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에 갇힌 대.한.민.국!
고려의 신돈과 영의, 조선의 장순명과 진령군, 그리고 21세기 대한민국…
주술이 어떻게 한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가!
역사적, 인문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풍수와 비보술을 비교 분석하며
우리 사회를 농락한 주술의 어두운 그림자를 적나라하게 들춰낸다
최근 몇 년간 대한민국을 둘러싼 주술 논쟁이 뜨겁다. 일상에서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가 궁금해 점 등을 보는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권력층의 국정 운영과 통치 행위에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주술이 개입되었다는 논란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시화시킨 이슈는 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불거진 대통령 집무실 이전 논란이었다. 이러한 의혹은 우리 사회의 혼란을 부추기고 합리적 판단과 질서를 뒤흔들 수 있기에 심각성이 크다.
사실 한반도에서 정치 권력과 주술의 결탁은 그 역사가 깊다. 이에 풍수학자 김두규 교수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21세기까지 한반도에 벌어졌던 주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것의 폐해와 위험성을 살펴보고자 신작『그들은 왜 주술에 빠졌나?』를 펴냈다.
저자 김두규 교수는 고려시대부터 1천 년 동안 이어온 풍수를 21세기에 되살린 대표적인 풍수학인(風水學人)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그 학문적 출발은 독문학으로, 특히 이 책에서 ‘의심과 부정’의변증법적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동양학과 서양학,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주술의 영향을 입체적으로 분석했다.
Contents
머리말 | 악마에게 속은 1천 년
1장 망령은 아직도 이 땅에 살아 숨 쉰다
왜 ‘그분’은 주술에 걸렸나?
21세기에 되살아난 귀신 퇴치 논란
운과 때를 바꿀 수 있다는 맹목적 신화
피타고라스부터 ‘십팔자설’까지, 숫자의 주술
새 건물을 지어 주술적 의미를 새긴다
누가 그 손에 ‘王’을 새겼나
택일 비보, 아무 날에나 행하지 않는다
2장 만들어진 신‘도선’, 한반도 상공을 배회하다 _주술을 맹신한 고려왕조
고려 8대 임금 현종과 『훈요십조』의 진위
권력에 대한 욕망은 진실의 눈을 가린다
왜 도선의 탄생 설화에 오이가 등장할까?
풍수술의 탈을 쓴 비보술
도선은 과연 풍수에 능했을까?
3장 악마의 비보술과 그 후예들 _고려의 통치이념을 뒤흔들다
비보술로 재앙을 없애고 복을 얻는다
술수에 빠진 왕과 술사의 운명
무능한 왕의 불안을 파고든 운명적 만남
개혁 군주도 피해가지 못한 비보술의 좀비 떼
‘진사성인출’, 고려와 조선을 현혹하다
4장 질투와 야망으로 뭉쳐진 투쟁의 기록 _조선, 비보술에서 풍수술로 전환하다
조선 개국, 비보술은 어떻게 부정되었나
임금을 분노케 한 왕조 멸망 예언
비보술과 성리학의 충돌
점술과 풍수에 빠져든 최고 권력자
조선의 명운을 재촉한 무당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비보술과 풍수술
도선의 마지막 후예
5장 도읍지 비보술 vs 도읍지 풍수술 _서울과 평양 그리고 용산까지
수도가 될 최고의 터는 어디인가?
서울을 도읍지로 만든 최초의 인물
‘터의 좋고 나쁨을 보려거든 3대 주인을 보라’
용산 대통령실은 공동묘지 터 위에 있다?
청와대는 흉지인가, 길지인가?
맺음말 | 주술로 흥한 자, 주술로 망한다 / 참고문헌
Author
김두규
풍수 이론과 현장에 모두 밝은 이 시대의 대표적인 풍수학자이다. 1960년 전북 순창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동 대학원 독일어과를 졸업했으며 독일에서 독문학 사회학 중국학 등을 수학한 후 귀국해 우석대학교 정교수로 재직중이다. 그는 역사적 전거와 고증을 거치지 않은 시중의 풍수 이론을 예리하게 비판하면서도, 풍수 현장을 직접 체험해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진정한 풍수학자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가 대학 강단에서 풍수 이론을 강의하면서도 틈만 나면 풍수 답사를 떠나는 것도 바로 그런 신념 때문이다. 정치인들의 생가와 선영을 풍수론을 감정하여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을 예측한 데 이어, 2002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까지 정확히 짚어내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최근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추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약했고, 현재 문화재 전문위원이기도 하다.
『조선 풍수학인의 생애와 논쟁』『우리땅 우리 풍수』『한국풍수의 허와 실』『호순신의 지리신법』『권력과 풍수(공저)』『우리 풍수 이야기』『풍수학사전』『논두렁 밭두렁에도 명당이 있다』『13마리 용의 비밀』『김두규 교수의 풍수강의』『내 운을 살려주는 풍수 여행』『조선 풍수, 일본을 논하다』등 다수의 풍수 교양서·전문서를 내고『명산론』『조선시대의 풍수학 교과서』을 역해했다.
풍수 이론과 현장에 모두 밝은 이 시대의 대표적인 풍수학자이다. 1960년 전북 순창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동 대학원 독일어과를 졸업했으며 독일에서 독문학 사회학 중국학 등을 수학한 후 귀국해 우석대학교 정교수로 재직중이다. 그는 역사적 전거와 고증을 거치지 않은 시중의 풍수 이론을 예리하게 비판하면서도, 풍수 현장을 직접 체험해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진정한 풍수학자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가 대학 강단에서 풍수 이론을 강의하면서도 틈만 나면 풍수 답사를 떠나는 것도 바로 그런 신념 때문이다. 정치인들의 생가와 선영을 풍수론을 감정하여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을 예측한 데 이어, 2002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까지 정확히 짚어내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최근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추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약했고, 현재 문화재 전문위원이기도 하다.
『조선 풍수학인의 생애와 논쟁』『우리땅 우리 풍수』『한국풍수의 허와 실』『호순신의 지리신법』『권력과 풍수(공저)』『우리 풍수 이야기』『풍수학사전』『논두렁 밭두렁에도 명당이 있다』『13마리 용의 비밀』『김두규 교수의 풍수강의』『내 운을 살려주는 풍수 여행』『조선 풍수, 일본을 논하다』등 다수의 풍수 교양서·전문서를 내고『명산론』『조선시대의 풍수학 교과서』을 역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