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를 팬데믹(Pandemic)으로 공식 선포하였다. 만 2년 만에 WHO 사무총장은 “팬데믹의 끝이 보인다”라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발표했다. 이후 사회 곳곳에서 팬데믹에 대한 공포와 절망 대신, 일상 회복을 위한 기대감과 희망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마냥 팬데믹 종식에 따른 낙관적인 전망만을 다룰 수가 없다. 그 사이 전염병이 끼쳤던 영향은 실로 간단하지 않았으며 팬데믹 상황은 한국 사회의 민낯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위기 앞에 단결된 시민 의식을 보여주며 빠르게 안정을 모색했지만, 이 과정에서 집단 간 갈등과 대립, 그로 인한 공동체 균열이 심상치 않았다. 특히 사회적 약자를 둘러싼 부조리한 환경과 불평등의 심화, 공적 책무 의식을 찾아보기 어려운 일부 지도층의 모습 등은 공동체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신뢰를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개인의 의식에는 어느 순간부터 ‘각자도생(各自圖生)’이라는 체념적·분노적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다. 다시 팬데믹이 돌아온다면 공동체의 연대를 도모하기보다, 각자의 생존 배낭에 몸을 맡겨야 한다는 생각이 짙어지고 있다. 연대 의식의 부재는 인간이 어렵게 지켜온 선한 심성을 왜곡시키고 종국에는 인류의 자멸로 이어질 수 있음을 오랜 역사적 경험을 통해 알고 있지만,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다. 시장자본주의 체제를 둘러싼 불확실한 담론만 떠들어대는 상황은 인간의 자율적 판단과 선한 의지를 나약하게 만들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이제 인간으로서의 윤리적·사회적 도의와 책무에 대해 논의하는 담론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역병의 원인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1. 권근, 유교식 인정(仁政)으로 무사귀인을 위로하라
2. 이언적, 군주의 성학(聖}學)으로 하늘을 감응시켜라
3. 이익, 무식(無識)한 태도는 어리석을 뿐
제2부 역병도 이겨내는 효심, 지극한 효의 실천
1. 정여창, 전염병도 막지 못한 효심
2. 오희문, 자잘하고 자잘한 유리(流離)하는 자의 노모 부양
3. 성혼, 너는 고기를 먹어 생명을 온전히 하라
제3부 역병에도 포기할 수 없는 공부, 그 도전과 과정
1. 권상일, 미역자(未疫者) 수험생의 처신
2. 류의목, 통과의례 속 어른으로의 입문
3. 최흥원, 혼란 속 효·제를 가르치다
제4부 관료 지식인, 백성을 적극 구휼하다
1. 김계휘, 머리와 수염이 하얗게 변했던 까닭
2. 김육, 제인(濟人)의 마음으로 전염병 상황을 구제하다
3. 박제가, 관념을 버리고 실리를 추구하다
제5부 역질, 유학의 초심으로 돌아가라
1. 정약용, 청렴하지 않은 정치에 대한 비판
2. 홍길주, 비영리 복지를 꿈꾸다
맺음말
참고문헌
Author
송수진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연구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교직 과목을 강의해왔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한국연구재단 과제(조선시대 ‘부형(父兄)’의 교육적 책무와 권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교사의 권위에 대한 역사적 전개와 전망』(공저),『교육사 교육철학 입문』(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The context of Songdok: Two purposes of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조선 전기 부형(父兄)의 위상과 교육적 책무」, 「조선 전기 태조-중종대 ‘존사(尊師)’: 유교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한국 전통 교육에서 ‘학우(學友)’ 개념 검토: 유가(儒家) 교유관을 중심으로」, 「늙음의 교육적 성찰:『논어』를 중심으로」, 「최남선의『산수격몽요결』 검토: 입지(立志)가 아닌 입지전(立志傳)을 위한 공부」 등이 있다.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연구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교직 과목을 강의해왔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한국연구재단 과제(조선시대 ‘부형(父兄)’의 교육적 책무와 권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교사의 권위에 대한 역사적 전개와 전망』(공저),『교육사 교육철학 입문』(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The context of Songdok: Two purposes of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조선 전기 부형(父兄)의 위상과 교육적 책무」, 「조선 전기 태조-중종대 ‘존사(尊師)’: 유교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한국 전통 교육에서 ‘학우(學友)’ 개념 검토: 유가(儒家) 교유관을 중심으로」, 「늙음의 교육적 성찰:『논어』를 중심으로」, 「최남선의『산수격몽요결』 검토: 입지(立志)가 아닌 입지전(立志傳)을 위한 공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