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한인문학의 어제와 오늘

$36.69
SKU
979116685072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28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66850721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이 책에서는 한국(또는 북한) 국적이든 일본 국적이든 ‘재일’ 한인 작가들이 생산한 문학을 총칭하여 ‘재일한인문학’이라 칭하고,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 ‘재일(在日)’은 사전적 의미 그대로 ‘일본에 살고 있음’을 뜻하며, ‘한인(韓人)’은 국적과 관계없이 ‘한민족’으로서의 일체감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사용하는 지칭이다. 따라서 ‘재일한인문학’이라는 지칭은 ‘재일동포(교포) 문학’ ‘재일 한국인문학’ ‘재일조선인문학’ 등이 지니는 남북 편향성을, ‘재일문학’ 등의 지칭에 내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민족적 일체감을 강조하면서도 일본으로의 강제(또는 자발적) 이주·정착과 이후의 삶, 그리고 일본에서의 존재 조건 자체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데 적절할 용어라고 할 수 있다. … 이 책에서는 재일한인사회에서의 일본어 사용이 불가피한 현실이라는 점을 감안, 일본어로 창작한 작품들도 재일한인문학의 범주에 넣어 다루고자 한다.
Contents
■ 재외한인문학연구 총서를 펴내며
■ 책을 내면서

Ⅰ. 재일한인문학의 사적 전개
재일한인문학의 형성과 전개
1. 서언: 개념과 범주
2. 망향과 이념 갈등, 1세대 문학
3. 차별과 ‘재일’의 고뇌, 2세대 문학
4. 실존적 ‘재일’, 3세대 문학

Ⅱ. 재일한인 시문학
조국과 민족, 차별과 상흔의 서정- 재일한인 1세대 시문학의 주제의식
1. 서 언
2. 범주 및 개념, 시대 구분
3. 일제강점기 재일한인 시문학
4. 광복 이후 재일한인 1세대의 시문학
5. 결 어
재일한인 시문학의 변화 양상과 특성- 2,3세대 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1. 서 언
2. 정주기: ‘귀화’와 정체성, 민족의식 강화
3. 공생기: 이념 탈피와 공존, 순수서정의 시대
4. 결 어

Ⅲ. ‘조국’ ‘민족’ ‘탈경계’, 재일한인의 정체성
재일한인사회의 해방 인식- 김달수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1. 서 언
2. 미완의 해방
3. 폭력 모방으로서의 거짓 해방
4. 자기회복으로서의 참 해방
5. 결 어
강요된 타자, 정체성 갈등과 승화 - 김학영과 이양지의 소설을 중심으로
1. 서 언
2. 민족콤플렉스와 말더듬, 『얼어붙은 입』
3. 정체성 갈등과 승화, ?나비 타령?
4. 결 어
제노사이드 기억, 재일한인의 정체성- 이양지 소설을 중심으로
1. 서언: 제노사이드 기억
2. 기억의 재현
3. 기억의 글쓰기, 반복의 저항성
4. 결어: 제노사이드, 재일한인의 기억하기
소문적 정체성과 그 서사적 응전- 양석일과 현월의 소설을 중심으로
1. 소문의 대상으로 살기
2. ‘소문’적 존재 되기
3. 소문 만들기-새로운 저항의 서사
재일한인 여성의 존재 방식과 정체성- 이양지와 유미리를 중심으로
1. 서 언
2. 재일한인 여성작가의 ‘아쿠타가와상’ 수상과 의미
3. 가부장제와 여성상 변화, 2,3세대 여성 정체성
4. ‘모어’와 ‘모국어’, 내적 갈등과 무의식적 징후
5. 결 어
탈경계, 재일한인 신세대 작가의 지향- 가네시로 가즈키(金城一紀)의 작품을 중심으로
1. 서언: ‘재일(在日)’을 산다
2. ‘국적’에 대한 인식 변화와 타민족과의 연대
3. ‘연애’로 표상되는 ‘탈민족’적 시각
4. 결 어

Ⅳ. 재일조선인문학
민족과 개인, 갈등과 균열의 틈새- 재일조선인 소설의 특성을 중심으로
1. 서언
2. 빠찡코 가게- ‘주체사상’과 재일조선인의 삶의 괴리
3. 세대 간의 갈등과 균열의 틈새
4. ‘민족’과 ‘개인’의 균열
5. 결 어

‘문예동’ 희곡작가의 창작방법과 한계- 김지석, 서상각, 허남기의 작품을 중심으로
1. 서 언
2. 레제드라마, ‘주체사실주의’ 창작방법의 실체
3. ‘성황당식 혁명연극’ 극작법
4. 결 어
‘조총련’ 비평의 실체와 민족문학적 의의- ‘문예동’ 『문학예술』을 중심으로
1. 서 언
2. 광복 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전개 양상
3. ‘조총련’ 문학비평의 원점, 김일성 주체사상
4. 이중 언어의 질곡, 조선어에 대한 인식
5. 결어: 민족문학적 위치
Author
김영미,김정훈,박죽심,송명희,오현화,윤정화,이상갑,정덕준,최은영
공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공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