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의 재구성

$57.96
SKU
979116742224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2/15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91167422248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Contents
15___[導論] 共存의 알고리즘
1. 인공지능 시대와 알고리즘 · 15
2. 알고리즘으로 보는 한글의 삼분법과 종성 · 18
3. 새로운 지평을 위한 알고리즘:『신과 함께』의 경우 · 23
4. 數順과 隨順의 변증적 인식 · 30

Ⅰ. 일연과 삼국유사

37___德川家 장서목록에 나타난 『삼국유사』의 전승
1. 문제의 所在 · 37
2. 두 세트의 叢書 · 40
3. 尾張藩의 駿河御讓本과 蓬左文庫 · 44
4. 이른바 ‘禁中에 빌려드린 서적의 메모’에 대하여 · 48
5. 목록집에 보이는 『삼국유사』의 전승 경위 · 60
6. 德川本 『삼국유사』 전승의 의의 · 69
7. 마무리 · 75

77___權相老와 삼국유사
1. 머리에 · 77
2. 德川家의 『삼국유사』 · 79
3. 『삼국유사』 번역의 경위 · 81
4. 권상로 역 『삼국유사』의 出世 · 88
5. 국역본으로서 몇 가지 고려사항 · 93
6. 마무리 · 100

103___파괴와 복원의 변증 ―『삼국유사』와 13세기 고려의 문학적 再構
1. 머리말 · 103
2. 빈 것과 찬 것:변증적 알고리즘 · 104
3. 전쟁과 폐허 그리고 파괴의 13세기 · 111
4. 『삼국유사』에 반영된 시대적 비극 · 116
5. 불교적 의의의 구현을 통한 복원 · 127

133___13세기 歷史像의 스토리 개발 ―고려와 몽골
1. 머리에 · 133
2. 13세기 초반 고려인의 몽골 인식 · 134
3. 일연의 몽골관과 김방경 · 145
4. 마무리 · 159

161___일연의 균형으로서 글쓰기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1
1. 균형의 감각 · 161
2. 불교에 기반하는 일연의 역사인식 · 163
3. 일연의 민간신앙에 대한 접근 · 166
4. 균형의 글쓰기 · 178
5. 마무리 · 182

185___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2
1. 머리에 · 185
2. 일연의 생애에서 정치적 도정 · 186
3. 우회적인 서사의 정치적 含意:김춘추의 경우 · 191
4. 정치적 발언으로서 적개심:김제상의 경우 · 203
5. 마무리 · 211


Ⅱ. 문화원형과 모험의 세계

215___문화원형의 의의와 『삼국유사』
1. 머리에 · 215
2. 문화원형에 관한 논의의 원점 · 217
3.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문화원형의 유형 · 223
4. 심성과 행위 원형의 의의 · 235
5. 마무리 · 238

241___SNS 이야기의 원형성과 그 의미
1. 머리에 · 241
2. ‘엎드리는 나무’와 문자 메시지 · 242
3. ‘하늘의 소리’와 SNS의 댓글 · 251
4. 이야기 창출 공간으로서의 SNS · 259
5. 마무리 · 263

267___동반자형 이야기의 원형성 연구
1. 문제의 소재 · 267
2. 동반자형 이야기의 개념 모색 · 269
3. 삼국유사 소재 동반자형 이야기와 유형 · 276
4. 동반자형 이야기의 원형성과 활용 · 289
5. 마무리 · 298

301___창작소재로서 원효 이야기의 재구성
1. 문제의 소재 · 301
2. 本地垂迹 사상과 성인 만남 · 303
3. 성인 만남의 세 가지 양상 · 308
4. 원효의 깨달음과 역사적 재평가 · 314
5. 마무리 · 332

335___同伴者型 설화 속의 元曉 ―해골바가지 사건의 해석
1. 일연에게 원효는 누구인가 · 335
2. 『삼국유사』 소재 동반자형 설화 속의 원효 · 338
3. 해골바가지 사건의 의미 구조 · 344
4. 『발원』에 나타난 변이 전승 · 351
5. 원효에게 동반자는 누구인가 · 357

359___모험 스토리 개발을 위한 『삼국유사』 설화의 연구
1. 문제의 소재 · 359
2. 영웅의 해체, 모험 스토리의 원형성 · 361
3. 삼국유사 설화 속의 모험 스토리 · 372
4. 삼국유사 모험 스토리의 활용 방향 · 383
5. 마무리 · 388

391___여성의 모험과 水路夫人
1. 논의의 방향 · 391
2. 다시 읽는 수로부인 이야기의 전말 · 393
3. 서정시의 출발과 굿 노래로의 편입 · 397
4. 오키나와 여성 祭司의 실종과 귀환:101話의 분석 · 403
5. 모험 스토리의 주인공으로서 수로부인 · 410
6. 마무리 · 416

419___『쿠쉬나메』 연구 序說
1. 머리말 · 419
2. 『쿠쉬나메』의 출현과 문제의 소재 · 421
3. 신라인의 페르시아 인식 · 425
4. 『쿠쉬나메』에 보이는 신라의 풍속과 풍경 · 435
5. 마무리 · 451


Ⅲ. 향가의 근대

455___鄕歌의 근대·1 ―金澤庄三郞와 鮎貝房之進의 향가 해석이 이루어지기까지
1. 문제의 제기 · 455
2. 明治 27년과 『삼국유사』 그리고 神田本의 행방 · 457
3. 향가연구의 端初 · 462
4. 첫 해석의 현장:金澤庄三郞와 鮎貝房之進 · 467
5. 마무리 · 483

487___鄕歌의 근대·2 ―小倉進平가 『鄕歌及び吏讀の硏究』에 붙인 自筆 메모
1. 머리에 · 487
2. 小倉進平의 향가 연구 · 489
3. 小倉의 향가 해석의 한계와 梁柱東 · 497
4. 『鄕歌及び吏讀の硏究』에 붙인 自筆 메모 · 507
5. 마무리 · 525

527___鄕歌의 근대·3 ―國文學史上 향가의 위치 문제
1. 같은 출발 다른 전개 · 527
2. 향찰 해독의 초기 양상 · 530
3. 한국어와 일본어가 갈라 선 지점 · 534
4. 表記와 記述의 차이 · 537
5. 문학사상의 새로운 위치 선정 · 541

547___〈怨歌〉의 재구성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소급적 연속성과 관련하여
1. 소급적 연속성 · 547
2. 단속사와 避隱 · 552
3. 誤傳의 實虛 · 556
4. 이야기의 增殖 · 560
5. ‘後句亡’과 ‘吾皇’ · 567
Author
고운기
1961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한양대와 연세대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99년에 도일(渡日), 게이오대학(慶應大學)에서 방문연구원으로 3년간 한일 문학 비교 연구를 수행한 뒤, 『일연과 삼국유사의 시대』(2001),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2002), 『일연을 묻는다』(2006)를 냈다. 2007년에는 메이지대학(明治大學)에서 객원교수로 한국 고전문학과 삼국유사를 강의했다. 이 기간의 공부가 바탕이 되어 필생의 작업인 ‘스토리텔링 삼국유사’ 시리즈를 기획하고,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2009), 『삼국유사 글쓰기 감각』(2010), 『삼국유사 길 위에서 만나다』(2011), 『신화 리더십을 말하다』(2012), 『모험의 권유』(2016)를 펴냈다. 삼국유사를 연구해 인문 교양서로 펴내는 일에 주력하고, 이를 통해 고대의 인문, 사상, 역사를 아우르는 문화사를 이루고자 한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 『섬강 그늘』 『나는 이 거리의 문법을 모른다』 『자전거 타고 노래 부르기』 『구름의 이동속도』 『어쩌다 침착하게 예쁜 한국어』가 있다. 벌교에는 어릴 적 주먹 친구가 세운 자그마한 시비가 있다. 현재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61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한양대와 연세대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99년에 도일(渡日), 게이오대학(慶應大學)에서 방문연구원으로 3년간 한일 문학 비교 연구를 수행한 뒤, 『일연과 삼국유사의 시대』(2001),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2002), 『일연을 묻는다』(2006)를 냈다. 2007년에는 메이지대학(明治大學)에서 객원교수로 한국 고전문학과 삼국유사를 강의했다. 이 기간의 공부가 바탕이 되어 필생의 작업인 ‘스토리텔링 삼국유사’ 시리즈를 기획하고,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2009), 『삼국유사 글쓰기 감각』(2010), 『삼국유사 길 위에서 만나다』(2011), 『신화 리더십을 말하다』(2012), 『모험의 권유』(2016)를 펴냈다. 삼국유사를 연구해 인문 교양서로 펴내는 일에 주력하고, 이를 통해 고대의 인문, 사상, 역사를 아우르는 문화사를 이루고자 한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 『밀물 드는 가을 저녁 무렵』 『섬강 그늘』 『나는 이 거리의 문법을 모른다』 『자전거 타고 노래 부르기』 『구름의 이동속도』 『어쩌다 침착하게 예쁜 한국어』가 있다. 벌교에는 어릴 적 주먹 친구가 세운 자그마한 시비가 있다. 현재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