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국가란 무엇인지, 폭력이란 무엇인지, 국가와 폭력은 왜 연관될 수밖에 없는지, 국가폭력에 무방비하게 놓이거나 대응하는 공동체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밝히지 않을 이유가 없다. 『국가폭력과 공동체』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1부는 국가와 폭력의 연관을 철학적 관점을 통해 다루는 글로 앞의 세 편이 여기 속한다. 2부는 국가폭력에 대한 공동체의 대응을 문학적 차원에서 살피는 글로 뒤의 네 편이 여기 속한다.
본 재난인문학 연구총서 『국가폭력과 공동체』는 이와 같은 다양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철학과 문학을 공부한 연구자들이 고민하여 모은 결과물이다. 국가의 존재 방식과 폭력의 연관, 폭력의 형태와 공동체의 대응에 대한 연구는 국가폭력과 공동체의 연관에 대한 집중적인 탐구가 될 것이다.
Contents
제1부 국가폭력에 대한 철학적 성찰
국가의 탄생과 폭력
1. 국가는 어디에?
2. 국가주의 국가론:홉스
3. 자유주의 국가론:로크
4. 시민을 위한 국가를 꿈꾸며
국가폭력과 정치적 책임?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국가폭력과 국가권력
3. 국가폭력의 가해자 연구
4. ‘근본악’과 ‘악의 평범성’ 사이에서
5. 국가폭력의 정치적 책임
6. 끝나지 않은 국가폭력의 ‘기억투쟁’
폭력의 다양한 성격들
1. 들어가며
2. 폭력의 계보학
3. 폭력의 정치적 성격:적과 친구를 구별하기
4. 폭력의 심리적 성격:내면화된 타자와 나
5. 폭력의 사회적 성격:정상/비정상을 구별하기
6. 폭력의 경제적 성격:신자유주의 시대의 성과 주체
7. 폭력의 친밀한 성격:가스라이팅, 길들이기의 효과
8. 폭력의 책임적 성격:타자의 얼굴에 대한 책임
제2부 국가폭력과 공동체에 대한 문학적 성찰
국가폭력의 기원과 문학의 공동체에 관해?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의 몇몇 소설을 중심으로
1. 문학을 통한 국가폭력 연구의 가능성?
2. 해방 직후 내셔널리즘의 부상과 폭력의 정당화
3. 마을의 계급투쟁과 신생국가의 상징폭력
4. 삼중의 미메시스, 하나여야 하는 국가
5. 결론을 대신하여:문학의 공동체에 대해
사랑 사용법?오월, 당신의 기억을 필사하려면
1. “환시(幻視)를 보듯이”
2. 공간과 기억
3. 폭력과 일상:행정문서/마을공동체
4. 평범한 삶, 숭고한 역사
5. 되살려내야 할 기록들
6. “쓸쓸한 밤눈들”
임철우 『봄날』에 나타난 5월 공수부대 폭력의 감정적 원리 연구
1. 들어가며
2. 공수부대 폭력의 감정적 원리
3. 나가며
도래할 혁명을 위한 시학으로서의 4?3?김석범의 『화산도』(2015)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이름이 없는 사건을 ‘재현’한다는 것
2. 『화산도』가 4?3에 관해 이야기하는 방식
3. 혁명의 방법으로서의 대화
4. 카니발적 형상으로서의 『화산도』의 혁명
5. 나가며:미완의 혁명, 이제 우리들의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