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지난 30여 년간 문학 교육의 초석을 다져 온 기존의 문학교육론을 디딤돌 삼아, 학교 교실을 넘어 일상 삶의 영역으로까지 문학 교육학 논의를 확장하였다. 문학 교육이 실제 우리 삶에서 문학을 즐기고 표현하는 데 기여했는가라는 뼈아픈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문학의 생활화, 문학의 수행과 향유, 독자의 주체적인 문학 행위 등을 논의하고, 그 내용을 문학 교육과정, 문학 교수·학습 방법, 문학 평가 방법 등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이 책을 문학 교육의 출발점으로 삼았으면 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문학 교육의 출발
1장 문학의 본질과 문학 교육의 가치
1 문학은 어떻게 ‘문학’이 되었는가?
1) 문학에 대한 일반적 정의
2) 文學인가, 文인가?
3) ‘문학’의 탄생
4) 근대의 산물로서의 문학
2 문학의 본질을 정의하려는 여러 시도
1) 문학에 대한 전문가의 출현
2) 허구의 세계로서의 문학
3) 새로운 언어의 세계를 만들어 내는 문학
3 우리는 문학 교육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
1) 문학 교육의 인식적 목표
2) 문학 교육의 윤리적 목표
3) 문학 교육의 심미적 목표
2장 문학을 보는 관점과 문학 교육
1 문학을 보는 관점
1) 현실과 인간 삶의 모방으로서의 문학
2) 작가의 내적 표현으로서의 문학
3) 독자를 통해 실현되는 문학
4) 독립적인 객관적 존재로서의 문학
2 문학 교육을 보는 관점
1) 실체 중심 문학 교육
2) 속성 중심 문학 교육
3장 문학 교육 현상과 제도로서의 문학 교육
1 일상의 문학 경험과 문학 교육 현상
1) 문학 향유의 일상성
2) 매체의 다변화와 문학의 확장
3) 다매체 시대의 양면
2 학교에서의 문학 교육
1) 문학 수업: 의도와 현실의 차이
2) 수업 혹은 배움의 확장: 실제 삶과 연계된 통합 교육의 지향
3 학교 안과 바깥을 아우르는 문학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제2부 문학 교육의 내용과 수행
4장 해석하기
1 문학 작품의 해석이란?
1) 해석의 개념
2) 해석의 다양성과 수용 가능성
2 문학 작품 해석하기
1) 문학적 장치에 주목하여 의미 구축하기
2) 작품의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하기
5장 비평하기
1 비평의 특징과 내용
1) 비평과 문학 연구의 차이
2) 주관적 판단으로서의 비평
3) 비판적 읽기로서의 비평
2 작품에 대한 가치 평가의 근거
1) 작품에 대한 기술과 해석의 필요성
2) 비평 이론의 역할
3 비평하기의 실제: 기술, 해석, 평가의 삼중주
1) 성격과 행동에 대한 기술과 그 의미의 해석
2) 비평 이론의 활용: ‘객관적 관찰’의 태도로서의 리얼리즘
3) 상호텍스트성의 환기
4) 작품에 대한 전체적 평가
4 일상 속 비평의 새로운 모습
1) 모두가 할 수 있는 비평
2) 그림과 대화로 실현된 비평
6장 표현·창작하기
1 문학적 표현 교육
1) 문학적 표현의 개념과 특성
2) 문학적 표현 활동의 실제
2 문학의 재구성과 창작
1) 문학 생산 활동: 재구성과 창작
2) 문학 텍스트 재구성하기
3) 창작하기
7장 향유하기와 소통하기
1 향유하기
1) 문학 향유하기의 의미
2) 문학 향유하기와 심미적 독서
3) 문학 향유하기의 실제: 문학이 주는 여러 가지 즐거움
2 소통하기
1) 문학으로 소통하기의 의미
2) 문학으로 소통하기와 행위로서의 문학
3) 문학으로 소통하는 다양한 방식들
제3부 문학 교육의 실천
8장 문학 교육과정
1 문학 교육과정과 문학 교육
1)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
2) 사회의 변화와 교육과정
3) 문학 교육관의 변화와 교육과정
2 문학 교육과정의 이해
1)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학 교육
2) 공통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
3)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문학’, ‘문학과 영상’ 과목
3 문학 교육과정의 해석
1) 문학 교육과정 내용 조직의 원리
2) 문학 교육 기획과 교육과정 재구성 주체로서의 교사
9장 문학 수업 설계
1 문학 수업 설계를 위한 준비
1) 문학 수업의 특성에 대한 고려
2) 문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려
2 문학 수업 설계의 구체화
1) 반응 중심의 문학 수업
2) 대화 중심의 문학 수업
3) 토론 중심의 문학 수업
4) 질문 중심의 문학 수업
5) 프로젝트 중심의 문학 수업
10장 문학 수업 성찰과 평가
1 문학 수업 성찰과 평가의 필요성
2 문학 수업 성찰과 평가 방법으로서의 수업 비평
1) 수업을 보는 여러 방법
2)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특징
3 문학 수업 비평의 지향과 실제
1) 수업 비평 준비
2) 문학 수업 보기
3) 비평적 글쓰기
4) 수업 나눔: 수업 비평을 위한 교육 생태계 만들기
제4부 문학 교육의 확장과 미래
11장 미디어 시대의 문학 교육
1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문학의 위상
1) 대상으로서의 문학: 문학 개념의 확장
2) 행위로서의 문학: 문학 경험의 확장
2 문학 교육에서의 미디어
3 디지털 세대를 위한 문학 교육의 방향
1) 미디어 문학 텍스트의 확장과 포섭
2)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문학 교수·학습 활동
12장 통일 시대의 문학 교육
1 통일 시대 문학 교육, 왜 지금 논의해야 하는가?
2 가깝고도 먼 북한의 문학 교육
1) 문학관의 차이와 문학 교육관의 차이
2) 교과서로 보는 북한의 문학 교육
3) 북한 문학 교육의 특성
3 통일 시대 문학 교육의 나아갈 길
1) 다양성의 공존과 미래 지향적 통합
2) 동질성의 탐구와 발견
3) 이질성의 상호 존중과 포용
13장 세계문학과 문학 교육
1 세계문학이란 무엇인가?
1) 세계문학 개념의 복잡성
2) 다양한 세계문학의 의미
3) 세계 문학 담론에 대한 비판적 시각
2 세계문학 교육, 왜 해야 하는가?
1) 세계문학으로 만나는 ‘너’와 ‘나’
2) 세계문학 교육의 지향
3) 세계문학 교육의 실천을 위한 토대
3 세계문학 교육,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해
2) ‘낯섦’에 대한 상호문화적 태도
3)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
인용 작품 출처
찾아보기
Author
최미숙,염은열,김성진,정정순,송지언,이상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교육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이다. 저서로 『현대시교육론(개정판),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공저), 『국어교육 연구의 반성과 전망』(공저)이 있으며, 논문으로 「문학수업에서의 질문과 대답」, 「현대시 교육에서 은유의 문제」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교육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이다. 저서로 『현대시교육론(개정판),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공저), 『국어교육 연구의 반성과 전망』(공저)이 있으며, 논문으로 「문학수업에서의 질문과 대답」, 「현대시 교육에서 은유의 문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