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상팔경도 연구

$31.75
SKU
979116707156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7/17
Pages/Weight/Size 170*230*20mm
ISBN 9791167071569
Categories 예술
Description
우리나라 옛 시와 회화에서 가장 있기 있던 주제, 소상팔경(瀟湘八景)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사학자, 안휘준 서울대 명예교수가 밝히는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의 모든 것

우리나라에서 시와 회화의 가장 인기 있던 주제 중의 하나로 ‘소상팔경(瀟湘八景)’을 빼놓을 수 없다. ‘소상팔경’은 중국 호남성 동정호의 남쪽 영릉(零陵) 부근, 즉 소수(瀟水)와 상수(湘水)가 합쳐지는 곳의 아름다운 경치를 소재로 하여 팔경으로 읊거나 그린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소상팔경도는 하나의 주제가 중국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에서 언제,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어떠한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 또한 우리나라 화가들이 중국적인 주제를 어떻게 우리화하였으며 변화 발전시켰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중요한 검토 대상이 된다고 하겠다. 소상팔경도에서 간취되는 제반 사항이나 사실들은 우리나라의 전통회화는 물론 문화적 현상을 고찰하는 데에도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I 한국의 소상팔경도

1. 서언
2. 소상팔경도의 기원과 동전(東傳)
3. 소상팔경도의 특징
4. 조선 초기의 소상팔경도
5. 조선 중기의 소상팔경도
6. 조선 후기 및 말기의 소상팔경도
7. 결어

II 비해당 안평대군의 [소상팔경도]

1. 머리말
2. [비해당소상팔경도]의 제작 경위
3. [비해당소상팔경도]의 제작 배경
4. [비해당소상팔경도]의 제작 내역
5. 맺음말

III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소상팔경도]

IV 겸재 정선의 [소상팔경도]

1. 머리말
2. 개인 소장의 [소상팔경도](1)
3. 재일교포 구장(서울 개인 소장)의 [소상팔경도]
4. 간송미술관 소장의 [소상팔경도]
5. 개인 소장의 [소상팔경도](2)
6. 맺음말

부록 안견 전칭의 [사시팔경도]
Author
안휘준
현(現)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동상·영정심의위원회 위원장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문학사)를 졸업 후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수학하였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와 홍익대학교 박물관장을 거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와 서울대학교 박물관장을 역임하였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예술연구실장으로 재직한 바 있으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정년퇴직 한 뒤에는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밖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대표, 문화체육부 학예사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 활발한 학회 및 사회활동을 하였다.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 문화유산상, 옥조근정훈장 등을 수여받아 한국미술사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상훈으로는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간행물윤리상(저작 부문), 위암 장지연상(한국학 부문),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 부문), 옥조근정훈장, 안견미술문화대상,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용재학술상, 효령상(문화 부문),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문예출판사, 1988), 『옛 궁궐그림』(대원사, 1997), 『한국회화의 이해』(시공사, 2000), 『한국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고구려 회화』(효형출판, 2007),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미술의 美』(효형출판, 2008)(공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학고재, 2009)(공편),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12), 『한국 고분벽화 연구』(사회평론, 2013),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사회평론, 2015), 『한국의 해외문화재』(사회평론, 2016), 『한국 회화의 4대가』(사회평론, 2019),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사회평론, 2022),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22) 등이 있다.
현(現)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문화체육관광부 동상·영정심의위원회 위원장이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문학사)를 졸업 후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수학하였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와 홍익대학교 박물관장을 거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와 서울대학교 박물관장을 역임하였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예술연구실장으로 재직한 바 있으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정년퇴직 한 뒤에는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그밖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대표, 문화체육부 학예사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 활발한 학회 및 사회활동을 하였다.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 문화유산상, 옥조근정훈장 등을 수여받아 한국미술사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상훈으로는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간행물윤리상(저작 부문), 위암 장지연상(한국학 부문),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 부문), 옥조근정훈장, 안견미술문화대상,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용재학술상, 효령상(문화 부문),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문예출판사, 1988), 『옛 궁궐그림』(대원사, 1997), 『한국회화의 이해』(시공사, 2000), 『한국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고구려 회화』(효형출판, 2007),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미술의 美』(효형출판, 2008)(공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학고재, 2009)(공편),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12), 『한국 고분벽화 연구』(사회평론, 2013),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사회평론, 2015), 『한국의 해외문화재』(사회평론, 2016), 『한국 회화의 4대가』(사회평론, 2019),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사회평론, 2022),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2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