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서체연구

$60.38
SKU
97911674220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2/18
Pages/Weight/Size 188*257*35mm
ISBN 9791167422040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이 책은 『訓民正音』 한글-한자서체의 신비로운 구조적 특장(特長)을 탐색하여 새롭게 응용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확산방향을 제시한 연구서이다. 저자는 한글-한자의 각종 서체연구와 서예작품 창작 경험을 토대로, 『訓民正音』의 한글과 漢字서체에 대하여 2015년부터 5년간에 걸쳐 연구한 결과를 통합하여 국내 최초로 2021년에 ‘훈민정음 서체연구’라는 서명으로 337개의 도표를 곁들여 567쪽짜리 역저를 출간하였다.

국보70호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1997년)으로 등재된 『訓民正音』은 1446년에 33장 66면으로 간행된 조선시대 최고의 가치를 자랑하는 목판본 문헌이다. 이 같은 『訓民正音』의 서체가 명필가 강희안과 안평대군의 서체임을 확신하는 내용을 밝혔고, 서체의 극치를 이룬 『訓民正音』에 나오는 5,337자의 한글과 한자의 조형적 특징인 서체미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본으로 한글서체 분야는 도안화, 폰트화, 서예화, 전각화, 서각화 등 다양한 변용적 구성 사례를 제시하였고, 한문서체 분야는 영인본 수정과 낙장복원 부분 개선시안을 제시하는 등 『訓民正音』 서체에 대한 확산적 변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Contents
제Ⅰ부 총 론

1. 훈민정음해례본의 서지 사항 · 3
1.1. 머리말 3
1.2. 훈민정음해례본의 형태서지적 특징 4
2. 훈민정음해례본의 문자 개황 · 15
2.1. 훈민정음해례본의 부분별 문자 구성 상황 15
2.2. 훈민정음해례본의 한글?한자문자의 서체적 특징 18

제Ⅱ부 한글 서체

1. 훈민정음해례본의 한글문자 · 25
1.1. 훈민정음해례본의 부분별 한글문자 현황 25
1.1.1. 부분별 한글문자의 수량 현황 25
1.1.2. 부분별 한글문자의 종류 현황 36
1.2. 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별 한글문자 현황 40
1.2.1. 자모별 한글문자의 수량 현황 40
1.2.2. 자모별 한글문자의 종류 현황 48
2. 훈민정음해례본의 한글서체 · 56
2.1. 훈민정음해례본의 한글 제자원리 56
2.1.1. 한글 제자원리 57
2.1.2. 한글 제자원리의 현대적 재해석 79
2.2. 훈민정음해례본의 부분별 한글서체 95
2.2.1. 정음편 예의부분 한글서체 95
2.2.2. 정음해례편 제자해 한글서체 108
2.2.3. 정음해례편 초중종성해 한글서체 119
2.2.4. 정음해례편 합자해 한글서체 138
2.2.5. 정음해례편 용자례 한글서체 142
3. 훈민정음해례본 한글문자의 서체적 변용 확산 · 159
3.1. 훈민정음해례본 한글문자의 수정 159
3.1.1. 역대 영인본 한글문자의 오류 수정방안 160
3.1.2. 한글문자의 수정 사례 168
3.2. 훈민정음해례본 한글문자의 평면적 구성 176
3.2.1. 한글문자의 도안화 176
3.2.2. 한글문자의 서체화 199
3.3. 훈민정음 한글문자의 입체적 조형 210
3.3.1. 한글문자의 반입체적 서체 표현 210
3.3.2. 한글문자의 디자인 전각화 212
3.3.3. 한글문자의 디자인 조형화 227
3.4. 훈민정음해례본 서체 변용 확산 방안 231
3.4.1. 한글문자의 서체 변용 사례 종합 231
3.4.2. 한글문자의 서체 변용 확산 방향 제안 235

제Ⅲ부 한자 서체

1. 훈민정음해례본의 한자문자 · 239
1.1. 훈민정음해례본 한자의 수량 현황 239
1.1.1. 부분별 한자문자의 수량 현황 239
1.1.2. 쪽수별 한자문자의 수량 현황 241
1.2. 훈민정음해례본 한자의 종류 현황 242
1.2.1. 부분별 한자 문자 종류 현황 242
1.2.2. 가나다별 출현 한자 종류 현황 243
2. 훈민정음해례본의 한자서체 · 245
2.1. 훈민정음해례본의 한자서체 개황 245
2.1.1. 한자서체의 유형 245
2.1.2. 한자서체의 종류 및 특징 249
2.1.3. 한자서체의 형성 276
2.1.4. 훈민정음 한자문자의 현대적 재해석 341
2.2. 훈민정음해례본의 부분별 한자서체 345
2.2.1. 정음편 서문 및 예의 한자서체 348
2.2.2. 정음해례편 제자해 한자서체 362
2.2.3. 정음해례편 초중종성해 한자서체 375
2.2.4. 정음해례편 합자해 한자서체 390
2.2.5. 정음해례편 용자례 한자서체 399
2.2.6. 정음해례편 정인지서문 한자서체 408
3. 훈민정음해례본 한자문자의 서체적 수정 및 복원 · 421
3.1. 역대 훈민정음해례본 영인본의 실태와 수정 방안 421
3.1.1. 역대 영인본 문자의 기호 수정 방안 423
3.1.2. 역대 영인본 문자의 자형 수정 방안 428
3.1.3. 역대 영인본 정음편의 기호 및 문자 수정 방안 430
3.2. 훈민정음해례본의 각종 낙장 복원안 실태 분석 440
3.2.1. 각종 낙장 복원안의 판식 구조 분석 441
3.2.2. 각종 낙장 복원안의 문장 구성 분석 449
3.2.3. 각종 낙장 복원안의 문자 서체 분석 452
3.3. 훈민정음해례본의 낙장 복원 정본안 검토 및 개선 방안 455
3.3.1. 낙장 복원 정본 제작 연구 보고서 검토 개선안 455
3.3.2. 낙장 복원 정본2안의 판식 및 서체 개선 방안 462
3.3.3. 정음편 정본안에 대한 개선안 작성 및 복원 활용 505

도표 목차 511
참고문헌 521
부록 1:훈민정음해례본 쪽수별 한글 일람표 및 집자도 525
부록 2:훈민정음해례본 발음별 한자 일람표 및 집자도 535
부록 3:박병천의 서예-미술분야 학술 및 창작 활동 553
찾아보기 564
Author
박병천
서예가. 서체연구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대학원(교육연구소 : 서예교육전공-교육학박사)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현 명예교수
중국 연변대학교 겸직교수, 중국 월수대학교 석좌교수, 대만국립역사박물관 연구교수 역임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역임, (사)세종한글서예큰뜻모임 회장 역임
행정안전부 제5대 국새 심사위원장, 서울시 관인제정 자문위원장 역임
(사)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글꼴개발연구원장 역임

저 서: 『한글궁체연구』(1983), 『서법론연구』(1985), 『중국 역대명비첩 서예미연구』(1990), 『한글판본체연구』(2000), 『한글서간체연구』(2007), 『한글서체학연구』(2014), 『훈민정음서체연구』(2021), 『조선시대 한글서예사』(1994 공저), 초중고 서예교과서(국정 및 검정) 등 25종 저술활동.

논 문: 「中國 歷代名碑帖의 書藝美 分析과 敎學上 應用硏究」(박사학위논문)외 110여 편

수 상: 문교부, 문체부 장관상 5회(교육공로 및 한글문화발전), 대통령상 수상(한글문화발전공로), 황조근정훈장(교육공로), 동숭학술상 본상(한글서체 발굴 공로)
서예가. 서체연구가.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대학원(교육연구소 : 서예교육전공-교육학박사)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현 명예교수
중국 연변대학교 겸직교수, 중국 월수대학교 석좌교수, 대만국립역사박물관 연구교수 역임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역임, (사)세종한글서예큰뜻모임 회장 역임
행정안전부 제5대 국새 심사위원장, 서울시 관인제정 자문위원장 역임
(사)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글꼴개발연구원장 역임

저 서: 『한글궁체연구』(1983), 『서법론연구』(1985), 『중국 역대명비첩 서예미연구』(1990), 『한글판본체연구』(2000), 『한글서간체연구』(2007), 『한글서체학연구』(2014), 『훈민정음서체연구』(2021), 『조선시대 한글서예사』(1994 공저), 초중고 서예교과서(국정 및 검정) 등 25종 저술활동.

논 문: 「中國 歷代名碑帖의 書藝美 分析과 敎學上 應用硏究」(박사학위논문)외 110여 편

수 상: 문교부, 문체부 장관상 5회(교육공로 및 한글문화발전), 대통령상 수상(한글문화발전공로), 황조근정훈장(교육공로), 동숭학술상 본상(한글서체 발굴 공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