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번역·출판이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한국현대문학은 중국에서 바람직한 수용을 이룩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현대문학을 전공하여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필자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지켜보면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중국에서의 한국 문학 번역·소개 및 수용의 궤적 및 맥락을 재정리하고 그 과정 속에 보여지는 문제점 및 교훈을 찾아내 향후의 새로운 발전에 힘을 보태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국가간 교류는 국민간의 친숙함에 달려 있고 국민간의 친숙함은 마음 소통에 달려있다”는 말처럼 한국문학이 중국에서 보다 더 잘 수용되어야 비로소 중국 국민들이 한국을 더 잘 알게 되고 한국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될 것이며 양국이 보다 건전하고 활발히 교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이러한 취지 아래 앞선 연구자들이 열어 놓은 방향성을 토대로 삼아 미처 채워 넣지 못한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이 주제의 발전에 일조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기존의 한국문학 중국어 번역 및 출판을 문학번역의 연구 영역으로만 간주하는 연구 시각에서 벗어나 한국문학의 중국어 번역 및 출판을 다문화 교류의 시각으로 보는 셰톈전(謝天振) 교수의 번역소개학 이론을 동원하여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의 역자, 지원자, 출판 유통 및 수용에 대한 정리를 토대로 지금까지의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소개 모델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Contents
제1부
중국에서의 한국현대문학 수용양상 연구
1서론
2한국 현대문학의 중국어 번역 역자 및 역자 모델
3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3.1. 수교 전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3.2. 수교 초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3.3.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어 번역·소개루트 및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소설의 수용 양상
제2부
한국 현대소설의 중국 유입이 중국 사회에 끼친 영향
1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사 검토
1.3 연구대상 및 방법
2조선족문학지에 나타난 한국문학의 전래 양상
2.1. 중국 조선족문학의 정의 및 그의 성격
2.2 한국문학의 영향을 받게 된 원인
2.3 한국 문학작품의 전래
2.4 전래 양상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문단의 한국 문학 수용 양상
3조선족 작품에 나타난 한국 문학의 영향
3.1 이순원의 『말을 찾아서』와 최국철의 『여우 보러 가자』
3.2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와 조성희의 『부적』
3.3 이상의 『날개』와 리동렬의 『그림자 사냥』
4리태복의 성장역정과 그의 문학수신
4.1 리태복의 성장역정과 그의 문학수신
4.2 리태복의 문학창작과 경향
4.3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 리태복의 『할빈, 1988년 여름』
5김혁의 문학창작과 한국 문학의 관련 양상
5.1 김혁의 체험과 그의 문학수신
5.2 김혁과 이상의 관련 양상
5.3 『천재죽이기』에 나타난 이상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