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근대문학과 매체

$47.09
SKU
979116742408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31
Pages/Weight/Size 153*225*35mm
ISBN 9791167424082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대구경북 근대문학과 매체

근대문학은 신문, 잡지, 동인지, 작품집 같은 출판매체를 만나면서 그 구체적 형상을 드러내 보였다. 읽고 보는 것이 중심인 출판매체는 특정 장소나 공간을 넘어 유포됨으로써 공론장의 여론을 형성하는 중요 기능을 한다. 근대가 시작되면서 대구·경북에서도 많은 매체들이 생산되었다. 이 매체들은 지역 근대문학을 이루는 주요 인자(因子)가 된다. 이 책의 제목을 ‘대구경북 근대문학과 매체’라 하였다. 이는 넓게 보면 지역문학 연구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장소는 대구·경북 지역이고, 시간은 근대계몽기부터 1960년 전후이다. ‘근·현대 문학’이란 제명(題名)도 생각해 보았으나, 이 시기에 산출된 매체가 문학의 자율성과 양식 실험을 시도한 근대문학의 산물이라 보고 제목은 처음 그대로 두었다. 이 책에서 필자는 근대계몽기부터 1960년대 초까지 대구·경북 지역의 문학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되 시기별 문학 장이 가진 특성을 드러내 보이고자 노력하였다. 그 중심 잣대는 대구·경북이란 공간과 장소 속에서 물질적으로 현현(顯現)되었던 매체와 그 생산 주체였던 작가들의 정신적 자취였다.
Contents
제1부 출판매체와 로컬리티

제1장 지역·문학·매체

제2장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로컬리티
1_들어가는 말
2_대구·경북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
3_대구·경북 지역문학의 로컬리티와 연구 방향
4_맺음말

제3장 지역 근대문학 매체의 장정과 변모
1_들어가는 말
2_지역 화가들과 장정
3_시기별 장정의 모습과 특성
4_맺음말

제2부 대구·경북 근대문학 탄생의 배경

제1장 재전당서포와 광문사의 출판활동
1_들어가는 말
2_상업적 영리 지향과 방각본 출판: 재전당서포
3_근대지식의 보급과 애국계몽 출판: 광문사
4_맺음말

제2장 대구의 문학 장(場) 형성과 우현서루
1_들어가는 말
2_우현서루(友弦書樓)의 설립 동기와 과정
3_우현서루 소장도서와 근대지식의 보급
4_출판사 광문사와의 연계
5_맺음말

제3부 지역 근대문학을 주도하는 매체들

제1장 『거화』와 동인들의 활동
1_동인 작문집 『거화』의 기억
2_『거화』 그룹의 행방

제2장 지역 3·1운동의 참여와 기억의 매체
1_들어가는 말
2_3·1운동과 개인 주체의 등장
3_대구지역 3·1운동의 전개와 학생들의 역할
4_학생 문인들의 3·1운동 참여와 그 기억
5_맺음말

제3장 서간(書簡)을 통해 본 이상화 문학의 장소성
1_들어가는 말
2_이상화 문학의 형성 기반과 장소성
3_이상화 시에 나타난 동경(東京)과 대구
4_맺음말

제4장 1920~1930년대 지역의 문학매체
1_들어가는 말
2_1920년대 문학매체: 『여명』
3_1930년대 문학매체: 『동성』과 『문원』
4_무영당서점과 학교에서 나온 등사판 책들
5_맺음말

제4부 해방의 기쁨과 흥기하는 매체들

제1장 해방 직후 지역 출판계의 동향과 문학매체
1_해방 직후 지역 출판계의 동향
2_종합지, 동인지, 그리고 『아동』, 『새싹』

제2장 지역의 시문학 매체와 학생시단의 형성
1_들어가는 말
2_해방기 대구·경북 지역 시문학 매체
3_『새벽』과 학생시단의 형성
4_맺음말

제3장 황윤섭의 매체활동과 아동·학생문단의 진작
1_들어가는 말
2_문학적 출발기와 시 창작
3_해방과 아동·학생문단 주도
4_맺음말

제4장 시 동인지 『죽순』의 위상과 매체 전략
1_들어가는 말
2_죽순시인구락부와 『죽순』의 탄생
3_『죽순』의 입지(立地)와 매체 전략
4_『죽순』 이후, 그리고 『전선시첩』
5_맺음말

제5부 전선매체의 등장과 지역문학 공간의 구축

제1장 한국전쟁과 전시판 문학매체
1_들어가는 말
2_6·25 전후의 문학 매체와 ‘전시판’의 구성
3_‘전시판’ 문학매체로의 이동 양상
4_『전선시첩』, 숭고의 시선과 국가주의 전략
5_맺음말

제2장 1950~1960년대 초 대구의 문학공간 형성과 출판매체
1_들어가는 말
2_한국전쟁기 출판매체와 전시담론의 생성
3_한국전쟁 이후 출판매체와 문학공간의 진작
4_딱지본과 대중 독물(讀物)의 유통
5_맺음말

제3장 전후(戰後)의 아동문학매체와 대구아동문학회
1_전후 아동문학 매체의 전사(前史)
2_대구아동문학회의 결성과 매체의 발간

[부(附)] 고령문학의 장소성과 매체
Author
박용찬
경북 경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최근 매체, 정전, 지역문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해방기 시의 현실인식과 논리』, 『한국 현대시의 정전과 매체』, 『문학교육개론』(공저),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연구」,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특징 연구」, 「이상화 문학과 장소성의 문제」 등이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경북 경주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최근 매체, 정전, 지역문학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해방기 시의 현실인식과 논리』, 『한국 현대시의 정전과 매체』, 『문학교육개론』(공저),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연구」, 「이육사 시의 정전화 과정과 특징 연구」, 「이상화 문학과 장소성의 문제」 등이 있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