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절 관계를 형성, 발전시키는 기술 _ 272
제2절 탐구와 환기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 _ 274
제3절 지지적 기술과 지시적 기술 및 탐구-서술-환기법 _ 276
제4절 개인상황형태에 관한 반성적 토의 _ 286
제5절 유형역동적 및 발달과정상의 요인에 관한 반성적 고찰 _ 290
제6절 대처, 변화 그리고 회복을 강화시키는 기술 _ 294
제7절 환경조정 _ 297
제8절 행동수정기술 _ 304
제9절 보편적 접근법 _ 306
제10절 위기개입형태에 따른기술 _ 309
제11절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_ 312
chapter 09 결혼생활의 위기와 이혼조정 _ 319
제1절 결혼생활주기의 위기 _ 320
제2절 이혼에 대한 개관 _ 325
제3절 이혼의 단계 _ 328
제4절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프로그램과 사회복지적 기여, 사정과 개입 _ 331
제5절 이혼조정 _ 336
chapter 10 가족위기개입 _ 359
제1절 가족위기의 정의 _ 360
제2절 가족위기의 분류 _ 361
제3절 가족의 위기경향성을 만드는 요인 _ 364
제4절 가족위기에 대한 적응 _ 366
제5절 가족위기개입의 기본가정 _ 368
제6절 가족위기개입의 표적집단과 목표 _ 369
제7절 가족위기개입의 방법 _ 69
제8절 가정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_ 373
chapter 11 위기상황과 사회적 지지 _ 377
제1절 사회적 지지의 개념 _ 378
제2절 사회적 지지와 건강 _ 382
제3절 사회적 지지와 직업 스트레스 _ 384
제4절 위기상황과 사회적 지지 _ 385
chapter 12 자살위기개입 _ 397
제1절 자살 및 자살적 행동의 정의와 설명 _ 398
제2절 자살행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_ 400
제3절 자살위기개입의 단계 _ 401
제4절 자살사정 _ 405
제5절 개입방법과 전략 _ 412
제6절 청소년 자살 _ 418
제7절 학교에서의 자살위기개입 _ 421
chapter 13 약물남용 중독과 위기개입 _ 439
제1절 알코올 및 불법 약물사용과 관련된 위기 _ 440
제2절 약물남용의 원인 _ 442
제3절 약물사용의 단계 _ 443
제4절 약물사용의 일반적 징후 _ 445
제5절 중독에 관한 모델 _ 445
제6절 약물남용의 가능성이 높은 사람 _ 450
제7절 약물중독 클라이언트 원조에서 워커의 역할 _ 451
제8절 약물남용자를 위한 사회적 지지 _ 452
제9절 코카인남용자의 위기개입 _ 456
제10절 단일회기 위기개입 _ 463
chapter 14 성폭행과 위기개입 _ 467
제1절 성폭행의 유형 _ 468
제2절 성폭행 가해자의 유형 _ 470
제3절 낯선 사람 성폭행과 아는 사람 성폭행의 차이 _ 471
제4절 성폭행의 실제상황 _ 473
제5절 성폭행의 충격 _ 474
제6절 성폭행의 정서적 위기사정 _ 477
제7절 치료 모델 _ 482
제8절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_ 490
chapter 15 재난과 위기개입 _ 493
제1절 재난의 본질 _ 494
제2절 재난의 과정 _ 495
제3절 재난 후 심리·정서적 반응 _ 498
제4절 재난위기개입 _ 501
제5절 특별한 욕구를 가진 집단 _ 513
제6절 단일회기 위기개입 _ 515
chapter 16 응급실 위기개입 _ 521
제1절 응급실 위기개입 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기초 _ 522
제2절 응급실 실천의 다차원적 본질과 특성 _ 523
제3절 응급실 내에서의 다차원적 접근법 _ 523
제4절 클라이언트 집단과 문제의 본질 _ 525
제5절 관심의 단위 _ 527
제6절 응급실 위기개입의 방법 _ 529
제7절 임상적 쟁점 _ 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