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문제의 뿌리인 공자와 유교문화에 대해 던지는 근본적인 비판
세계화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국인의 문화적 폐쇄성과 콤플렉스에 대한 신랄한 진단
갑골문의 발굴로 최근에야 밝혀진 유교의 기원과 왜곡과정을 국내 최초로 상세히 소개?해설
한중일 문화의 상호이해를 위한 접근법과 외국어 및 제도권 교육의 올바른 방향에 대한 모색
1997년 말 뜻하지 않게 찾아온 IMF 태풍은 사상 유례없는 대량감원과 실직, 중소기업의 연쇄부도라는 충격을 우리에게 안겨주었다. 언론과 식자층은 일제히 국가의 존망이 달린 위기 운운하며 한국사회의 구조적 병폐를 한 목소리로 질타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문제에 대한 철저한 진단과 자기 반성, 구체적인 해법은 미처 궁리해보지도 못한 채 언제 그랬냐는 듯 이내 잠잠해졌다. 그렇게 위기는 또 한 번 잊혀져갔고, ‘역경을 극복하는 위대한 민족’ ‘하면 되는 민족’ 운운하는 또 하나의 헛된 구호와 자화자찬만을 남기고 말았다.
1910년 한일합방 때도, 1950년 6·25 때도 우리는 그렇게 국난을 이겨냈다. 체념과 자기합리화, 분열과 이전투구 속에서 문제는 점점 희석되어갔고 정작 고통을 당하는 ‘못난 백성들’은 위정자들의 놀음에 놀아나며 속으로만 “이게 아닌데”를 되풀이했다. 50년이 멀다 하고 찾아오는 반복된 위기의 본질에 대해서 어느 누구도 진지하게 고민해보지 않았다. 이 책은 감히 그 위기의 본질에 대해 말하려 한다. 이 책의 요지는 매우 간단하다. 한국사회 문제의 핵심에는 공자로 대표되는 유교 이데올로기가 있다는 것이다.
왜 하필 공자인가, 지금 어느 누가 공자를 받들고 이야기하는가, 그것은 소수의 한학자나 청학동 주민들에게나 유효한, 그야말로 시대착오적인 주장이 아닌가 하고 혹자는 반문할지 모른다. 그러나 공자를 전혀 알지 못하고 관심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그가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이상 그는 골수까지 철저히 유교 이데올로기에 세뇌되어 있다. 한번 주위를 둘러보라. 한국사회의 심각한 문제들의 배후에는 예외 없이 공자와 유교의 그림자가 깔려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Contents
1 한국인으로 사는 열 가지 괴로움
이제 지도는 찢어졌다-19
나는 신토불이가 싫다-27
술 한 잔이 망친 나라-34
억울하면 출세해라-39
법치가 되지 않는 이유-46
역시 ‘핏줄’뿐입니다요!-50
모두가 왕손인 나라-55
찬호와 세리가 미국으로 간 까닭은?-63
3김의 DNA─‘거시기’와 ‘챠라’-71
우리는 무엇으로 한국인인가-83
2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유교의 유효기간은 끝났다-95
중국과 일본이 유교를 버린 이유-100
유교의 그릇된 출발─역사의 왜곡, 왜곡의 역사-108
조상 숭배 의식의 기원-116
공자는 왜 거짓말을 했나-123
우리는 영원한 중국의 속국인가-132
주자학, 그 위대한 사기극-141
죽은 박정희가 다스리는 나라-151
공자 바이러스-157
유교문화가 어떻게 나라를 망치는가-163
효도가 사람 잡는다-171
유교 속의 여자, 유교 밖의 여자-181
3 일본이여 들어오라! 중국이여 기다려라!
칼마다 맛이 다르다-199
일본을 용서한다-209
일본 문화의 뿌리를 보는 시각-214
일본 만화에서 배운다-220
유교는 어떻게 우리의 상상력을 죽였나-228
왜 일본 문화에는 폭력과 성이 난무하는가-233
문제는 창조력이다-239
중국을 이기려면 먼저 철저히 장사꾼이 돼라-244
한문 사용을 주장하는 분들의 진짜 속내-252
한자가 아니라 Asia Sign입니다-259
한자 간단히 배우기-265
4 공부는 끝났다
공부는 끝났다-275
당장 ‘양놈’을 찾아 나서라-280
영어는 더 이상 외국어가 아니다-285
실력이 도덕이다-294
우리 아이들이 정말 피곤한 이유-301
선생님 안녕히 계십시오-308
논술이 바보를 만들고 있다-314
신영이의 ‘더불어 학교’-319
5 한국인을 넘어서
한국인을 넘어서-333
작은 것이 아름답다-338
종아리를 걷어라-345
안중근과 서태지, 그리고 장보고-351
할 말을 해라-358
황장엽처럼 들이닥칠 통일이 두렵다-365
Author
김경일
김경일은 10살 때부터 한자와 붓글씨를 배우기 시작했다. 국민대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그후 타이완 중국문화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세계적 고대문자 학자인 쉬탄훼이 박사에게 고대문자와 갑골문을 배웠다. 상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90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갑골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동양문화의 기원과 갑골문에 관한 논문을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발표하고 있다. 동경대학에서 수학했으며 북경 사범대학에서 중국 정부 초청으로 연구했다.
논문으로는 「설문해자와 상형문 연구」 「갑골문을 통한 조상숭배 의식연구」 「한국 소장 갑골문 12편의 고석」 「갑골문을 통해 고찰한 東夷 어휘의 기원」 등 20여 편이 있다. 저서로는 『얼굴 없는 중국』 『한자의 역사를 따라 걷다』 『사서삼경을 읽다』 『제대로 배우는 한자 교실』과 다른 이들과 함께 쓴 『중국문화사』 『중국 문화의 이해』 등이 있다.
저자는 특히 1994년부터 해마다 진행하는 중국 배낭여행을 통해 중국인들의 문화적 특성과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여기서 얻은 결과들을 책과 강연, 방송, 칼럼 등을 통해 발표하고 있다. 또 1980년대부터 꾸준히 기울여온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을 중국과 한국 사회와 연결하여 해석하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김경일은 10살 때부터 한자와 붓글씨를 배우기 시작했다. 국민대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그후 타이완 중국문화대학 중문연구소에서 세계적 고대문자 학자인 쉬탄훼이 박사에게 고대문자와 갑골문을 배웠다. 상명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90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갑골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동양문화의 기원과 갑골문에 관한 논문을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발표하고 있다. 동경대학에서 수학했으며 북경 사범대학에서 중국 정부 초청으로 연구했다.
논문으로는 「설문해자와 상형문 연구」 「갑골문을 통한 조상숭배 의식연구」 「한국 소장 갑골문 12편의 고석」 「갑골문을 통해 고찰한 東夷 어휘의 기원」 등 20여 편이 있다. 저서로는 『얼굴 없는 중국』 『한자의 역사를 따라 걷다』 『사서삼경을 읽다』 『제대로 배우는 한자 교실』과 다른 이들과 함께 쓴 『중국문화사』 『중국 문화의 이해』 등이 있다.
저자는 특히 1994년부터 해마다 진행하는 중국 배낭여행을 통해 중국인들의 문화적 특성과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여기서 얻은 결과들을 책과 강연, 방송, 칼럼 등을 통해 발표하고 있다. 또 1980년대부터 꾸준히 기울여온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을 중국과 한국 사회와 연결하여 해석하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