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학계에서 중국의 부상 이후 중국적 세계질서에 대한 관심이 급증
중국 대외정책에 내재된 ‘중국적 특색’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사를 본격적으로 분석
세계정치 특집호 『중국사와 국제정치: 21세기 중국 역사공정의 국제정치적 함의』는 중국 대외관계사 연구를 위한 국제정치학계와 역사학계의 협업이다. 국제정치학계는 역사학계가 그동안 이룩한 업적을 검토해서 그 국제정치적 함의를 도출할 과제를 안고 있고, 역사학계도 국제정치학계와 공조를 통해 연구 결과가 국제정치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번 특집호는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중국사와 국제관계의 연계이다. 중국 대외관계사에 대한 최신 연구성과가 중국 대외정책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두 번째는 중국적 세계질서의 해체이다. 국제정치학계에서 이 개념은 거의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반면, 역사학계에서는 이 개념의 한계를 비판하고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해왔다. 마지막으로 중국사의 국제정치적 사용─거의 대부분의 경우 남용 또는 오용─이다. 천하체계의 위계성을 공세외교의 역사적 연원으로 비판하는 서구 학계나 통일적 다민족국가와 중화민족다원일체론을 정당화하기 위한 중국의 역사공정 모두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Contents
서문 21세기 중국사의 국제정치
제1장 동아시아 세계체제에 대한 문명사적 탐색─중국적 세계질서의 적실성을 중심으로
I 서론
II 중화질서의 속성: 조공-기미-화친 기제의 혼용
III 중화질서의 지속과 변화
IV 중화사상의 통시성과 신천하질서
V 결론: 유교사회주의의 길
제2장 송대 동아시아질서의 재해석─화친과 역조공
I 서론
II 송대 화친 정책
III 송대 화친 조약: 내용과 평가
IV 결론
제3장 20세기 이래 중국의 대외관계 인식과 중국근대사 서사
I 서론
II 20세기 전반 중국 근대 중외관계 인식과 근대사 서술
III 20세기 후반의 중국근대사 연구와 중외관계 인식
IV 맺음말
제4장 ‘종번관계’론의 시원─20세기 전반 장팅푸의 외교사 연구
I 서론
II 외교사 연구의 시작: 제국주의와 근대화
III 외교의 근대화: ‘종주권’에서 ‘통치권’으로
IV 전통적 ‘종번관계’를 둘러싼 논박
V 결론
제5장 청조(淸朝)의 제국 통치와 신해혁명, 그리고 중국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I 머리말
II 청조의 제국 통치와 팔기(八旗)
III 만청(晩淸) 시기 자강(自强)과 입헌(立憲)의 정치 과정과 만한(滿漢) 관계
IV 오족공화(五族共和)와 과분(瓜分) 담론, 그리고 ‘중국’ 만들기
V 맺음말
제6장 미중 전략경쟁과 중국의 역사적 비유─“치욕의 100년사”와 “항미원조전쟁”을 중심으로
I 서론: 미중 경쟁과 중국의 ‘역사적 비유’
II 미중 경쟁과 중국의 ‘역사적 비유’ 정치
III 미중 경쟁과 중국의 역사적 비유: “치욕의 100년사(百年??)”
IV 미중 경쟁과 역사적 비유: 신시대 항미원조(新?期 抗美援朝)
V 결론
제7장 21세기 중국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와 서술 변화
I 머리말
II 중국의 ‘역사공정’과 중국 역사교과서의 상관관계
III 중국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사 관련 서술의 실상
IV 시진핑 집권 2기 중국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배경과 현황
V 국정화 이후 중국 역사교과서의 세계사 관련 서술 변화
VI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