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의 탄생 (큰글자책)

피와 저항으로 쓰인 헌법의 세계사
$65.87
SKU
979116689338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9
Pages/Weight/Size 210*290*40mm
ISBN 9791166893384
Categories 사회 정치 > 법
Description
“역사가 법을 만들고, 법이 역사를 만들다”
근대 헌법의 탄생 과정을 통해 본 헌법의 진정한 의미

헌법을 안다는 것은 ‘그 나라의 정신을 안다’고 할 수 있다. 『지금 다시, 헌법』의 차병직 변호사가 쓴 『헌법의 탄생』은 세계의 다양한 국가들의 헌법적 탄생 과정을 통해 ‘지금의 우리’를 되돌아보고, 나아가 국가의 미래를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광대한 역사 속 인류는 인권을 위해 끊임없이 투쟁해 왔다. 저자는 미국의 독립 선언과 프랑스 인권 선언 등 세계사의 굵직한 사건들 속에서 시민들의 피와 저항이 어떻게 헌법의 토대를 이루었는지 살펴본다. 더욱이 헌법의 가치가 위협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해방 이후 한반도의 굴곡진 역사 속에서 지금의 우리의 헌법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추적하며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저자는 헌법이 특정 국가의 발명품이 아닌 오랜 세월에 걸친 인류 공동체와 민족, 국가, 사회 공동체의 역사와 함께 서서히 형성되었다고 주장하며 근대의 정신인 헌법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사의 맥락에서 헌법을 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중국, 한국 외에도 북한 라틴아메리카, 이슬람(8개 국가, 2개의 대륙)의 헌법 탄생 과정을 한 권으로 담고 있는 유일한 책이다.
Contents
책을 시작하며: 정치적 동물의 존재 증명 방식에 대하여ㆍ5
프롤로그: 헌법의 감각ㆍ13

1. 헌법은 역사 속에 있다: 영국의 헌법ㆍ19
2. 최초 헌법의 등장: 미국 헌법ㆍ91
3. 프랑스 헌법: ‘자유’라는 이름으로 권리를 선언하다: 프랑스 헌법ㆍ173
4. 이상의 헌법, 현실의 기본법: 독일 헌법 ㆍ249
5. 불만의 신세계에서: 러시아 헌법ㆍ331
6. 타인의 헌법: 일본 헌법ㆍ399
7. 붉은 대륙, 붉은 별, 붉은 혁명: 중국 헌법ㆍ477
8. 해방이 낳은 혼란의 국토: 한반도 헌법ㆍ555
9. 피와 저항, 열정 속에서 태어나다: 라틴아메리카 헌법ㆍ685
10. 신이 만든 법 아래 인간이 만든 헌법: 이슬람 헌법ㆍ709

에필로그: 헌법의 얼굴들ㆍ731
부록
대한민국 헌법ㆍ743
세계의 헌법(52개국 헌법 제1조)ㆍ765
참고문헌ㆍ786
찾아보기ㆍ801
Author
차병직
변호사. 법무법인 한결 구성원 변호사로,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2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과 집행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고려대·이화여대 법과대학에 출강하며 후학을 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저서로 《사람은 왜 서로 싸울까》 《사람답게 아름답게》 《사건으로 보는 시민운동사》 《단어의 발견》 등을 썼고, 공저로 《지금 다시, 헌법》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습니다》 등이 있다. 《위대한 개츠비》 《세계사 최대의 전투 : 모스크바 공방전》 등을 번역하기도 했다.
변호사. 법무법인 한결 구성원 변호사로,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25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과 집행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고려대·이화여대 법과대학에 출강하며 후학을 양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저서로 《사람은 왜 서로 싸울까》 《사람답게 아름답게》 《사건으로 보는 시민운동사》 《단어의 발견》 등을 썼고, 공저로 《지금 다시, 헌법》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습니다》 등이 있다. 《위대한 개츠비》 《세계사 최대의 전투 : 모스크바 공방전》 등을 번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