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사람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또한 언어는 사용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언어와 언어생활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사용 환경을 관련지어 연구되어야 한다. 한글생활사 연구는 한글 문헌의 생산자와 향유자를 고려하고, 문헌 내용 속에 반영된 사람과 사회환경적 요소를 언어 요소와 관련지어 고찰함으로써 한국 어문 연구의 지평을 넓히려는 시도이다. 과거의 한국어와 한글이 그 시대 한국인의 생활에 어떻게 작용했으며, 오늘날 현대 한국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한글생활사 연구이다. 한글생활사 연구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그 핵심에 접근하는 지름길의 하나이다. ‘한글생활사’라는 서명을 가진 것으로 처음 출판되는 이 책은 한국 어문 연구의 새길을 열려는 저자의 노력이 결실된 것이다.
Contents
제1부 한국인의 문자생활과 어문생활사 연구 방법
제1장 한국인의 문자생활과 한글○21
1. 어문생활사와 문자생활사 21
1.1. 언어생활 속의 글생활 21
1.2. 문자생활사 자료의 서술 방법 22
1.3. 문자생활의 범주화와 분류 26
2. 사용 문자를 기준으로 본 문자생활 28
2.1. 한자(漢字)에 의한 문자생활 28
2.2. 차자표기에 의한 문자생활 31
2.3. 한글에 의한 문자생활 35
2.4. 한문과 한글을 병용한 이중 문자생활 40
2.5. 일본 문자 강요 시기의 문자생활 43
2.6. 우리나라 문자생활사의 시대 구분 44
3.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본 문자생활 45
3.1. 실용적 문자생활 45
3.2. 교육적 문자생활 51
3.3. 문학적 문자생활 56
3.4. 종교적 문자생활 58
3.5. 학술적 문자생활 61
4. 문체로 본 문자생활 64
5. 마무리 68
제2장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 고문서의 연구 방법○71
1. 들어가기 71
2. 어문생활사의 연구 방법론 72
2.1. 어문생활사와 국어생활사의 용어 문제 72
2.2. 어문생활사의 연구 대상 78
2.3. 어문생활사의 연구 방법 83
2.4.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의 적용 85
2.5. 언간에 대한 어문생활사 연구 사례 88
3. 한글 고문서의 특성과 연구 방법 90
3.1. 한글 고문서의 특성 90
3.2. 한글 고문서의 연구 절차와 연구 내용 91
3.3. 한글 고문서에 대한 선행 연구 사례 94
4. 맺음말 101
제2부 한국어 명칭과 한국 문자 명칭의 변천
제1장 우리말[韓國語]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105
1. 머리말 105
2. 우리말[韓國語] 명칭어의 변천과 그 의미 107
2.1. 고대 시기의 국명(國名) 관련 명칭어(辰言, 加羅語 등) 107
2.2. 중국 변방의 말이라는 뜻을 함축한 ‘方言’, ‘方音’, ‘鄕言’ 등 108
2.3. 한문에 대응되는 일상생활어라는 개념의 ‘諺’, ‘語’, ‘諺語’ 114
2.4. 고려와 조선시대의 ‘高麗話’, ‘高麗ㅅ말’, ‘朝鮮ㅅ말’ 117
2.5. 민족 국가의 주체 의식이 드러난 ‘國之語音’과 ‘國語’, ‘한말’ 119
3. 결론 129
제2장 한국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139
1. 들어가기 139
2. 한국 문자 명칭어의 변천과 그 의미 140
2.1. 訓民正音과 正音 140
2.2. 諺文 143
2.3. ‘國文’의 출현 146
2.4. ‘한글’의 출현 150
3. 맺음말 152
제3부 한글의 사회적 활용
제1장 사회적 의사소통 매체로 기능한 훈민정음○159
1. 소통 매체로서의 훈민정음 159
2. 개인 간의 소통:신분을 가로지른 소통 매체로서의 한글 편지 162
2.1. 왕실 가족 간에 주고받은 한글 편지 162
2.2. 궁녀들의 한글 편지:한글로 전한 사랑의 마음 164
2.3. 부부와 가족 간의 소통 수단 168
2.4. 승려의 소통 수단이 된 한글 편지 171
2.5. 비밀 모의의 소통 수단으로 쓰인 언서 176
3. 공적 업무를 위한 소통 181
3.1. 임금이 백성에게 내린 언문 유서 181
3.2. 임금이 백성에게 내린 한글 윤음 184
3.3. 왕후와 대비의 언서(諺書) 186
3.4. 임진왜란 중의 비밀 소통 수단 189
3.5. 외교의 비밀 소통 수단 192
3.6. 이서가 공무로 쓴 한글 편지 195
4. 백성이 주체가 된 상향적 소통:언문 진정서(陳情書), 투서(投書), 벽서와 격문 199
4.1. 관아에 낸 언문 진정서 200
4.2. 언문 투서(投書) 206
4.3. 언문 벽서(壁書)와 격문 212
4.4. 언문으로 언로를 열어주자는 제안 216
5. 필자와 독자의 소통:필사기 218
6. 마무리:사료 고찰에서 얻은 몇 가지 통찰 224
제2장 국가의 인민 통치와 한글 문헌의 활용○231
1. 조선의 훈민 정책과 훈민정음의 활용 231
2. 한글 문헌을 통한 훈민정음의 활용 233
2.1. 조선 개국의 정당성 확립을 위한 ??용비어천가?? 편찬 233
2.2. 유교 경서 언해본 간행과 훈민정음 활용 235
2.2. 윤리 교화서의 간행과 훈민정음 활용 240
2.3. 인민의 후생 복리를 위한 훈민정음의 활용 269
2.4. 왕과 인민의 직접 소통에 활용된 훈민정음:윤음언해 274
2.5. 화포 제조와 군사 훈련을 위한 훈민정음의 활용 287
3. 마무리 292
제3장 법률 제정으로 본 한글의 사회적 활용○295
1. 들어가기 295
2. 훈민정음 및 언문 관련 법률의 내용과 역사적 의의 295
2.1. 관리 선발 시험에 대한 법률 295
2.2. 사채(私債) 문서 언문 금지법의 시행 298
2.3. ??삼강행실도?? 간행에 관한 법률 301
3. 국문과 한글 관련 법률의 내용과 역사적 의의 302
3.1. 갑오개혁 이후 공문식(公文式) 법령의 제정 302
3.2. 갑오개혁 이후 관리 선발 시험에 부과된 국문 303
3.3. 광복 이후의 한글 관련 법률 304
4. 마무리 309
제4장 훈민정음의 사용과 보급에 관한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311
1. 들어가기 311
2. 학자별 연구 성과 정리 312
2.1. 대한제국기의 연구 성과 313
2.2. 대한제국기 이후 20세기의 연구 성과 323
2.3. 21세기에 이루어진 연구 338
3. 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관련된 주요 논점 345
4. 맺음말:연구 방향 모색을 위한 제언 362
제4부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제1장 조선왕조실록과 한글 필사본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369
1. 연구 목적 369
2.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 교육 372
3. 조선왕조실록을 통해서 본 여성의 문자생활 376
3.1. 이두에 의한 문자생활 376
3.2. 한글에 의한 문자생활 383
3.3. 한문에 의한 문자생활 404
4. 요약과 마무리 406
제2장 한글 편지와 한글 고문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431
1. 서론 431
2. 한글 편지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433
2.1. 연구 대상 자료 433
2.2. 여성의 참여 양상과 역할 분석 434
2.3. ??언간독??에 나타난 유형과의 비교 454
2.4. 언간의 내용 면에서 본 여성의 문자생활 457
3. 한글 고문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461
3.1. 연구 대상 자료 461
3.2. 고문서에 나타난 여성의 참여 양상과 문자생활사적 의미 466
4. 요약 및 마무리 469
제3장 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471
1. 들어가기 471
2. 연구 대상 문헌과 그 특징 472
2.1. 음식조리서 472
2.2. 여성 교육서 479
3. 문자생활의 양상과 그 내용 496
3.1. 필사 관련 요소의 분석 496
3.2. 필사 관련 요소로 본 여성의 문자생활 500
3.3. 문헌의 내용으로 본 문자생활 520
4. 마무리 525
참고문헌 / 531
찾아보기 / 545
Author
백두현
1955년 경북 성주(星州) 연산 마을 출생. 경북대학교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마치고 1990년 2월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현풍곽씨언간주해』, 『음식디미방주해』, 『한글문헌학』,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등의 학술서와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한글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한글편지에 담긴 사대부가 부부의 삶』 등의 교양서를 출간했다. 국어사와 훈민정음, 석독구결과 고대국어 자료, 한글 문헌과 어문생활사 등에 관련된 13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1955년 경북 성주(星州) 연산 마을 출생. 경북대학교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마치고 1990년 2월에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석독구결의 문자체계와 기능』, 『현풍곽씨언간주해』, 『음식디미방주해』, 『한글문헌학』, 『현장 방언과 문헌 방언 연구』 등의 학술서와 『경상도 사투리의 말맛』, 『한글편지로 본 조선시대 선비의 삶』, 『한글편지에 담긴 사대부가 부부의 삶』 등의 교양서를 출간했다. 국어사와 훈민정음, 석독구결과 고대국어 자료, 한글 문헌과 어문생활사 등에 관련된 130여 편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