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중국의 이해

$28.35
SKU
97911674240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8/26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6742402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저자는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현대인의 상식이나 과학적 지식에 기반했을 때 중국 고문헌에 등장하는 내용 가운데 상당 부분은 신빙성이 없지만, 중요한 것은 그 속에 담겨 있는 고대 중국인들의 사유체계를 이해하고, 어떠한 논리적 인과관계가 숨어 있는지를 간파해 내는 것’이라는 말을 되풀이해서 강조하곤 한다. 왜냐하면 실제로 고대 중국인들의 서술 가운데 사실에 반하는, 다시 말해서 상상력에 의한 창작물들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상식적이고 과학적인 사실 여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핵심적인 것은 그들의 사유체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비록 여러 고문헌에서 단편적이고 산재된 기록들을 발췌하고 종합하여 기술한 데다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견해에 근거한 것이기에 체례가 산만하고 논거가 미약할 수 있지만, 중국의 고전을 읽거나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중국 관련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여러 정보들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적잖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이 책에서 기재한 원문들 가운데는 원전이 아니라 타 문헌에서 인용된 것을 다시 재인용한 것들이 있는데, 문맥을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으면 일일이 원전과의 대조 작업을 거치지 않았다는 점을 밝힌다
Contents
서문
참고문헌
목차

제1장 고대 중국의 정치

제1절 황제皇帝
1. 성군과 폭군으로 명명된 역대 황제들
2. 도읍의 건설과 천도遷都
3. 연호年號의 제정과 개정
4. 황제의 혈족

제2절 황후皇后와 후궁後宮
1. 황후
2. 삼비三妃
3. 구빈九嬪과 기타 후궁
4. 외척外戚

제3절 태자궁太子宮의 관제官制
1. 태자삼사太子三師와 태자삼소太子三少
2. 태자궁의 관제

제4절 중앙관제
1. 삼공三公
2. 문하성門下省
3. 중서성中書省
4. 상서성尙書省
1) 이부吏部
2) 호부戶部
3) 예부禮部
4) 병부兵部
5) 형부刑部
6) 공부工部
5. 구시九寺
6. 기타 주요 기관 및 관제

제5절 지방관제
1. 사신使臣
2. 자사刺史와 태수太守
3. 현령縣令

제6절 무관武官
1. 장군
2. 중국 역대의 명장들

제2장 고대 중국의 경제

제1절 농업
제2절 잠업
제3절 상업
제4절 수공업
제5절 세법

제3장 고대 중국의 사회

제1절 역사
제2절 지리
1. 오악五岳
1) 태산泰山
2) 형산衡山
3) 숭산崇山
4) 화산華山
5) 항산恒山
2. 사독四瀆
1) 황하黃河
2) 장강長江
3) 회수淮水
4) 제수濟水

제3절 명절
1. 설날
2. 인일人日
3. 정월대보름
4. 상사절上巳節
5. 한식寒食
6. 단오절端午節
7. 칠석七夕
8. 추석秋夕
9. 중양절重陽節
10. 납일臘日

제4절 풍습
1. 전족纏足
2. 폭죽爆竹

제5절 형벌

제6절 관혼상제冠婚喪祭
1. 관례冠禮
2. 혼례婚禮
3. 상례喪禮
4. 장례葬禮
5. 제례祭禮

제4장 고대 중국의 문화

제1절 학문
1. 문학
2. 사학
3. 철학
1) 유가
2) 도가
3) 묵가
4) 법가
5) 기타

제2절 중국 고대 도서 분류법

제3절 혈연과 성씨
1. 지명
2. 관작官爵
3. 직업
4. 별호
5. 피화避禍
6. 피휘避諱
7. 이국異國
8. 기타

제4절 고대 호칭과 별칭의 종류
1. 호칭
2. 별칭
1) 자字
2) 호號
3) 봉호封號
4) 시호諡號
5) 묘호廟號
6) 관호官號

제5절 음식
1. 술
2. 차茶
3. 고기
4. 죽粥
5. 국
6. 떡
7. 빙수氷水
8. 여지?枝
9. 감람橄欖

제6절 교육 제도

제5장 고대 중국의 예술

제1절 음악

제2절 회화

제3절 서예
1. 해서楷書
2. 초서草書
3. 비백飛白

제4절 잡기
1. 활쏘기
2. 투호投壺
3. 바둑
4. 박새博塞 4
5. 기타

제6장 고대 중국의 종교

제1절 유교

제2절 불교

제3절 도교

제7장 고대 중국의 과학

제1절 천문학
1. 천문 현상
2.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3, 별자리
1) 해의 별칭 삼족오三足烏
2) 일식日蝕과 월식月蝕
3) 오성五星
4) 은하수銀河水

제2절 고대 중국인의 자연관
1. 바람
2. 구름
3. 비
4. 서리
5. 이슬
6. 안개
7. 우레
8. 번개
9. 무지개

제3절 수학

제4절 과학기술

제8장 고대 중국의 생물학

제1절 상상의 동물
1. 용龍
2. 봉황鳳凰
3. 기린麒麟
4. 해태??
5. 구미호九尾狐

제2절 실존 동물
1. 호랑이
2. 여우
3. 코끼리
4. 학
5. 까치
6. 까마귀

제3절 상상의 식물
1. 주초朱草
2. 부상扶桑
3. 영지靈芝

제4절 실존 식물
1. 매화梅花
2. 난초蘭草
3. 국화菊花
4. 대나무
5. 해당화海棠花
6. 경화瓊花
7. 모란牡丹
8. 계수나무
9. 복사꽃
Author
김만원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햇다.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사령운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두보 초기시 역해』(솔출판사, 공저), 『두보 지덕연간시 역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위관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가 있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햇다.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사령운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두보 초기시 역해』(솔출판사, 공저), 『두보 지덕연간시 역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위관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진주동곡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부, 공저), 『두보 재주낭주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고체시 명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2차성도시기시 역해』(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