 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