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말서법을 대조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말서법은 한국어에서 문장종결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중국어에서 구말어기라고 부른다. 한국어의 습관에 따라 이 책에서 중국어 구말어기를 문말어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모두 문말서법을 수행하는 체계화된 문법 형식이 존재한다. 한국어의 경우 문장종결형이 그것이고 중국어의 경우 문말 어기조사가 그것이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이 책은 한·중 문법서법을 한·중 문말서법(1)과 한·중 문말서법(2)로 나누어 서로의 대응 체계를 규정하기로 한다. 한·중 문말서법(1)은 화자가 명제 내용을 [+상태]의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를 말하고 한·중 문말서법(2)는 화자가 명제 내용을 [+행동]의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다음으로 한·중 문말서법의 형태·통사적 대조를 진행한다. 형태적 대조에서 한·중 문말서법의 실현요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형태적 특성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말서법을 수행할 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가 받게 되는 형태적 제약,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형태적 분류와 형태적 교체를 대조한다. 통사적 대조에서 한·중 문말서법의 통사적 대조 특성을 살펴본다. 즉,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는 문말서법을 수행할 때 통사적으로 받게 되는 제약을 서술하고 그들의 통사적 기능과 통사 구조상의 위상을 밝혀낸다.
그리고 한·중 문말서법은 화용양태와 상호작용하는 관계를 규정하고 한·중 문말서법(1)과 한·중 문말서법(2) 각각의 화용양태와 실현요소의 특성을 대조해 본다. 한·중 문말서법(1)에는 설명법·진술어기, 감탄법·감탄어기, 의문법·의문어기가 있고 한·중 문말서법(2)에는 약속법·진술어기, 허락법·진술어기, 경계법·진술어기, 명령법·기사어기 그리고 공동법·기사어기가 있다. 이 부분에서 한·중 문말서법이 실현하는 화용양태를 설명하고 실현요소인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대응 양상을 대조해 본다.
한마디로, 이 책은 한·중 문말서법의 대응 체계를 규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중 문말서법과 화용양태가 상호작용하면서 실현요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가 가지는 개별적인 화용양태를 검토해 본다. 이러한 대조 연구가 한국어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들어가기
1.1. 한 · 중 문말서법 연구의 목적
1.2. 대상 및 방법
1.3. 선행 연구
1.4. 논의 구성
제2장 이론적 배경
2.1. 한 · 중 문말서법의 개념과 체계
2.1.1. 한 · 중 문말서법의 개념
2.1.2. 한 · 중 문말서법의 체계
2.2. 문말서법과 양태 및 화용양태
2.2.1. 문말서법과 양태
2.2.2. 문말서법과 화용양태
2.3. 한 · 중 문말서법의 활용 조건
2.3.1. 형태 · 통사적 조건
2.3.2. 담화적 조건
2.3.3. 억양 조건
제3장 한 · 중 문말서법의 형태 · 통사적 대조
3.1. 한 · 중 문말서법의 형태적 대조
3.1.1. 형태적 제약
3.1.2. 형태적 분류
3.1.3. 형태적 교체
3.2. 한 · 중 문말서법의 통사적 대조
3.2.1. 통사적 제약
3.2.2. 통사적 기능
3.2.3. 통사 구조상의 위상
제4장 한 · 중 문말서법(1)의 의미 · 화용적 대조
4.1. 한 · 중 문말서법(1)의 의미 및 특성
4.2. 설명법과 진술어기
4.2.1. 설명법 · 진술어기의 의미
4.2.2. 설명법 · 진술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4.2.3. 설명법 · 진술어기의 화용양태
4.2.4. 소결
4.3. 감탄법과 감탄어기
4.3.1. 감탄법 · 감탄어기의 의미
4.3.2. 감탄법 · 감탄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4.3.3. 감탄법 · 감탄어기의 화용양태
4.3.4. 소결
6.1. 한 · 중 문말서법의 형태 · 통사적 대조 특성
6.2. 한 · 중 문말서법의 화용양태와 실현요소 대조 특성
6.3. 남은 문제
Author
오옥교
중국 산동사범대학교(山??范大?, Shandong Normal University) 한국어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 전북대학교(全北大?校, Jeonbuk National University)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북경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한국어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어 문장종결형 ‘-지’와 중국어 어기조사 ‘?(ba)’에 대한 의미화용적 기능 비교 연구?, ?한·중 인칭접미사 소고: ‘-가(家)와 ‘-家(ji?/jia)’를 중심으로?,?中?人?后??比?究:以?根的形??特征?中心?,?日本操弄下的朝?半?近代中、日形象建?: 以朝?半?首?近代?????城旬????中心? 등이 있다.
중국 산동사범대학교(山??范大?, Shandong Normal University) 한국어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 전북대학교(全北大?校, Jeonbuk National University)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북경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한국어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어 문장종결형 ‘-지’와 중국어 어기조사 ‘?(ba)’에 대한 의미화용적 기능 비교 연구?, ?한·중 인칭접미사 소고: ‘-가(家)와 ‘-家(ji?/jia)’를 중심으로?,?中?人?后??比?究:以?根的形??特征?中心?,?日本操弄下的朝?半?近代中、日形象建?: 以朝?半?首?近代?????城旬????中心?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