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란 논리학에서는 주사와 빈사를 연결하여 긍정이나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말을 일컫는다. 한국어의 경우에는 ‘이다’가 계사에 속하고 중국어의 경우에는 ‘是’가 계사에 속한다. 현재까지 한국어 ‘이다’와 중국어 ‘是’의 품사 설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이다’의 경우에는 크게 독립 품사설과 비독립 품사설로 나눌 수 있고 중국어 ‘是’의 경우에는 계사, 동사/판단동사, 부사설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품사 설정에 논의의 중점을 두지 않고 한국어 ‘이다’와 중국어 ‘是’의 구문유형, 통사적 특징 및 의미적 특징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의미지도이론은 언어유형론 즉 의미유형론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 ‘이다’ 구문과 중국어 ‘是’ 구문의 의미적 특징에 따라 의미지도를 그려내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더욱 직관적으로 그려내었다. 한국어 ‘의존명사+이다’ 구문과 중국어 ‘是……的’ 구문에 있어서는 이들의 양태적 의미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의존명사+이다’ 구문에서 의존명사의 자리에는 명사가 직접 오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명사와 의존명사의 기능을 병행하는 단어, 의존명사의 기능만 하는 단어들도 있다. 이 부분에서는 문법화이론에 근거하여 이들의 문법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Contents
서론
1. 연구대상 및 연구내용
2. 선행연구
2.1. 한국어 ‘이다’의 연구 분야
2.2. 중국어 ‘是’의 연구 분야
2.3. 한중 대조 연구 분야
2.4. 선행연구의 공헌 및 한계점
3. 언어자료
중국 길림성 영길현 출생이며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초등학교교육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중국 상해외국어대학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상해공정기술대학교 국제 창의 디자인학원(上海工程技?大????????院)에서 전임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응용연구」, 「한국어 ‘것이다’와 중국어 ‘是……的’의 대조연구」, 「중국 한국어 쓰기 교재의 연습문제 유형 분석」 등이 있다.
중국 길림성 영길현 출생이며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초등학교교육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중국 상해외국어대학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상해공정기술대학교 국제 창의 디자인학원(上海工程技?大????????院)에서 전임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응용연구」, 「한국어 ‘것이다’와 중국어 ‘是……的’의 대조연구」, 「중국 한국어 쓰기 교재의 연습문제 유형 분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