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도처에 있다. ‘남의 신체를 물리적으로 훼손하는 힘.’ 사전이 정의하는 폭력의 의미 너머로 그 외연이 확장되고 있는 오늘날을 감안하면 폭력이 자리하지 않은 곳은 어디에도 없다. 둘만이 존재하는 은밀한 곳에서 벌어지는 데이트 폭력이나 은연하고 비밀하게 상대의 의식을 잠식해 가는 가스라이팅까지. 폭력의 부피가 커진 만큼 우리의 문제의식이 가닿는 곳도 넓어져야 한다.
폭력은 차이로부터 시작되고, 차이란 공포이자 어김없는 불안의 요소이다. 물리적 힘만이 폭력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므로 폭력을 흔하디흔한 기삿거리 하나쯤으로 치부하고 말기에는 어딘가 찜찜한 구석이 있다. 당신이 둔감한 축에 속한다면 은폐된 형태를 띤 폭력의 피해자가 되었다는 사실도 멋모른 채 가해자들 틈바구니에서 거짓행복을 누리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아니면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가해자가 되어 누군가에게 크나큰 상처를 주었는데도 마냥 껄껄거리고 있다거나. 폭력은 도처에 존재한다. 그렇기에 그게 자리한 곳이 내가 아니라는 보장도 없다.
저자 변광배 교수는 이 책에서 11명의 현대 사상가를 선정하여, 저마다의 폭력론을 이들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살핀다. 벤야민을 한 축으로 하여 아감벤, 데리다, 지젝을 다루고, 사르트르와 파농, 사르트르와 아렌트 등 그 맥락이 닿는 것끼리 묶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저자의 친절하고 현장감 넘치는 강의투 문체와 함께 여러 사상가를 따라가다 보면 폭력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차 례
제1강 르네 지라르의 폭력론: 『폭력과 성스러움』을 중심으로
1.1. 시작하며
1.2. 지라르의 생애와 저작
1.3. 폭력의 기원: 모방적 욕망과 욕망의 삼각형
1.4. 차이의 소멸과 폭력의 출현
1.5. 모방 폭력의 회오리와 공동체의 위기
1.6. 희생양 메커니즘
1.7. 희생제의와 성스러움
1.8. 희생제의의 위기
1.9. 희생양 메커니즘의 폭로
1.10. 희생양 메커니즘의 무효화 선언 및 그 대안
제2강 사르트르의 폭력론: 『존재와 무』와 『변증법적 이성비판』을 중심으로
2.1. 시작하며
2.2. 사르트르의 생애와 저작
2.3. 나와 타자의 시선 투쟁
2.4. 나와 타자의 구체적 관계들
2.5. 실천적-타성태
2.6. 집렬체와 융화집단의 형성
2.7. 융화집단, 서약집단, 조직화된 집단 및 제도화된 집단
2.8. 진보적 폭력을 둘러싼 논쟁
제3강 파농의 폭력론: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을 중심으로
3.1. 시작하며
3.2. 파농의 생애와 저작
3.3.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의 서문
3.4. 폭력: 새로운 시작을 위한 최후 수단
3.5. 보론
제4강 아렌트의 폭력론: 『전체주의의 기원』과 『폭력론』을 중심으로
4.1. 시작하며
4.2. 『전체주의의 기원』의 주변
1) 아렌트 열풍
2) 아렌트의 생애와 저작
3) 『전체주의의 기원』의 구성과 기술의 특징
4.3. 전체주의의 장치들
1) 총체적 지배
2) 잉여존재
3) 폭민
4) 이데올로기, 선전 및 테러
4.4. 아렌트의 『폭력론』
1) 『폭력론』의 주변
2) 권력의 대립항으로서의 폭력
제5강 소렐의 폭력론: 『폭력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5.1. 시작하며
5.2. 소렐의 생애와 사상, 저작
5.3. 『폭력에 대한 성찰』의 주변
1) 집필 배경
2) 구성과 의도
5.4. 소렐의 폭력론
1) 폭력의 의미
2) 혁명적 생디칼리슴 또는 총파업의 신화
제7강 데리다의 폭력론: 『법의 힘』을 중심으로
7.1. 시작하며
7.2. 데리다의 생애와 저작
7.3. 『법의 힘』: 예비적 고찰
1) 구성
2) 서지사항
3) 배경
7.4. 벤야민의 「폭력비판을 위하여』에 대한 데리다의 해체적 독해
1) 이중의 어려움
2) 해체와 정의(正義)
3) 데리다의 벤야민 비판
제8강 아감벤의 폭력론: 『호모 사케르』와 『예외상태』를 중심으로
8.1. 시작하며
8.2. 아감벤의 생애와 저작
8.3. 벤야민의 「폭력비판을 위하여」에 대한 아감벤의 견해 또는 데리다와의 비교
1) 데리다: 법-폭력의 단절 불가능성 또는 법의 재정립
2) 아감벤: 법과 폭력 관계의 단절 또는 법의 탈정립
제9강 지젝의 폭력론: 『폭력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9.1. 시작하며
9.2. 지젝의 생애와 저작
9.3. 지젝의 폭력론
1) 『폭력이란 무엇인가』의 구성
2) 『폭력이란 무엇인가』의 의도
3) 우회로들의 풍경
4) 여섯 번째 우회로의 풍경
제10강 갈퉁의 폭력론: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를 중심으로
10.1. 시작하며
10.2. 갈퉁의 생애와 저작
10.3. 갈퉁의 폭력론
1)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의 구성
2) 갈퉁의 폭력론
제11강 한병철의 폭력론: 『폭력의 위상학』을 중심으로
11.1. 시작하며
11.2. 한병철의 생애와 저작
11.3. 한병철의 폭력론
1) 『폭력의 위상학』의 구성
2) 폭력의 위상학적 변화
3) 긍정성의 폭력 또는 정신질환
4) 시스템적 폭력