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 안내하기

초·중등(3-8학년) 독해 안내 모형
$36.23
SKU
979116742544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12/12 - Wed 12/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Wed 12/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9/20
Pages/Weight/Size 188*257*18mm
ISBN 9791167425447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이 책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국어과 읽기 시간에 독해(reading comprehension)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번역하였다. 원서는 Maureen McLaughlin 교수와 Mary Beth Allen 교수가 공저한 Guided comprehension: A teaching model for Grades 3-8 이었고, 2002년에 국제독서협회(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교수학습론 분야에 속한 책으로 여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수업을 할 때 교사가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고 실행하면 좋을지를 그려내고 있다. 최근의 읽기 연구에서 강조하는 읽기 수업의 특징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읽는 방법을 학생들에 직접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의미 구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 학생의 수준에 맞는 텍스트는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지, 수업에서 읽기 평가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자신의 읽기 수업을 어떻게 성찰해야 하는지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서 ‘안내하기(Guiding)’는 ‘비계(Scaffolding)’를 뜻한다. 비계는 비고츠키의 사회구성주의 이론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오늘날 교수학습론에서 핵심 개념이 되었다. 각교과마다, 각영역마다 교수학습을 다루는 거의 모든 책에서는 교사가 그 과목이나 영역의 지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곧 비계에 해당한다. 이 책은 3?8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과 읽기 수업을 할 때 적합한 비계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들은 읽기의 비계 활동뿐만 아니라 읽기 수업의 모형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읽기 능력을 길러주는 비계 활동을 종합한 후, 이들을 [독해 안내 모형](Guided Comprehension Model)으로 통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모형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되는데 교사 주도 전체 집단 지도 단계,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는 소집단 활동 단계, 교사 주도 전체 집단 성찰 단계로 구성된다. 두 번째 단계는 다시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사 안내 소집단 지도, 학생 주도 독해 루틴, 학생 주도 독해 센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 책에서는 읽기 수업에 참여하는 교사와 학생의 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다. 주도성은 OECD의 교육2030(Education 2030)에서 도입된 개념이다. OECD는 불확실한 미래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으로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y)’을 강조하였고, 이를 교수학습 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의 ‘행위자 주도성(agency)’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 책에서는 읽기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수업의 각 단계에서 협력적 행위자 주도성을 발휘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해 안내 모형]을 설계하고 있다.

정리하면, 이 책에서 설명하는 읽기 교수학습의 내용, 방법, 배경 철학은 모두 현대의 읽기 이론과 잘 연결되고 있다. 이 책에서 중시하는 안내하기, 비계, 읽기 전략, 직접 교수법, 독자와 텍스트 매칭, 행위자 주도성, 학습 집단 운영(전체 집단 → 소집단 → 전체 집단), 비형식적 평가 등은 현대의 읽기 수업을 설명하는 사회적 구성주의, 인지적 구성주의, 소집단 협동학습, 초인지, 변혁적 역량 등이 이론에서 강조하는 개념이다. 뿐만아니라 이 책은 그러한 개념을 추상적 수준에서 설명하는데 그치지 않고, 현장의 교사가 구체적으로 따라 할 수 있도록 학습지, 평가 도구, 수업모형, 지도안 등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이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국어 시간에 읽기를 지도하는 현장의 교사들, 교원양성대학에서 공부하는 예비교사들에게 읽기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읽기 수업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오늘날 독서 지도는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 지역아동센터, 독서교육센터, 도서관, 종교기관, 학원 등 학교 밖에서도 진행된다. 이 책이 사회교육 기관의 독서교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장. [독해 안내하기]의 개념과 원리

1. [독해 안내하기]의 개념
2. 독해에 대한 원리
1) 독해는 사회구성적 과정이다
2) 균형적 문식성은 독해를 교육하는 틀이다
3) 유능한 읽기 교사는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준다
4) 능숙한 독자는 전략적이며, 읽기 과정에서 능동적 역할을 한다
5) 읽기는 유의미한 맥락에서 일어나야 한다
6) 학생은 다양한 수준의 다양한 텍스트와 교섭하는 것이 좋다
7) 어휘 발달과 지도는 독해에 영향을 준다
8) 몰입은 독해 과정에서 핵심 요인이다
9) 독해 전략과 기능은 가르칠 수 있다
10) 역동적 평가는 독해 지도에 정보를 제공한다

2장. 단계1: 교사 주도 전체집단 지도

1. 단계 1을 조직하기
2. 직접교수법에 참여하기
1) 직접교수법의 단계
2) 독해 전략: 지도(指導)의 초점
3. 독해 루틴
1) 작가에게 질문하기
2) 상보적 교수법
3) 독서 서클

3장. 단계2: 교사 안내 소집단과 학생 주도 독립적 실천

1. 단계 2를 조직하기
2. 교사 안내 소집단 지도
1) 전략 회상하기
2) 학생을 안내하기
3) 실천하기
4) 성찰하기 및 확장하기
3. 학생 주도 독해 센터
1) 학생의 책무성
2) 독해 센터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
4. 학생 주도 독해 루틴
1) 작가에게 질문하기
2) 상보적 교수법
3) 독서 서클

4장. 단계3: 교사 주도 전체집단 성찰과 목표 설정

1. 단계 3을 조직하기
2. [독해 안내 모형]에서 성찰과 목표 설정
1) 구성 요소를 다양화한다
2) 프롬프트를 제공한다

5장. 수준별 텍스트

1. 학생의 읽기 수준과 접근가능한 텍스트
2. 접근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독자 요인
2) 텍스트 요인
3. 학생에게 적절한 텍스트 선정하기
1) 학생 정보
2) 텍스트 정보
4. 텍스트의 수준 구분 방법
1) 수준 구분 시스템
2) 교사의 판단
3) 기존의 수준별 도서 목록과 비교
4) 수준별 도서에 대한 출판 목록과 웹사이트
5. 교실에서 텍스트를 조직하기

6장. [독해 안내하기]에서 평가

1. [독해 안내하기]에서 평가의 다양한 역할
2. 주 수준 평가와의 연결
3. 교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평가 기법
1) 학생의 배경을 파악하는 평가 기법
2) 학생의 읽기 수준과 전략 사용을 평가하는 기법
4. 평가 결과 활용하기: 집단 편성과 학생-텍스트 짝짓기
5. [독해 안내 프로파일]

7장. [독해 안내하기]의 교실 적용

1. [독해 안내하기]의 교실 모습
2. [독해 안내하기]의 계획 (수업 지도안)
1) Beth 선생님의 4학년 [독해 안내하기] 계획 사례
2) Jacquelyn 선생님의 6학년 [독해 안내하기] 계획 사례
3) Richard 선생님의 8학년 [독해 안내하기] 계획 사례

8장. [독해 안내하기]에 관한 성찰

1. [독해 안내하기]에 대한 교사의 반응
1) Kim 선생님의 성찰
2) 다른 교사의 반응
2. [독해 안내하기]에 대한 학생의 반응
3. 우리 저자들의 성찰
4. 마무리

부록 A 지도 아이디어(기법)와 활동 자료
부록 B 독해 센터와 루틴의 조직 · 운영을 위한 학습지 양식
부록 C 독서 반응 프롬프트(질문과 지시)
부록 D 수준별 책 자료
부록 E 평가 양식
부록 F [독해 안내하기] 수업 지도안 사례

REFERENCES
Author
모린 맥러플린(Maureen McLaughlin),메리 베스 앨런(Mary Beth Allen),조용구,고원,천경록
East Stroudsbu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교수
East Stroudsbu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